[eBook]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올리버 색스 지음, 조석현 옮김, 이정호 그림 / 알마 출판사 / 2016년 11월
평점 :
판매중지


세상은 넓고 이상한 사람은 많아, 그러니까 누나를 이해하자. 아침, 아들은 와하하 웃고, 큰 딸은 조금은 억울해한다. 딸은 '이상한'을 듣고 억울해하고, 나는 '이해하자'를 듣고 좋은 말이라고 생각한다. 그 때 나는'겁내지 않고 그림그리는 법'을 읽고 있었는데, 책 속에 사람은 누구나 조금씩 이상하다,는 말이 있었다.

이 책은 딸이 중학교 도서관에서 빌려왔었다. 종이책을 읽다가 반납해야 한대서, 이북도서관에서 빌려서 읽었다. 회사에서 점심시간 산책할 때, 출근길에 나눠서 이북으로 읽었다. 이북으로 이책을 읽는 중에, 종이책으로 '겁내지 않고 그림 그리는 법'을 읽었고, '한자의 역설'을 읽었다. 동, 서양의 사고체계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고 다른 두 권의 책이 동양인 저자의 책이라서, 심지어 '한자의 역설'은 한자 자체가 얼마나 중의적이고, 그 연결 안에서 확장되는 세계관에 대한 책이라서, 이 책의 어떤 태도가 더 이질적으로 느껴졌다. 

임상보고서같은 내용들인데, 오, 신기하네, 하고 읽어가다가 음,왜 이렇게까지라는 느낌을 받은 것은 '언어인식불능증'을 진단하기 위해 노력하는 대목이었다. 일상생활을 살아가는 데 아무런 지장이 없는 사람들을 진단하기 위해 기계어로 녹음된 문장을 들려준다고, 그런 과정을 통해서 그 사람의 '인지장애'를 파악한다고 말한다. 사람이 대화하는 것에는 언어 이외의 많은 요소들, 눈빛과 표정과 제스처가 있기 때문에 나는 그 의사의 수고가 의미가 있나, 우선 의심하고, 그걸 병이라고 하는 것에 물러난다. 책을 읽고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이 있다면 서양인 의사는 뇌의 어떤 부분이 문제인가 알아내려고 하는구나,라면서 읽는다. 읽으면서는 무언가 '정상'의 범주가 굉장히 좁구나, 느낀다. 마지막 장에서 일반화가 안 되는 구체화만 일어나는 존재에 대한 묘사는 나에 대한 묘사같다고도 느낀다. 

어느 순간 갑자기, 내가 듣는 걸 똑같이 듣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걸 알아차린 적이 있다. 상대의 머릿속은 내가 영원히 알 수 없구나, 깨닫는 순간, 알 수 없는 인간이 깊은 물처럼 느껴졌었다. 나는 이 알 수 없는 느낌을 탐구해서 알아야지, 하는 사람이 아니고, 아 참으로 놀랍다며 물러서는 사람이라서, 결국 자신이 기준일 수 밖에 없는 학자가 상대를 '이상하다'고 판별하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물러서는 거다. 기준은 나일 수 밖에 없는데, 정상과 비정상을 가르는 건 무얼까, 계속 의심하는 거다. 있겠지, 정상의 범주가 그 정상의 범주를 정의해뒀겠지. 그렇지만, 그 범주를 벗어난다고 뭐가 또 문제일까, 생각하는 거다. 추상화가 안 되는 사람, 인간들 속에서 어지럽다가, 자연 속에서 편안한 사람, 고친다면 무얼 고쳐야 하는지 생각하는 거다. 스스로의 이상함이 걱정스러운 사람에게 '당신의 뇌 중 여기가 비대해져서 이상하네요'라는 말은 좋을까, 싫을까. 세상에 똑같은 사람이 어딨어? 다 조금씩 이상해,라는 말이 좋을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1-04-06 08: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흠 저도 이 책을 읽은 기억이 나네요.뇌와 관련된 책이었던거 같은데 절판되었던데 다시 출간된줄은 몰랐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