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을 써본 사람이라면, 시종일관 맞장구치게 되는 명문이다. 황유원 씨 번역도 참 깔끔.
이렇게 깐깐한 (글을 쓰는) 사람이 카버에게 자기 집필실 열쇠를 줬다니ㅎ!



1.
이 책에 제시된 원칙들을 완벽히 숙지한 작가라면 어조와 스타일의 기묘하리만치 아이러니한 사용법이 내러티브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마는지에 대해 전혀 신경쓸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게 어떤 기술이 됐든 그 몸통을 단단히 붙들라. 그러면 그 기술의 잔가지들을 장악하게 될 테니.
지금 대학에서 유행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비관습적 소설unconventional fiction들에 대해서는 이 책에서 크게 관심을 두지 않고 있음을 덧붙여야겠다. 메타픽션이란 본성상 관습적 소설conventional fiction에 대한 유사–소설적fiction-like 평론이며 소위 해체주의 소설deconstructive fiction은 관습적인 방법들을 따르는 까닭에(로버트 쿠버Robert Coover의 「노아의 형제Noah’s Brother」를 생각해보라), 나는 젊은 작가들이 근본에서 너무 멀어지는 것보다는 관습적 소설의 복잡다단한 특성들을 모두 제대로 이해하는 편이 더 중요하다고 여긴다.

2.
작가 지망생에게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말하자면, 정통한 수준에 이르기 위해서는 수많은 책들을 탐독해야 하며, 신중하게 글을 쓰되 꾸준히, 자신이 무엇을 쓰고 있는지를 사려 깊게 평가하고 또 평가하면서 써야 한다는 말이다. 콘서트 피아니스트와 마찬가지로, 작가에게는 연습이 곧 문제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이따금씩 문학 애호가가 괜찮은 이야기를 써낼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진정한 작가란 피아니스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테크닉이 몸에 완전히 배어버린 자다. 보통 이를 위해서는 대학에서 소설과 시 강의를 들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몇몇 중요한 소설가들은 정반대되는 말을 했는데, 가령 헤밍웨이는 소설가가 기술을 익히는 방법은 멀리 떠나서 쓰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헤밍웨이가 셔우드 앤더슨Sherwood Anderson과 거트루드 스타인Gertrude Stein이라는 최고의 두 선생에게로 공짜 ‘교습’을 받으러 떠났다가 그들 곁에서 살아버렸다는 사실을 기억해두길.

3.
어떤 작가들은 거의 교육을 받지 않았으며, 잭 런던과 같은 작가들은 거의 스스로의 힘으로 작가가 됐다는 것도 사실이다. 배 위에서, 벌목 캠프나 금광 캠프, 농장이나 공장의 근무교대 시간에 책을 읽는 것으로 교육을 대신한 자들이 있다. 대학 교육이 예술가의 작품에 여러 면으로 악영향을 끼치는 것은 사실이다. 화가들은 미학자들이나 미술사 교수들에 대해 딱히 좋은 말을 하지 않는다. 또한 아무리 진지하고 ‘학구적인’ 작가들이라 할지언정 ‘영문학 교수’를 애정 어린 존경의 눈초리로 쳐다보는 일은 드물다. 게다가 대학에서의 삶이 정말 좋은 소설을 위한 소재를 만들어낸 적은 거의 단 한 번도 없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곳에서의 삶은 사소한 일들과 평범한 일들, 연속극 같은 일들로 넘쳐난다. 하지만 한번 생각해보라.
무식쟁이들ignoramuses—교육을 계속 멀리해온 작가—이 위대한 예술을 탄생시킨 적은 없다. 읽을 만한 책을 단 한 권도 읽어보지 못했다는 것의 큰 문제는 그가 자신의 주장과 반대되는 주장을 절대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 자신의 주장이 낡았다는 걸 깨닫지 못한다는 점(사실 모든 주장은 낡은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적으로 내몬 사람의 존엄성과 가치를 절대 깨닫지 못한다는 점에 있다. 존 스타인벡이 『분노의 포도』에서 저지른 잘못을 보라. 이 책은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책들의 반열에 오를 수도 있었다. 하지만 스타인벡은 오클라호마의 촌뜨기들과 그들이 일을 찾아 캘리포니아로 이주하면서 느꼈던 끝없는 서러움에 대해서는 모르는 게 없었던 반면, 그들을 고용하고 착취했던 캘리포니아의 농장주들에 대해서는 전혀 아는 것이 없었다. 그는 농장주들이 왜 그렇게 행동했는지 그 이유를 알지 못했으며 딱히 관심도 없었다. 그리하여 스타인벡은 결과적으로 위대하고 빈틈없는 소설을 쓰는 대신 한 무리의 선이 지독하고도 믿기 어려운 악에 대항하는 실망스러운 멜로드라마를 쓰고 만 것이다. 객관성, 공정함, 그리고 정당한 평가에 대한 체계적인 추구는 대학 생활의 가장 큰 장점들로 내세워지는 것들이다.

