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된 언어 - 국어의 변두리를 담은 몇 개의 풍경화, 개정판
고종석 지음 / 개마고원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감염된 언어를 순화하자는 언어순결주의의 주장이 담겨있으려니 했다. 제목만으로는 정반대의 주장으로 읽은 것이다. 게다가 나는 무의식적으로 '감염'을 '오염'으로 읽은 것 같다. 이는 고종석의 이름 석자만 들어봤을 뿐, 한번도 제대로 읽어보지 못했기 때문이고,또한 한국어가 '오염'되었다는 나의 편견과 세뇌당한 사고가 어느 정도 작용한 탓이다. 어떻게 보면, 이 제목은 한국어뿐만이 아니라 언어라는 것에 대한 보편적이고 거스를수 없는 공통의 특질을 나타내고 있다. 언어순결주의나 순수 혈통이라는 것들의 존재자체가 상상 속 신화일 뿐이라는.    

오랫만에 학교 때 국어책을 읽듯 정독했다. 서체도 크기도 딱 교과서만하다. 게다가 적확하고 읽기 쉬운 국어로 잘 쓰여져 있으니 말이다.  수년 전에 뜨겁게 달궈졌던 복거일의 '영어공용화'에 대한 논의가 제일 흥미롭다. 그 자신도 가장 많은 장수를 할애하고 있기도 하고. 복거일의 글은 읽지도 않고 언론에서 떠들어대던 글들만 잠시잠깐 보았던지라, 제대로 파악도 못하고 있었는데 저자의 생각에 공감이 간다. 한국어를 버리고 영어를 공용어로 삼자니! 너무 과한 거 아닌가.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소리나는대로 읽고 쓰는 독창적인 한글을! 이런 지독한 사대주의가 어딨담! 그런데, 그의 제안(그 용어만으로도)을 거부하고 싶었던 내 내면을 들여다보면, 내 안에 민족주의적인 사고와 정서가 자리해, 스스로를 객관화하지 못했던 것 같고, 나야말로 사대주의적 사고에서 기인한 자격지심 때문이 아니었던가 싶다. 그래서 아~무 생각없이 앞도 뒤도 없이 무조건 방어적인 거부반응이 일었던 건 아니었을까.   

한국어도 한국어지만, '자유주의'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이 해 준 책.  

집단적 수준의 주체성이 아닌 개인적 수준의 주체성.

   
  국어 순화의 '순화'는 제 5공화국 초기 삼청 교육대의 저 악명 높은 '순화교육'의 '순화'다. 실상, 순결을 향한 집착, 즉 순화충동은 흔히 죽임의 충동이다. 믿음의 순결성, 피의 순결성, 이념의 순결성에 대한 집착이 역사의 구비구비에 쌓아놓은 시체더미들을 잠깐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국어순화'의 충동에 내내된 위험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모두 그리스인이다' p.150  
   
   
  여기서 강조돼야 하는 것은 영어공용화의 반대가 지닌 계급적 함의다. 공용어로서의 영어를 반대한다는 것은, 지식과 정보를 특정집단이 독점하는 걸 허락하겠다는 뜻이다. 라틴어와 한문을 읽고 쓸 수 있었던 중세의 엘리트들이 지식을 독점했듯이 말이다...영어가 공용어가 되든 안 되든, 우리 사회의 지배계층은 자기 자식들에게 영어를 열심히 가르칠 것이다. 그리고 영어에 익숙해진 그들의 자식들은 영어에 익숙하지 못해 지식과 정보에서 소외된 일반 대중의 자식들 위에 다시 군림할 것이다. ... 한 사회가 습득할 수 있는 지식을 특정 계급이 독점하는 사회와 전 구성원이 공유하는 사외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잇을 것이다."                                                        '우리는 모두 그리스인이다' p.206   
   

나는 고종석이 정직하다고 생각한다.  

 

앞에 말한 복거일과 관련된 논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에 대해서는 좀 흥분을 좀 풀어제끼고 있는데, 욕 얻어먹는 최원식에, 큭... 하고 고소했다.  

   
 

...최원식의 무성의한 글에서 독자를 가장 불쾌하게 하는 것은 논쟁상대를 거꾸러뜨리기 위해 궤변을 일삼는 것이다. "서구주의와 국수주의는 단순한 대립물이 아니라, 일종의 동전의 양면과 같다." "서구주의의 뒤집혀진 형태가 국수주의다."....... "갑와 을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갑의 뒤집혀진 형태가 을이다"따위의 말투는 논리와 수사를 멋들어지게 결합해서 듣는 사람들에게 깊은 울림을 남긴다. 멋쟁이 지식인들이 애용하는 이런 '지적'논법의 명제들이 어떤 맥락에서는 그리고 깊은 수준에서는 더러 진실을 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그런 맥락, 그런 수준의 진실들은 굳이 말한 필요도 없는 진실이다. 그리고 발언의 맥락이 그런 깊은 수준이 아닐 때는 궤변이 되고 만다. ..... 

예컨대 나는 최원식의 말투를 빌려 이렇게도 말할 수 있다. "박정희와 장준하는 단순한 대립물이었던 것이 아니라 일종의 동전의 양면과 같았다,....자유주의의 전화가 파시즘이고, 파시즘의 전화가 민주주의고....그래서 색즉시공이 공즉시생이다...." 이런 말투는 도사들에게나,.....

 
   

 '우리는....'  이외의 다른 챕터들도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