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얘기 하던 시절이 어제 같은데 이제는 성탄절도 지나고 세모의 송구영신이 지척이다.

앞으로 5일 후면 2012년도도 아듀!

엄밀히 말하자면 4일 하고 4시간여 남은 시각이다.

 

요즘 워프가 대세다.

빠름이 대세다.

스마트가 대세다.

 

시간을 초월하고 공간을 너머 서는 워프.

빨라도 너~~~~무 빠르다며 빠름 빠름 빠름이 한 세트로 노래 되는 시대.

복자하거나 지루하면 안된다.

심플, 샘플 가득, 간단, 명료해야 살아 남는다.

 

그래서인지 초록 빛 가득하려나 싶더니 어느새 겨울이 되어 버렸다.

 

드디어 사계절의 봄은 어는가를 물으며 설레임으로 기다렸던 것이

말이지 한 촉각 전이지 싶은데,

계절은 이제 대설도 지나고 동지도 지나고 소한, 대한이 지척이다.

 

겨울을 죽음의 계절이니, 휴식의 계절이니, 고독의 계절이니 하던 시대도 이젠 다 지났다.

워프해 버린 것이다.

 

오늘의 겨울은

내일을 위해 잠시 집에 들어와 샤워 하고 음악 한 곡 듣고 눈 부치는 둥 마는 둥

자명종 소리 혹은 아침 알람 노래 들으며 일어나

허둥지둥 나가기도 바쁜 계절이 되어 버렸다.

 

아, 겨울!

 

유난히도 추운 이 겨울은 봄을 기다리는 감흥도 없이 움츠린 어깨로 지나갈 판이다.

그래도 고마운 것은,

여름철 이미지들이 어디선가 생생한 길건너 이야기 같이

마음만 먹으면 안방 모니터에 모니터링 되어

그 시원시원스런 여름 풍경 보며

더운 계절 생각 하는 것으로 만족하며

이 겨울 추위를 잊어 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배 고프면 이미지를 통해 배불리 먹고,

목 마르면 그림을 통해 시원히 마시고,

무엇이 더 필요하단 말인가!

 

봄 지나 겨울을 걸어 가는 한 겨울의 풍경은,

그저 무덤덤하다.

 

어디선가 배고픈 10대들의 마스크 매장 돌출 행동이 오늘의 사회적 잇슈가 되는가 본데,

오는 봄에는 노니는 땅들을 너 나 할 것 없이 많이들 파헤쳐,

봄 내 뿌리고

여름 내 가꾸어

가을 내내 거두어 들이는

사람다운 농촌 풍경을 예저 제서 많이들 보여 주어야 하지 않겠는가 싶다.

 

춤 추고 뛰놀고 목청껏 외쳐 대는 덜 떨어진 젊음을 부축이는 세상은,

이제 그만들 좀 할 때도 된 것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방금 알라딘 유현* 님께 문의 겸 건의 내용 드리다.

 

문서 화일이 2M가 넘는지 에러 상황 보이기로, zip 화일로 다시 업로드 하니 정상 다운 확인되다.

알라딘을 신뢰하고 함께 해 온지 수 년.

초기에 열악할 때,

한 번 방문 해 볼 의사를 비취었으나 열악하니 방문 하셔도 볼 품 없다 하며 고사하기로,

그 입장을 헤아려 멈춘지도 이미 수 년이 된 듯.

 

언젠가 보니 확장 소식도 들리던 중,

적지만 적립금 유효 기간에 대한 견해를 피력 하던 중 소견을 올린 내용.

 

어떤 경로로 어떻게 전달 되어 어떤 결과를 도출 하게 될진 모르나,

진정한 고객의 입장을 헤아리는 입장이라면,

중장기적으로 보아 본 고객의 입장을 헤아려 주심이 옳지 않겠나 하는 의견을 드린 내용이었다.

 

본 포스트가 알라딘에 또한 어떻게 전달 될 지 또한 ???로 새롭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

 

이에 그 유감을 메모리 하다.

 

잘 되기 바라며!