4.
단지 공정한 논쟁을 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무식쟁이들이 나쁜 작가가 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위대한 글은, 어떤 의미에서 위대한 글을 흉내낸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소설가는 소설을 쓰면서—그 소설이 얼마나 혁신적이든지 간에—하나의 명확하고도 거대한 효과를 얻기 위해 노력하는데, 이 효과란 우리가 좋은 소설들에서 흔히 얻곤 하는 그런 효과와 다른 것이 아니다. 테크닉이 얼마나 기괴하든, 소설의 방식이 어떻든 간에 우린 소설을 다 읽었을 때 "바로 이런 게 소설이지!" 하고 말한다.
(중략)
인간이란 침팬지와 마찬가지로 본보기가 없으면 별로 할 줄 아는 게 없는 존재다. 누군가가 혼자서 셰익스피어를 읽고서 그를 사랑하게 될 수는 있겠지만—무식쟁이는 심지어 이런 일을 할 리도 없을 것이다—반 강제로 『오셀로』 『햄릿』 『리어 왕』을 한 줄 한 줄 지도받는 일을 대체할 수 있는 건 이 세상에 없다. 이것이 대학에서 셰익스피어 강의가 하는 일이다. 그리고 심지어 강사가 머리가 좀 안 좋고 감성이 떨어진다 할지라도 대학에서는 분명 도움이 될 비평서와 논문, 살아남은 책과 신간 들 중 가장 좋은 책을 발견할 수가 있다. 대학에서의 선별적인 과정이 없다면 우리는 도무지 갈피를 잡을 수 없게 될 것이다. 결국 셰익스피어가 실은 무신론자였다는 둥, 혹은 공산주의자였다는 둥, 아니면 그건 그저 프랜시스 베이컨이 사용했던 필명에 불과한 것이었다는 둥 떠들어대는 괴상한 책들이나 읽게 될 뿐이다. 대학 밖에서 호메로스나 베르길리우스, 초서Chaucer나 단테와 같은 위대한 대가들—제대로 이해하기만 하면 우리 문명이 이룩한 것들 중 최고의 본보기가 되어줄 이들—을 이해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아무리 뛰어난 재능을 지닌 작가라도 문학에서 가능한 최고의 효과들에 익숙하지 않으면 사실상 그는 그보다 덜한 수준의 효과들을 찾게 되기 마련이다.

