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
김용규.김성규 지음 / 지안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지식소설! 처음 듣는 말이다.
지식소설이 무엇이냐.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건전한 지식에는 대부분 그와 대립하는 지식이 존재한다. 서로 대립하는 이들 지식 쌍은 경쟁하면서 어느 한쪽이 자연도태하지만, 상당수가 서로 영행을 미치면서 새로운 형태로 진화한다. 지식들은 갈등하고 싸우며 승리하거나 패배하고 또 살고 죽는다. 이러한 지식들의 갈등구조와 진화과정을 따라가며 보여주는 소설이 지식소설이다.

그러면 이 소설의 대립하는 지식은 무엇인가. 생물학적 결정론과 환경결정론, 본능주의와 행동주의가 대립하고 있다.
이 소설의 저자는 철학자인 김용규와 불문학자인 김성규로 공저이다. 보스니아의 한 소녀의 절규를 계기로 인간의 학살 행위에 대하여 얘기를 나누다가 쓰게 되었다 한다. 철학과 불문학을 전공한 저자들의 생물학적 지식과 필력에 놀라게 된다.

이야기의 기본틀은 아프리카 밀림에서 침팬지를 연구하는 제니퍼를 중심으로 숲의 벌목으로 자신들의 거처를 잃게되는 다른 무리의 침팬치들이 이주할 곳의 침팬치들을 제노사이드하고 이를 막기위한 제니퍼의 노력을 기본 얼개로 하여, 문화대혁명 당시 아버지를 잃고 입양된 제니펴를 대비하여 인간과 동물의 제노사이드의 차이와 인간의 광기와 폭력성 등을 고발하고 있다.

사실 이 소설에 대하여 이러쿵 저러쿵 길게 말하는 것보다 책속의 한 구절을 인용하는 것이 훨씬 훌륭한 리뷰가 될 수 있겠다 싶다.

워싱턴 대추장(대통령)이 우리 땅을 사고 싶다는 전갈을 보내왔다. 대추장은 우정과 선의의 말도 함께 보냈다. 그가 답례로 우리의 우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으므로 이는 그로서는 친절을 베푼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대들의 제안을 진지하게 고려해볼 것이다.
 우리가 땅을 팔지 않으면 백인이 총을 들고 와서 우리 땅을 빼앗을 것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대들은 어떻게 저 하늘이나 대지의 온기를 사고팔 수 있는가? 우리로서는 이상한 생각이다. 대기의 신선함과 반짝이는 물을 우리가 소유하고 있지도 않은데 어떻게 그것들을 팔 수 있다는 말인가? 우리에게는 이 대지의 모든 부분이 신정하다. 빛나는 솔잎, 모래기슭, 검은 숲속의 안개, 맑게 노래하는 온갖 벌레들, 이 모두가 우리의 기억과 경험 속에서는 신성한 것들이다. 나무 속을 흐르는 수액은 우리 紅人의 영혼을 실어 나른다.
 백인들은 죽어서 벌들 사이를 거닐적에 그들이 태어난 곳을 망각해버리는지 모르지만, 우리는 죽어서도 이 아름다운 대지를 결코 잊지 못한다. 여기가 바로 우리 홍인들의 어머니의 품속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대지의 한 부분이고 대지은 우리의 한 부분이다.  향기로운 꽃은 우리의 자매이다. 사슴, 말 큰독수리, 이들은 우리의 형제들이다. 바위산 꼭대기, 풀의 수액, 조랑말과 인간의 체온은 모두 한가족이다. (.....)
 물결의 속삭임은 우리 아버지의 아버지가 내는 목소리다. 강은 우리의 형제고 우리의 갈증을 풀어준다. 카누를 날라누고 자식들을 길러준다. 만일 우리가 땅을 팔면 저 강들이 우리와 그대들의 형제임을 잊지 말고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이제 형제에게 하듯 강에게도 친절을 베풀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이 땅을 사겠다는 당신들의 제안을 고려해 보겠다.  그러나 그 제안을 받아들일 경우 한 가지 조건이 있다. 즉 이 땅의 짐승들을 형제처럼 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미개인이니 달리 생각할 길이 없다. 나는 초원에서 썩어가고 있는 수많은 물소들을 본 일이 있는데, 모두 달리는 기차에서 백인들이 총으로 쏘고는 그대로 내버려둔 것들이었다. (......)

 짐승들이 없는 세상에서 인간이란 무엇인가? 모든 짐승들이 사라진다면 인간은 영혼의 외로움으로 죽게될 것이다. 짐승들에게 일어난 일은 인간에게도 일어나게 마련이다. 만물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
 땅이 인간에게 속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땅에 속한 것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만물은 마치 한 가족을 맺어주는 피와도 같이 연결되어 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인간은 생명의 거미줄을 짜는 것이 아니라 그 거미줄의 한 가닥에 불과하다. 그가 그 거미줄에 행한 일은 곧 그 자신에게 행한 일과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우리가 땅을 팔더라도 우리가 사랑했던 것처럼 이 땅을 사랑해달라. 우리가 돌본 것처럼 이 땅을 돌보아 달라.  당신들이 이 땅을 차지하게 될 때 이 땅의 기억을 지금처럼 마음에 간직해 달라. 온 힘을 다해서 온 마음을 다해서 당신들의 아이들을 위해서 이 땅을 지키고 사랑해 달라. 신이 우리 모두를 사랑하듯이.
 우리는 한 가지 알고 있다. 우리 모두의 신은 하나라는 것을. 이 땅은 그에게 소중한 것이다. 백인들조차 이 공통된 운명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결국 우리는 한형제임을 알게 되리라.

 1854년 땅을 팔라는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피어스의 제안을 받고 수쿠아미시족의 시애틀 추장이 답한 연설문.

길지만 인용한 까닭은...미개인이라 아무것도 모른다는 그가 나보다, 많이 배운 문명인 이라는 우리보다 더 많은 진리를 알고 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