 

알라딘 대표가 조유식 님이시고,

그 분이 지금도 유효하다면,

그 분이 친히 본 포스팅을 보시고

작고 적은 적립금 하나라도 소중하고 가치있게 사용하고자 하는 고객들의 마음이

제대로 전달되어

우리 인터넷 서점계가 이 어수선하고도 어려운 시기에

보다 훈훈한 뉴스로 인구에 회자된다면,

국가가 부도 나고

세계가 멸망할까?

 

오늘은 마야문명이 언급한 지구 종말 후 수 일에 지난 새로운 세상 새로운 시대 아니던가?

이 좋은 시절에,

그리고 새 해 2013년도를 기다리는 세모에,

웃으며 송구영신의 기쁨을 나누자스라~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휴대용LED북스탠드
freemind
평점 :
절판


좀 더 저렴하게 다량 구입 할 수 있다면, 소중한 벗님들께 자신 있게 선물 해 드릴 수 있는 `자신감 있는 제품`입니다. 알라딘 님~~~! 어쩌죠?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춘자, 춘희, 춘례, 춘춘춘.....

 

봄을 굳이 春字 서서 춘춘 거리는 필자의 모습도 모습이려니와 春夏秋冬의 첫 머리에 자리하여 사계절을 리드하는 봄 소식 전하려다 물 폭탄 소식 듣는 盛夏에 이르고 보니 "거 참~" 싶은 것은 필자만의 심정 아니려니 싶습니다.

 

최불ㅇ 님은 대한민국 국민 배우라는데, 그 분의 음식여행기는 수사반장, 전원일기 신드롬은 저리가라는 듯 그 특유의 구수한 나레이션을 배경으로 동서남북 대한민국 사방을 종횡무진 하는 모습이 그만의 봄소식을 즐기는 모습 그 자체로 보이니, 이래 저래 2012년도 봄은 미쳤다 하여도 그리 틀림은 아니지 싶습니다. 용이 춤 추는 해래서 아기도 많이 낳겠다고들 하고, 너 나 할 것 없이 대통령 욕심에 목마른 자들은 '잠룡'이란 이름으로 '잡룡'으로의 추락을 저어하지 않으니, 우리 땅 대한민국의 2012년 봄은 미쳐도 단단히 미친 것 틀림 없단 생각, 결코 버릴 수 없군요.

 

그래도 대한민국이 희망이 있대야 우리네 미래가 환해질테니, 글쓰는 심정이야 어찌 되었든 이 나라 이 강산 이 조국 이 겨레가 힘겨운 이 봄 기다리기를 지나 가뭄 중 가뭄이란 이 여름 잘 보내고는 시원스런 가을에 함게 웃기만 오매불망 간구할 뿐입니다. 그리라도 해야 봄 소식 기다리다 돌아 버린 여름 나기아 한에 서리지 않을 듯 하니, 이건 글쓰는이만의 심정인가 물어도 보고 싶구요!

 

------------------------------------------------------------------

[잠시 쉬고]

 

글쓴이가 보아도 주제도 내용도 글솜시도 도대체가 정리 안된 [사계절에 서다-2]는 이렇게 흘러갑니다! 아직도 글지을 '곳'이 없다 핑계하며.

 

내일은, 다음의 글로써 말하기를 할 예정, 어디까지나 예정입니다! ^^

 

[다음]

 

주 목사님의 내러티브 설교집은 저자 자신이 소개하신대로 “하나님께서 설교자에게 ‘성령을 통해 하시는’ 말씀을 설교자로서 청중에게 증거한다”고 하는 ‘使命 修行記’에 다름 없습니다. 따라서 설교자 자신이 text인 聖書를 통해 하나님의 마음을 알아 가듯, 독자는 (성서에 있어서는 context가 될) 이 한 권의 저술을 통해 저자(설교자)의 심정을 이해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특별히 그 독자가 저자의 설교를 매주 친히 경청 할 수 있는 교회 공동체의 일원이라면, 프리즘을 따라 내비취는 여러 색상의 조화처럼 설교자를 통해 투영 되는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각자의 신앙생활에 적용될 행동양식(들)을 공급 받게 되는 ‘靈의 糧食化’가 비로소 가능한 것이며, 여기서 목양의 기쁨을 맛보는 ‘목회자의 웃음’과 교회 생활의 환희를 찾는 ‘성도의 미소’는 비로소 ‘福音 안에서의 豊盛’이라는 希望共同體로 나아감에 결코 부족함 없을 줄 압니다.

