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과자유를위한정치>를 읽고 리뷰를 남겨주세요.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 - MB를 넘어, 김대중과 노무현을 넘어
손호철 지음 / 해피스토리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집단의 규모와 무관하게, 한 집단안에서 리더 역할을 한다는 것이 쉬울 리 없다. 코흘리개 시절의 경험이 증명하듯 그 작은 집단의 우두머리도 힘들었었다. 하물며 결과에 따라 손익이 극명하게 갈리는 집단이라면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따라서 우두머리는 필연적으로 비극적 상황을 즐기거나(?) 받아들일 용기를 가진 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닐까. 여튼 그렇다면 실제적으로 우두머리로 지목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역사를 훑던 주위를 둘러보건 답은 명확하다. [사랑]받거나, [공포]를 유발하거나, [사랑]도 받고 [공포]도 행사할 수 있거나. 물론 여기서 [공포]는 의지를 관철할 수 있는 카리스마 정도로 하자. 현직 대통령을 그리고 고인이 되었거나 생존하지만 생계가 어려워지신 분들을 위 조건에 대입해보면 [사랑]과 [공포]를 동시에 거머쥔 분은 안타깝게도 없는 듯 하다. 한국 근현대사의 비극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2009년을 떠올리면 개인적으로도 환난의 한 해였지만, 우리사회도 마찬가지였다는 생각이 든다. 내 손으로 뽑고, 온전한 마음으로 지지를 보냈던 16대 대통령을 잃었고, 현직 대통령과 냉전적 보수세력의 부패와 오만을 목도해야 했고, 진보라 불려지는 세력들의 전략없는 정략에 기겁을 했고, 신자유주의에 눈 먼 우리들을 지켜봐야 했다. 참담함에 어이를 상실한 한 해였다. 주위에 누군가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전직 대통령을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했다. 그때 나는 사랑해서 죄송하다고 했던 것 같다. 유행가 가사처럼 사랑해선 안 될 사람을 사랑한 죄,를 이렇게 치르는구나,싶다고. 치러야 할 대가가 내게도 남아 있음을 나는 잘 알고 있다고. 지금도 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역설적으로 그렇기에 손호철교수의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를 읽는 동안, 불편했던 까닭을 나는 안다. 내 불편함의 절반은 나를 포함한 우리를 향한 것이고, 나머지 반은 저자를 향한 것이다. 저자는 이렇게 고백한다. "해가 져야 비상을 하는 미네르바의 부엉이처럼 대중의 움직임에 대해 사후적 해석만을 할 뿐, 언제 대중은 분노하고 언제 대중은 침묵하는지, 알 수 없는 나의 무력함이 안타까울 뿐이다"라고.  

문장을 읽히는 대로만 읽고 받아들인다면 저자는 본인의 무력함을 탓한 것이다. 그런데 나는 그리 읽히지가 않는다. 물론 저자의 고백 속에 담긴 진정성에는 동의한다. 억측이라고 할 수 도 있겠지만 내게 읽히는 저자의 진정성은 이런 것이다. 첫째는 대중을 가늠할 수 없다고 했지만 실은 대중을 향해 아둔하고 천박하다고 일갈하는 것이고, 둘째는 그럼에도 대중에게 희망을 걸어야 하는 상황에서 무력감을 느낀다는 것이리라. 내 추측이 오독이 아니라고 단정짓고 위의 문장을 곱씹어 본다면 부인하고 싶지도 않고, 변명하고 싶지도 않다. 나 역시 내가 포함된 우리를 향해 얼마나 많은 삿대질과 저주를 퍼부었는가. 그에 비하면 저자의 탄식은 절창에 가깝다. 그렇지만 역사가 증명하듯, 때로는 아둔하고 실익에 눈 먼 대중이 항상 소인배로서의 역할만 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이 광장에 모였던 사람들이었고, 또 그들이 정의와 소수를 지켜내기도 했던 사람들이다. 이것이야말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고, 깍아내릴 수 없는 진실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현직 대통령의 정책을 서슴없이 비판하기도 하고,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활동을 하는 집단이 어떻게 잘 못 끼워진 단추들을 풀 수 있는지 역사를 근거로 설명하기도 하고, 꾸짖기도 한다. 지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다. 물론 저자를 향해 그리고 명민하고 진보적인 성향을 띈 학자들을 향해 그래서 이제 무엇을 해야 하는가, 또는 그대들은 이제껏 무엇을 했는가,라고 묻고 싶은 심정이 들지만 그건 치기임에 분명하다. 이미 답은 있고, 행동해야 하는 시절만 남아 있는데,필요없는 전력 소모를 할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혹여 답답하고 불온한 마음이 남아 있다면 담벼락을 상대로 하면 그만이다.   

3월이다. 그리고 봄이다. 봄이 그러한 것 처럼 나는 현정권의 자살골에도 설렌다. 자살골에라도 기대어 현정권의 무능과 부패와 오만이 평가받기를 바라는 못난 마음이다. 그리고 한편 걱정이 앞선다. 봄이 그러하듯, 곧 꽃이 필 것만 같은데 꽃샘추위에 여린 꽃망울들이 주춤거리는 것처럼, 전직 대통령이 옥쇄하여 다시 살려낸 정당과 정치인들이 결정골을 날릴 전략도 각오도 배짱도 없어 또다시 우리가 주춤거릴까봐 겁난다. 그렇지만 그래도 봄이다. 봄이기에 봄은 올 것이라고 믿는다. 그런데, 언제나 봄이기만한 당신은 정작 봄을 믿는가? 나는 그것이 문득 궁금하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웽스북스 2010-03-03 0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들과 악수를 했지요.

치니 2010-03-03 0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천!

굿바이 2010-03-03 13:14   좋아요 0 | URL
캬아~몸둘바를!

웽스북스 2010-03-03 1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댓글은 술김에 쓴 댓글이고

언니 리뷰 다시 읽어보니 그저 슬플 뿐이고
전 저 대중에 대한 부분 때문에 제가 했던 말들이 그저 마구 떠오르면서 속상해지네요.

하연이가 입학했고, 언니는 무려 입학 축하쇼까지했으니,
봄은 봄이죠. 봄이 봄인지는 모르겠지만.

굿바이 2010-03-03 1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쨔쓰까잉!

아렌트가 그랬니? [무사유]가 악이라고. 필연적으로 연대되어 있는 관계들인데, 참....

봄이 봄인지 실은 나도 모르겠지만, 희망을 처방전으로 깨어있을 수 있는 날들이 얼마나 더 남아있는지도 모르겠지만, 내 조카가 입학을 하고, 또 내 조카들이 부딪쳐야하는 구조적 폭력들이 엄연히 보이는데, 이모에게 봄을 묻는 아이들에게, 이미지로서의 봄도 봄이라고 말할 수 없다면, 나는 뭘 할 수 있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