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의 6번째 법칙은 사건을 뒤흔드는 더 큰 흐름을 주시하는 것이다. 이 장에서는 18세기 초 영국회사 사우스시컴퍼니 투기 사건이 자세히 소개되는데, “지금 보고 듣는 것, 이를테면 최신 뉴스, 트렌드, 주위 사람들의 의견과 행동, 아주 극적으로 보이는 온갖 것으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은 당신의 본성 중 동물적인 부분이다. 빠르게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손쉬운 돈벌이를 약속하는 반짝거리는 미끼에 당신이 걸려드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해 과잉 반응을 보이는 것도 그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불충분한 정보로 즉흥적으로 대처하거나 생각 없는 반응 수준의 행동을 보이고 있다. 근시안적 사고를 보여주는 신호를 인식해야 극복도 가능하다.
인간 본성의 7번째 법칙은 상대를 긍정해서 저항을 누그러뜨리는 방법을 연구한다. 미국의 정치인 린든 베인즈 존슨의 스토리가 보여주듯이 “영향력과 권력을 얻는 최선의 방법은 정반대로 가는 것이다. 관심의 초점을 상대에게 넘겨줘라. 상대가 이야기하게 만들어라. 이 쇼에서 상대방이 스타가 되도록 하라. 상대의 의견과 가치관은 내가 따라 할 가치가 있으며, 그가 지지하는 대의가 세상에서 가장 고귀하다고 말하라. 요즘 세상에 이런 관심은 워낙에 드물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런 관심에 굶주려 있다. 이렇게 상대를 긍정해 주면 그는 방어막을 내리고 뭐가 되었든 당신이 암시하고 싶은 그 아이디어에 마음을 열 것이다.” 이 대목에서 나는 박근혜 씨를 둘러쌌던 세력들이 취한 게 이 방법이 아니었을까 싶었다.
인간 본성의 8번째 법칙은 자신이 어떤 태도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그 태도가 내 지각을 어떻게 왜곡하는지 파악하는 일이다. 안톤 체호프는 불우했던 가정사 속에서도 세상을 다르게 보고 태도를 바꿈으로써 발전했지만 우울과 자기혐오라는 감정까지 극복하지는 못했다. 이 자유는 타인과 나에게 너그러운 마음을 갖는 데서부터 비롯된다.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 또는 반응하려는 정신의 준비” 과정을 우리가 의식하는 경우는 결코 없다. “우리는 그저 뇌의 이런 발화와 예민함이 일으킨 ‘효과’를 경험할 뿐이다. 이 효과들이 합쳐져서 우울함이나 적대감, 불안함, 열정, 모험심 등으로 부르는 전체적인 기분이나 정서적 배경을 만들어낸다. 우리는 아주 다양한 기분을 경험한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우리는 세상을 보고 해석하는 자신만의 방식이 있다. 그리고 그 방식은 적대감이나 원망 같은 하나의 감정 혹은 여러 감정의 조합의 지배를 받는다. 이게 바로 우리의 태도다.” “태도는 우리의 지각에 색칠을 할 뿐만 아니라 우리 생에 일어나는 일들을 직접 결정한다는 사실이다. 태도는 우리의 건강,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우리의 성공까지 결정한다. 태도는 자기실현적 특성이 있다.” 일상생활에서 내 태도를 즉각 관찰하기 쉽지 않은데, “당사자가 자리를 떴을 때 당신이 그를 어떻게 판단하는지 보면 된다. 당신은 그의 부정적 성향과 형편없는 의견에 곧장 주목하는가 아니면 상대의 결점도 더 너그러운 마음으로 잘 용서하는가? 태도의 확실한 신호를 볼 수 있는 것은 역경이나 저항을 만났을 때다. 당신 쪽에서 실수를 저질렀을 경우 당신은 금방 잊거나 잘 둘러대는가? 뭐든 나쁜 일이 생기면 당신은 본능적으로 남 탓을 하는가? 모든 종류의 변화를 두려워하는가? 예기치 못한 일이나 이례적인 상황을 피하기 위해 늘 하던 대로 하는 경향이 있는가? 당신의 아이디어나 가정에 대해 누가 이의를 제기하면 발끈하는가? 남들이 당신에게 반응하는 모습, 특히 비언어적으로 반응하는 모습에서도 태도의 신호를 포착할 수 있다. 당신과 있으면 사람들이 초조해하거나 방어적이 되는가? 당신은 어머니나 아버지 역할을 해줄 사람을 잘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는가? 당신이 어떤 태도를 갖고 있고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은 각각 무엇인지 충분히 알고 나면 태도를 바꿀 수” 있다. 적대, 초조, 회피, 우울, 원망이라는 대표적 부정적 태도 유형은 누구라도 꺼리기 마련이다.