5.
견습 작가가 기본 원칙들을 마스터했다고 치자. 그는 어떻게 소설을 시작해야 할까? 그는 무엇에 관해 써야 하며, 자신이 잘 썼다는 걸 어떻게 알 수 있는 걸까?
이에 대한 흔한 대답, 그리고 대개 유감스러운 대답은 "당신이 아는 것에 대해 쓰라"는 것이다. 자신의 고향, 성공회 교도 어머니, 몸이 불편한 여동생에 대해 쓰려고 애쓰는 것보다 더 상상력에 제한을 가하는 것, 정신의 검열 장치와 왜곡 체계를 재빨리 작동시키는 것은 없다. 어떤 작가들에게는 이 조언이 먹힐 것이다. 하지만 그럴 경우, 보통 그것은 특이한 우연의 소산에 불과하다. 그가 자신이 아는 것에 대해 잘 쓰는 건 단지 그가 그런 종류의 소설만을 주로 읽어왔기 때문이다. 『뉴요커New Yorker』나 『월간 애틀랜틱Atlantic Monthly』, 『하퍼즈Harper’s』에 나오는 리얼리즘 소설들 말이다. 다시 말해, 그는 인생에 대한 자신의 지식을 보여준다기보다는 특정 문학 장르에 대한 자신의 지식을 보여주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비록 이상적인 대답은 아니겠지만 이게 더 나은 대답이다. "당신이 알고 가장 좋아하는 종류의 이야기—유령 이야기, SF 작품, 당신의 유년기를 있는 그대로 다루는 이야기 같은 것들—를 쓰라."
비록 늘 한 번에 명확히 알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우리가 시간을 들여 예술 작품을 아주 자세히 들여다볼 때 알게 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예술가가 사고하는 최소 단위—그가 작품의 디테일들을 선별하고 체계화하는 주된 의식적, 무의식적 바탕—가 바로 장르란 사실이다.

6.
참신함은 주로 장르 간의 기발한 크로스오버나 친숙한 소재들의 격상에서 생겨난다. 그러한 크로스오버의 한 예로 포크너의 「얼룩무늬 말들Spotted Horses」의 세 버전들 중 가장 훌륭한 버전("저 플렘That Flem"으로 시작하는 버전)을 떠올려보라. 이 작품에서 포크너는 설화체 문학yarn의 테크닉—주로 화법과 우스꽝스러운 과장, 그리고 잔인한 유머—과 상징적 리얼리즘 단편소설realistic-symbolic short story에서 사용되는 테크닉을 결합하였다. 이런저런 종류의 장르 간 크로스오버는 영문학 전통에서 대부분의 위대한 문학 작품들이 해왔던 것들이다. 초서는 계속해서 하나의 형식을 다른 형식과 겨루게 하는데, 이를테면 『캔터베리 이야기Canterbury Tales』의 「기사 이야기Knight’s Tale」에서 그는 서사시epic와 중세 기사 이야기romance 형식에다 보다 덜 알려진 형식들을 뒤섞고 있다. 가장 위대한 중세 두운체alliterative 시인 『가웨인 경과 녹색의 기사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는 (유혹의 장면에서) 초기 우화시fabliau와 중세 기사 이야기적 요소를 함께 사용한다. 셰익스피어의 가장 강력한 테크닉들은 모두 장르 간 크로스오버의 결과물들이다. 극의 정서적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산문과 운문의 결합, 영국 민속극folk play과 떠들썩한 중세 기적극mystery play (또는 길드의 연극) 등에서 차용한 전통과 최신 로망Roman 전통과의 결합, 그리고 ‘어두운 희극’을 위한 비극 전통과 희극 전통과의 결합 등이 모두 그러한 것들이다.

7.
어떤 소설 작품에서건 작가의 첫번째 임무는 독자로 하여금 자신이 이야기하는 사건이 (우주의 법칙들의 사소한 변화를 가정하여) 실제 일어났거나 일어났을 수도 있겠다고 믿게 만드는 것이다. 혹은 명백히 터무니없는 거짓말에 독자가 빠져들게 만드는 것이다. 리얼리즘 작가가 사건들을 설득력 있게 만드는 방법은 바로 핍진성verisimilitude을 통해서다. 작가는 유령, 변신하는 존재, 혹은 절대 잠을 자지 않는 캐릭터를 만들어낼 때 각기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한다. 그럴듯한 발언을 함으로써, 그리고 비판적 지성을 흐트러뜨리는 각종 장치들을 사용함으로써 그는 콜리지Samuel Taylor Coleridge가 "시적 신념을 야기하는, 순간적이고도 자발적인 불신의 유예the willing suspension of disbelief for the moment, which constitutes poetic faith"—문학사상 가장 꼴사나우면서도 가장 유명한 문장들 가운데 하나—라고 부른 효과를 얻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