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의 역습
마크 롤랜즈 지음, 윤영삼 옮김 / 달팽이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천벌을 받을 거야, 나는 잠들기를 포기하고 책상에 앉아 노트를 폈다", 지난 6월에 출간된 광주 작가 정유정의 장편 소설 '28'에 대한 집필 동기이다. 이 소설에 등장한 유기동물 문제는 단지 반려동물의 생존권을 넘어 인간과 자연의 관계 맺기 자체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 '28'은 인수공통전염병이라는 상징적 매개로 인간과 자연의 원초적인 '불평등 계약'의 의미를 성찰하는 이야기이다. 구제역으로 수백만 마리의 소와 돼지들이 생매장을 당하던 '충격의 겨울'이 없었다면 소설가의 독백은 없을 것이다. 마크 롤랜즈는 '동물의 역습'에서 평등을 이렇게 정의한다. '도덕과 무관한 특성에 따라 차별하지 않는다.', '종의 다름이 인간과 동물의 취급 차이를 정당화할 수단이 되는가?'
2002년에 씌여진 'Animals Like Us' 원작자는 'Mark Rolands'이다. 그는 아일랜드 콕에 위치한 대학에서 철학을 강의하고 있다. 그의 저서로는 동물권리-철학적 방어, 예측하지 못하는 사태와 유물론 등이 있다. 다윈 이후 동물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었다. 진화론이 수면 올랐지만 동물에 대한 인간의 이해방식은 다음과 같이 박혀 왔다. 동물은 도구일 뿐이다, 동물은 도덕과는 아무 상관없는 존재다, 동물은 마음이 존재하지 않는 움직이는 인형일 뿐이다 등 고대에서 현재까지 이어 내려 왔다. 이러한 동물인식이 강력하고 끊임없는 공격을 받기 시작한 것은 40년밖에 되지 않았다. 비판의 핵심은 동물이 단순히 인간을 위한 도구적 가치만 지니는 존재가 아니라 본질적인 가치를 지니는 존재라는 것을 역설한다. 동물의 삶, 자유, 행복에는 본질적인 가치를 지니는 존재라는 것이다. 새로운 관점의 등장은 우리가 무심코 생각해오던 동물이라는 존재에 대한 개념정의를 한번 고민하도록 자극한다.
2012년 기준, 우리 나라의 17.9%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 자신의 공간에 동물을 입양하는 행동은 그 동물의 기본적인 욕구를 돌볼 의무를 획득하는 것이다. 기본적 욕구에는 육체적, 정신적 욕구가 포함된다. 따라서 입양의 첫번째 조건은 동물의 욕구를 책임져야 한다. 두번째는 반려동물이 됨으로서 그 동물의 원래 삶이 더 나빠져서는 안 된다. 매년 우리 나라에서 발생되는 유기동물은 99천여마리이다. 물론 밖에서 자생적으로 번식하여 동물보호소로 이관된 동물도 포함된다. 인간의 목적상 경제동물, 야생동물, 실험동물, 반려동물로 분류할 수 있지만 근년에 들어 파생되는 유기동물에 대한 관리 방안 모색이 한창이다.
저자 롤랜즈는 탁월한 솜씨로 자신의 주장을 전개하고 있다. 동물의 권리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도덕철학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여 명쾌한 결론을 이끌어낸다. 동물에게 마음이 있는가, 인간은 도덕적으로 적절한 기준인가, 도덕적 능동인과 도덕적 피동인, 미래의 개념적 상상과 몰개념적 상상, 인간의 번식노력 덕분에 생겨난 동물들, 생체실험은 과연 인간의 절실한 관심에 부합하는가, 인간의 처지에서 본 동물원, 동물사냥과 인간사냥, 구출투쟁과 사회변화운동, 우리는 무엇을 깨우쳤는가? 등이 그것이다. 2013.10.06.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