 

크고 작은 교회 내의 여러 가지 만족하지 못할 한계들에도 불구하고, 설교자는 주야로 하나님의 말씀을 경청하고 이해하여야 하듯, 청중 또한 설교자를 이해하고 헤아려야 할 것입니다.

 

필자는 같은 청중이며 독자의 자리에서, 하나님께서 우리 모든 독자에게 주신 누가복음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소개하셨듯, 저자이신 주 목사님께서 그가 강조하신 다섯 테마 즉, ‘갈등’, ‘갈등 심화’, ‘아하 그렇구나’, ‘복음의 경험화’, ‘결과 대망’ 등을 통해 소개하신 <누가가 소개하는 예수의 특징>에 주목해 봅니다.

 

예수님은, 현실의 구주십니다. / 차별 없는 대우(남.녀) . 가난한 자를 위한 복음 증거 / 병든자 치유 / 직업상 소외자(창녀, 세리 마부, tent maker 등) 사랑 / 민족적 차별자(이방인) 높여 주기 / 기도 모범 / 만민의 구주이십니다.

 

성령의 감동 받아 이 사실을 그 감동 그대로 청중과 독자에게 나눔을 행하시는 저자의 금번 상.하 양권의 출판과 獻呈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하나님께는 영광의 박수를, 저자에게는축하의 박수를 보내 주시겠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을 기다렸더니 제대로 된 봄 소식 없이 여름이라더라.

 

여름인가 하였더니 겨울 옷 넣어 놓을새 없이 날아 온 여름은 어느새 삼복더위가 무색할 6월의 여름 풍경 만들어 6월을 하루 남겨 놓은 오늘은 100여년 만의 가뭄이라는 소식을 벌써 수일간 듣는다. 거기에다 25세 미만을 거론하며  국민건강증진법 입법 관련 뉴스는 하루 종일 매스컴계를 누빈다.

 

6.29선언 요란했던 시기가 벌써 20여년 전이었다는 생각 하노라면 그 20여년 뒤의 6.29는 100여년만의 가뭄은 이제 그만이라는 민초의 타는 갈증이 하늘을 움직인 것인지 또 한 번 걸죽한 6.29를 보낸다.

 

북한군을 견제하는 정보전에 일본을 우군화 하려는 의견과 불가론에 대한 소리, 물류 비상을 야기하면서까지 서울로 모여든 드라이버들의 소리, 경제성장 목표의 0.4 down 관련 소리, 소리 소리들은 먼 나라 남의 동네 소식이 아닌 우리 동네 우리 나라 이야기다.

 

당연히 개원되었어야 할 일국의 국회는 1달이 다 되어서야 개원할 실마리를 보이면서도 당당하고 잠룡들이 자칫 잡룡들로 추락할 수도 있을 2012 한반도 대통령을 향한 주자들의 열전은 참 재미있는 풍경이 아닐 수 없다. 1대통령에 2~3 국무총리제로 한반도를 포괄하는 통일 대통령 만들기는 정말 요원한 일일까? 어느 누구시든 이 해의 대선 승리자는 그 근본 정치 마인드가 한반도에만 머물 수 없는 시대적 요청에 결코 작지 않은 부담감으로 가득한 지도자가 되실 듯 하다. 주의 도우시을 간구할 뿐.

 

감사할 줄 모르는 인생은 멸망하는 짐승과 같다 하였는 바, 이번 가뭄에 비어 버리는 저수지의 이유를 오늘로부터 시작 될 장마에서 찾노라면 그간의 애매한 지도자 탓으로 들끓어 정치 쟁점화 하던 이들도 부끄러운  미소 짓겠거니 생각하니 그 또한 재밌는 우리네 이야기.

 

이번 포스팅을 읽어 낼 독자는 또 몇일까?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4310029 를 포스팅 내용 중 일부로 넣는다. 광고 일조했으니 알라딘에선 값을 치러 주실까? ^^

 

봄 없이 오는 여름, 장마 소식 듣는 6월의 말미에 봄은 왔고, 갔고, 다시 올 것임을 明記하며!

 

20120629 14:26에 적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