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7월 책을 그렇게 안 읽은 것도 아닌데, 리뷰를 한편도 못 썼다. 읽고나서 뭐라도 정리해서 써보자 결심했었건만, 훌쩍 반년이 지났다. 아무 생각없이 내 서재에서만 놀던 때와는 달리, 여기저기 많이 기웃대면서 입 헤벌리고 감탄하고 탄복하며 서평들을 읽다보니 점점 더 내 서평을 쓰기가 두려워진다. 극복해야할텐데. 어찹 여긴 나혼자밖에 없잖아? 힛!
삼성을 생각한다(김용철) : 생각보다 더 독해서 놀랬다. 이 정도로 우리나라를 주무르고 있을 줄이야. 삼성불매에 대한 생각을 더 굳히다.
존재의 세가지 거짓말(아고타 크리스토프): 제목이 이게 뭐람, 표지는 또 이게 뭐람. 이런 이유로 정말 끌리지 않았지만, 알라딘 서평에 혹해서 읽은 책. 마뜩찮던 내 선입견을 홀랑 뒤집어준 책. 와우... 정말 대단한 작가님. 가슴이 아린 정도를 넘어서 뭐랄까 가슴 속 깊은 곳을 울리는 슬픔이 남는달까.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쥬(최규석): 최규석 작가 작품. 둘리를 이렇게 만든 사람? 나와~! 모두 다 주루룩..... 도열.
레볼루션 no.3(가네시로 가즈키) : 영화 GO의 감독이 쓴 작품. GO는 내가 좋아하는 영화. 학원물 분위기, 좋다. GO를 보고 서경식의 책들을 쭉 사들였었더랬다.
미식 견문록(요네하라 마리): 유명하신 요네하라 마리 여사님의 책으로 나는 처음. 이것보다는 지금 읽고 있는 '대단한 책'이 훨씬 흥미롭고, 좋다.
마음(나쓰메 소세키): 이로써 소세키의 대표작들은 거의 대부분 읽은 듯한데. 이 작품이 왠지 젤 맘에 남는다. 일본 근대에 관한 배경지식이 궁금하다. 조금 더 확장된 독서가 가능할 듯.
어젯밤(제임스 셜터): 글쎄, 난 아직 잘... 단편인데도 시간이 오래 걸렸다. 꼽씹고 꼽읽고 그랬다.
About a Boy(Nick Hornby): 세상에... 5개월만에 드뎌 다 읽었다. 특유의 위트와 유머가 너무 좋다. 결핍에 관한 이야기지만, 서로 치유해가는 과정이 따뜻하다. 초반, Marcus 엄마의 자살 시도 장면에서 친구가 생각났다. 남은 사람들로서는 "How could you do that?"이 그들의 심정을 가장 잘 표현하는 말이 아닐까? 믿어지지 않아 나도 얼마나 묻고 또 물었던지.
반면에, 병원에서 깨어난 엄마의 말.. "파티가 계속되고 있는데, 나는 너무너무 피곤해서 이제 그만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표현은 또한 엄마의 맘을 잘 표현하는 말일 듯. 강조하듯이 Marcus를 사랑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다만 나는 너무 피곤할 뿐이라고....하던 부분들......... 친구가 생각나서 나도 많이 아팠다.
혼비 아저씨의 책이 한 권 더 남아 있다. 혼비 아저씨의 책은 원서로 읽는 것도 좋을 듯. 어렵지 않고 특유의 위트와 유머를 한껏 즐길 수 있을 듯.
타인의 고통(수잔 손택): 전쟁과 관련된 사진에 관한 통찰. 그것만으로 전부를 볼 수도 이해할 수도 없다는 것. 사진 속에서 보는 고통받는 자들을 그저 '타인'으로만 인식하고 동정하고 안도하는 것들을 넘어서야 하지 않나. 과연 우리에게는 아무런 책임이 없는 것인가.
그리고 지금 읽고 있는 책들 : 대단한 책(요네하라 마리), 더 로드(코맥 매카시), 캐치 -22(조지프 힐러), Eat, Pray, Love(순서가 맞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