인간 본성의 9번째 법칙은 내 안의 어둠을 확인하고 인정하는 것이다. 똑똑하고 정치적 재능이 있었지만 본인 성격의 어두운 면을 가늠하지 못할 때 닉슨 대통령 같은 비극을 직면할 수밖에 없다. 내면의 그림자 특징이 눈에 띄는 유형이 있는데, ‘남다른 자신감, 유난히 착하고 상냥함(수동적인 공격성을 가진 매력남과 매력녀), 대단한 도덕적 청렴성(광신도), 성인군자 같은 아우라, 터프 가이, 어마어마한 지성(완고한 이성주의자), 트렌드세터이자 허영꾼, 극단적 사업가’ 같은 강한 특징들은 ‘정반대의 특징 위에 놓여 있고, 사람들의 시선을 분산시켜 그 밑에 놓인 것을 감추는 역할을 한다.’
인간 본성의 10번째 법칙은 상대의 시기심을 건드리지 않는 현명함이다. 이 장에서는 『프랑켄슈타인』의 저자 메리 셜리가 친구인 줄 알았던 제인의 시기심으로 오랫동안 고통받았던 사례가 소개된다. 시기심이 가장 흔하게 발동되고 가장 큰 고통을 주는 것은 친구들 사이에서인데, 역설적이게도 시기심을 느끼는 사람은 처음부터 친구가 되려는 경우가 많다. 시기심을 드러내 보이는 것은 사회생활에서 독이 되므로 시기하는 자는 시기 대상 가까이에서 친절한 가면을 쓰지만 머릿속에서는 상대를 부정적 대상으로 설정한다. 이런 사고 과정을 거치면서 상대에 대한 우호감이 적대감을 압도하기 시작하고 상대에 대한 나쁜 행동을 합리화한다. 우정이 깨지는 배신의 원인은 대부분 시기심이다. 누구나 하루에도 몇 번씩 시기심을 겪는다. 재산, 지능, 매력, 재능 등 나보다 우월한 사람은 항상 있게 마련인데, 약간의 조롱이나 퉁명스러운 발언 같은 ‘수동적 시기심’은 대수롭지 않게 넘어갈 수 있다. 시기심을 드러내는 미세 표정(특히 첫인상에서 가장 노골적), 독설 같은 칭찬, 험담(시기심을 숨기기 위해 흔히 동원되는 위장술), 칭찬하면서도 약점을 건드리는 밀고 당기기 등 ‘능동적 시기심’의 신호는 파악해두는 게 좋다. 남보다 시기심을 더 많이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고 하는데, 모두까기 인형, 자기도취형 게으름뱅이, 지위 집착, 권력자의 껌딱지, 높은 지위에서 초조해하는 상사 등이 이런 유형이다. 지위가 바뀌었을 때 시기심이 가장 발동하게 되는데, 자조적인 농담을 늘어놓고 남들이 성공을 잘 알지 못하게 만드는 게 최선이다. 연예인과 유명인들은 피할 방도가 없다는 게 난관이다. 세월호 가족의 단식 투쟁 앞에서 치킨과 피자를 먹는 이들까지 나올 정도로 ‘샤덴프로이데(남의 불행을 보고 느끼는 기쁨)’가 넘쳐나고 있는데, ‘미트프로이데(함께 기뻐하기, 니체)로 사회 구성원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인간 본성의 11번째 법칙은 자신이나 타인에게서 과대망상의 신호가 없는지 살피고 자신의 한계를 현실적으로 평가하는 일이다. ‘훌륭하다는 감정은 오직 일, 업적, 사회에 대한 기여와 관련해서만 느끼자.’ 파라마운트픽처스, 디즈니를 이끌었던 마이클 아이즈너 회장은 성공의 주된 원동력이 본인이라고 생각한 망상으로 자신의 발목을 잡았다. 과대망상은 자기중심적 리더들만 있는 게 아니다. ‘남보다 뛰어나고, 사람들의 존경을 받고, 내가 중요한 사람인 것처럼 느끼고 싶은 우리의 깊은 욕구’에서 연유하는 인간 본성의 내재적 특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