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은 텄지만 낮은 오지 않았다

   <통조림 공장 골목>(문학동네)은 세상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임기응변으로 대충 살아가는 생들의 존재와 소중함을 이야기한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살아갈 나날들
    from 고립된 낙원 2019-05-03 07:52 
    봄날은 계속된다. 노동절이 지난 5월은 어버이 날과 어린이 날 그리고 스승의 날로 가족간에 사람 간에 소통이 중시되는 달이다. 특히 5월은 계절의 여왕이라는 별명하에 초록의 계절이다. 이런 자연 환경에서 흑백을 가리듯 '좋은' 운명과 '나쁜' 운명을 가린다는 것은 무의미하다. 주어진 자신의 삶속에서 하루하루 변화하고 삶의 의욕을 되살리는 길만이 그나마 우리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자유일 것이다. 2009년 5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장영희 교수의
 
 
 

  이제 전쟁은 사양산업이다. 평화가 전쟁보다 수지 남는 장사이기에 전쟁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이나 앞으로 계속될 것인가 의문이다. 민족주의, 제국주의, 권위주의, 보호주의의 귀환 때문이다. 전쟁과 평화에도 요요현상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근 여행서

   영국 출신의 저자는 아내를 따라 덴마아크로 이주한다. 덴마아크의 금욕주의 문화, 일년 중 300일이 우중충한 날씨, 강박적인 애국심의 나라 덴마아크는 저자에게는 낯설고 적응하기 어려운 북유럽 국가일 뿐이었다. 코펜하겐 교외의 어학원에 다니던 저자는 과제로 덴마아크의 대문호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1805-1875)의 '인어공주' 원전을 번역하게 된다.

 

   안데르센의 특유의 글맛을 살리지 못한 번역본만 읽었던 저자는 닥치는 대로 작품과 평전을 읽어가기 시작한다.(보통은 독서를 권장한다. 독서 습관 또한 마음의 빈 구석을 채워주는 틈이 있어야 한다. 수감 생활중에, 아니면 어떤 것에도 자신을 채우지 못할때에야 비로소 스며드는 연기처럼 자신의 몸으로 독서 습관은 배어든다.)

 

   안데르선이 1840년 10월부터 8개월간 유럽 전역을 둘러본 뒤 쓴 여행기 '시인의 바자르'(1842년)에 기록된 여정을 21세기의 저자가 다시 찾는 여행담을 정리한 책이다. 코펜하겐, 함부르크, 라이프치히, 로마와 나폴라, 몰타 섬, 그리스 아테네, 터키 이스찬불, 다브뉴강을  따라 헝가리, 오스트리아, 체토 등을 거쳐 다시 덴마아크로. 특히 맹렬한 햡곡으로 안데르센을 설레게 했던 세르비아와 루마니아 국경 근처의 다뉴브강은 1972년 댐이 건설되어 과거의 모습을 확인 못한다. 고가의 사람이 걸었던 길을 다시 걸어보는 생생함은 과거로의 여행자를 설레게 한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세상 앞으로 한 발 더 다가서야
    from 고립된 낙원 2019-04-24 08:05 
    탈알고리즘이랄까, 일상에서 이탈은 또 다른 세계를 만나게 되는 기회가 된다. 또한 그 세계는 위험할 수도 있다. 여행은 잘 준비된 이탈이지만 순간적인 즉흥성을 꿈꾸고 있다, 그것은 호기심을 연속이며 멈출지 않는 이동 행각이다. 이 소설에서 포르투갈은 또 다른 우주와 같다. 시간은 흘러갈 뿐이고 삶에서 남는 것은 별로 없다. 꼭 남겨야 하는 것도 인간의 갈망일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름다움의 진화>(동아시아)은 환경에 적응한 개체가 생존하는 '자연선택' 뿐 아니라 배우자의 선택을 받은 개체가 번식하는 '성 선택 '도 진화에 영향을 끼친다는 주장이다. '자연선택' 에 적응만으로는 진화를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며 진화에 수컷의 선호가 강하게 작용한다는 건 진부한 진화심리학의 '뻔 한 고리' 중에 하나라고 말한다. 저자는 개체의 '아름다움'. 아름다움이 환경 효과적으로 적응한 지표라는 종래의 학설을 부정하고, 아름다움 자체만으로 의미가 있다는 주장이다. 즉 어떤 형질이 진화하는 것은 단지 성적으로 매력적이기 때문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암컷의 '성적 자율성' 또한 저자가 관삼을 갖는 주제이다.

 

  영국의 심리학자 리처드 스티븐스는 <우리는 왜 위험한 것에 끌리는가>(한빛비즈)에서 남들이 하지 말라고 하는 '나쁜 짓' 에는 알고 보면 수많은 이익이 숨어 있다고 역설한다. 저자는 나쁘다고 생각하는 행위들이 어떻게 긍정적인 효과와도 연결되는지를 설명을 한다. 예를 들어, 섹스는 스트레스와 통증을 완화해 줄 수 있고, 피로 해소 효과가 있으며, 음주는 창의성과 외국어 능력을 높여주고, 사람들 사이 유대감을 높여 사회성을 높인다. 욕하는 행위는 스트레스 해소와 신체적 심리적 통증 완화에 도움을 주고, 사람들 사이에 연대감을 높여 준다. 게으름 피우는 사람에게는 창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독일에는 '좋은 사람 딱지를 떼야 자유롭고 즐거워진다' 는 속담이 있다. 지나치게 다른 사람의 눈을 의식하면 힘든다. 그러나 과도한 자기 집착이나 공공성 또는 타인에게 위협을 초래한다면 악이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