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이 길이 되려면 - 정의로운 건강을 찾아 질병의 사회적 책임을 묻다
김승섭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학'은 질병의 원인을 찾는 학문.

'사회역학'은 질병의 사회적 원인을 찾아 부조리한 사회구조를 바꿔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길을 찾는 학문..

 

사회역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 사회 건강의 불평등을 보여준다. 

진지하지만 지루하지 않고,아프지만 가라앉지 않고

나의 생각도 다시 한번 정리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희한하게도 읽는 동안 저자가 살아 있는'사람'처럼 다가왔다.

개인적으로는 1도 모르는 사람이지만, 왠지 겸손하고 정직할 것 같았다. 자신이 연구한 내용들을 인용[언급]할 때도 일일이 박사과정 누구, 석사과정 누구와 같이 라고 언급하는 지점도 나는 조금 남다르게 읽혔는데. 원래 그렇게들했던가?  

 

올해 읽은 책 중에 사람들에게 가장 권하고 싶은 책이다.

 

정신없이 읽다가 생각나서 책 모퉁이를 접기 시작한 때는 이미 책의 절반을 넘게 읽었던 지점이지라, 인용 구절도 뒷부분밖에 없다.

 

일본의 경우, 쓰나미 등 대형 재난을 겪은 지역에는 정부가 여러 지원을 수행하지만, 누구도 그 내용을 입에 올리지 않고 언론도 보도하지 않는다고 했다. 지원 내역을 국민과 공유하는 것이 당사자에게 도움되는 특수 상황이 아니라면 재난 당사자가 애도하고 치유에 집중하도록 사회가 침묵해야 한다. 그게 한 사회의 감수성이고 실력이다 p.184

 

재난에서 나타나는 삶의 복잡성이다. 피해자와 일반 국민의 갈등도 당연히 존재한다. 갈등을 대하는 자세가 한 사회의 실력이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에서 정부는 갈등을 더 부추겼다. 유가족과 생존 학생 가족을 나누고, 피해자와 국민을 떼어냈다. 우리 사회 역시 그 골을 좁히지 못했다. 이 과정을 번복하면 안 된다.  P. 188

 

 

 

혐오의 비가 쏟아지는데, 이 비를 멈추게 할 길이 지금은 보이지 않아요. 기득권의 한 사람으로서 미안합니다. 제가 공부를 하면서 또 신영복 선생님의 책을 읽으면서 작게라도 배운 게 있다면, 쏟아지는 비를 멈추게 할 수 없을 때는 함께 비를 맞아야 한다는 거였어요. 피하지 않고 함께 있을게요.  P.219

 

 

실험 결과는 명확했습니다. 컴퓨터상으로 진행되는 따돌림으로 인해 뇌 전두엽의 전대상피빌 부위가 활성화되었습니다. 인간이 무리적으로 통증을 경험하면, 즉 누군가 나를 때려 아픔을 느끼면 활성화되는 뇌의 영역에 혈류가 모인 것입니다. 우리 뇌가 물리적 폭력과 사회적 따돌림을 같은 뇌 부위에서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지요. … 이 연구는 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발언이 그들을 물리적으로 폭행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말해줍니다. … 모욕과 차별은 사람을 아프게 합니다.  p. 23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나무꾼 2017-12-13 0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완전 아프게 읽었는데,
님도 좋으셨군요.^^

요 밑의 셜록 식판도 완전 탐나고 말이지요.
왠지 식판이 하나 더 있어야 할 것 같다는 부분에 공감하며 ‘후훗~!‘ 웃고 갑니다.

북극곰 2017-12-13 10:38   좋아요 0 | URL
공감하는 부분이 되게 많았어요. 내가 뭔가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진 않지만, 적어도 가혹한 댓글들에 공감하거나 부적절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동조하는 일은 앞으로도 더더욱 없을 거예요. 나무꾼님 서재에서 보고 담아서 금세 읽었네요. 땡스요. ^^

하하.. 식판은 말이죠, 다른게 또 배달되는 중이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