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우리가 핀란드에 관해 알고 있는 단어는 자일리톨, 사우나, 노키아뿐이었습니다. 최근 공교육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핀란드 관련 책들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데요. 이 책들은 한결같이 핀란드가 자일리톨보다 상쾌하며, 사우나보다 열정적이고, 노키아보다 경쟁력 있는 나라라고 말합니다. 국가경쟁력 1위, 국제학생평가 1위, 반부패지수 1위의 나라 핀란드를 거울삼아 보는 건 어떨까요.
 |
<핀란드 교실혁명>, <핀란드 공부혁명>을 잇는 '핀란드 교육 3부작'의 완결편. 부제에서 보듯, 이 책은 대한민국의 모든 ‘부모와 아이가 행복해지는 대한민국 가정 희망 프로젝트’다. ‘1등만 알아주는 더러운 세상’이 아닌 누구나 자신의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인정받는 사회를 지향하며, 그 토대로서 건강한 자녀교육법을 제시한다. |
 |
실천적 교육이념과 방향을 모색하는 한국교육네트워크 활동가들이 직접 보고 들은 핀란드 교육의 성공 요인. 핀란드 교육을 다양한 영역과 관점(신뢰, 돌봄, 통합, 자율)으로 평가하고 우리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찾으려 노력했다. |
 |
핀란드 교육에 대한 긍정적 평가의 근거가 무엇인지 구체적인 수치와 통계자료로 분석한다. 교육정책자들과의 인터뷰를 더해 핀란드 교육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
학습시간이 한국의 절반임에도 비슷한 성과를 내는 핀란드 교육의 장점을 어떻게 배우고 적용할 수 있을까. 핀란드식 공부개조 프로젝트를 실천해 한국의 공부바이러스를 행복바이러스로 바꾸는 과정을 소설 형식으로 풀어낸다. |
 |
핀란드 이노베이션을 100가지로 표현한다. 국가정책, 국민보건에서 시민사회와 일상생활까지 지금의 핀란드를 만든 크고 작은 사회적 창안을 주제별로 묶었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직접 쓴 글은 (5쪽 내외의) 짧은 호흡이지만 우리에게 긴 여운을 남긴다. |
 |
경제기자가 핀란드에 1년간 머물면서 기록한 단상을 모았다. 작은 이야기지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 분야에 걸쳐 자신의 생각을 담았고, 실제 핀란드 사람들의 삶이 드러나 생생하다. |
 |
지리, 역사, 언어에 대한 개관에서부터 핀란드 사람들의 성격과 가치체계까지 폭넓게 다룬 핀란드 입문서인데 체계적인 설명보다 주관적인 느낌을 강하게 드러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