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깔 고운 우리 옷 이야기 토토 우리문화 학교 6
강난숙 지음, 김미영 그림, 원혜은 인터뷰 / 토토북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통 옷은 신분, 때에 따라 입는 옷 모양, 색, 무늬가 달랐다는 것, 옷감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다양한 색을 어떻게 내어 입었는지, 옷은 어떻게 지어 입었는지까지 우리 옷전반에 걸쳐 소개하는 책, 중학년 이상이 있기에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보다 재미있는 민화 이야기 지식교양 모든 7
정병모 지음, 조에스더 그림 / 열다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처럼 만화보다 재미있습니다. 민화가 유행하게 된 배경, 민화의 다양한 그림에 담긴 뜻, 해학적인 그림 뒤에 숨은 뜻을 알게 해서 민화를 깊이있게 이해하도록 돕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이랑 식물이 같다고요?! - 비교하며 배우는 생물학의 기초 비교하며 배우는 기초 시리즈
노정임 지음, 안경자 그림, 이정모 감수 / 현암사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2학년 아이들에게 알맞은 책인데 그다지 알맹이는 없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깨비 느티 서울 입성기 보름달문고 52
천효정 지음, 오정택 그림 / 문학동네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으스스하면서도 스릴 있고, 요즘 시대에 웬 도깨비 이야기 하면서도 웬지 그럴듯한 도깨비 이야깁니다. 아이들이 무서워하면서 재미있게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찬의 『슬픔의 노래』을 읽고 

 

하이타니 겐지로가 쓴 『태양의 아이』, 미셀 깽이 쓴 『처절한 정원』은 역사는 강물과도 같아서 단절된 것이 아니라 과거에서 흘러나온 강이 현재를 넘어 미래로 흘러들어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정찬의 중편 소설 ‘슬픔의 노래’도 이 두 작품과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슬픔의 노래’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80년대와 연결되어 있다. 아우슈비츠와 광주라는 비극을 연결시키는 상상력이 소설을 근간을 이룬다. 유 기자가 구레츠키와의 인터뷰에서 묻는다

  “하루가 다르게 변하며, 새로운 슬픔들이 인간을 억압하고 있는 지금 과거의 슬픔을 드러내는 일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과거의 슬픔보다 현재의 슬픔을 드러내는 것이 더 의미 있는 작업이 아닌가?”

라고. 이 물음에 구레츠키는 이렇게 대답을 한다

  “ 흐르는 강을 자를 수만 있다면 당신의 말이 옳다, 하지만 강은 끊임없이 흐른다. 흐르지 않는 것은 강이 아니다. 과거에서 흘러나오는 강은 현재를 넘어 미래로 흘러들어간다. ....과거의 슬픔은 곧 현재와 미래의 슬픔이다. 다만 그 슬픔의 형태가 다를 뿐이다.”

  이 대화를 통해 우리는 작가가 90년대 중반을 넘어가는 길목에서 새삼스럽게 ‘광주 사태’환기 시키는 이 소설을 쓴 까닭을 알 수 있다. 광주 사태는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에게 지금까지도 슬픔의 강이 흘러가고 있다는 것, 앞으로도 흘러갈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싶었던 것이다. 또한 슬픔의 강을 건너기 위해서는 ‘스스로가 강이 되어야 한다’는 것도 .

  유기자가 이어서 구레츠키에게 묻는다.

  “그럼 슬픔의 강변에서 예술가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예술가란 살아 남은 자의 형벌을 가장 민감히 느끼는 사람이다.  ...... 슬픔의 강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끊임없이 흐른다. 안타까운 것은 많은 사람이 그 강이 있는지조차 모른다는 사실이다. 예술가는 볼 수 있는 자다. 그의 눈은 강의 흐름을 본다, 예술가는 들을 수 있는 자다. 그의 귀는 강물 흐르는 소리를 듣는다. 그리하여 예술가란 볼 수도 들을 수도 없는 사람들을 보이게 하고 들을 수 있게 하는 자다.”

  하이데거는 ‘예술의 본질은 과거처럼 세계를 재현에 있는 것이아니라 모든 존재자의 아래에 묻혀 잊혀진 ‘존재’의 체험을 일으켜, 우리를 존재망각의 상태에서 깨어나게 하는데 있다’.고 했다.

  존재는 모든 것의 근원이나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보통 사람들이 존재의 참 모습을 보기 위해서는 누군가가 그 참 모습을 드러내주어야 한다. 그 역할을 예술가들이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정찬 또한 언어를 통해 존재의 참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광주 이야기를 하기 위해 폴란드의 아픈 역사에 대한 장황한 설명이 이어졌지만 그 과정에서 이 소설의 미학이 드러난다. 인물간의 대화와 진술을 통해 인간 정신의 고뇌와 깊이를 탐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랜만에 참 좋은 소설 한편을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