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념 감각 말고 실제 감각 탐구 시작 1

소리는 3초에 1킬로미터를 이동하기 때문에 내 손뼉 소리는 3킬로미터의 왕복 여행을 다녀온 셈이었다. 나중에 터널 아래로 한참 내려간 우리는 소리가 튕겨 나왔던 계단을 발견했다. 구역질 나는 냄새를 풍기는 쓰레기로 뒤덮인 계단이었다.

낮은 천장에는 종유석이 매달려 있어서 머리를 부딪치기 십상이었다. 하지만 슬프게도 그것은 잘 부러지는 암석으로 이뤄진 종유석이 아니라 딱딱하게 굳은 채 벽돌에 매달린 지방질 침전물이었다. 나는 키가 컸기 때문에 머리가 천장에 무척 가까웠고 이 역겨운 종유석은 내 셔츠 뒤쪽으로 비집고 들어와 피부를 할퀴었다. 이곳은 혐오스러운 종유석들이 있다는 점에서는 최악의 장소였지만 그래도 예상치 못한 음향 효과를 관찰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였다.

라디오 인터뷰가 시작되자 나는 내 목소리가 원형 모양의 터널 벽을 바싹 붙어 나아가 나선을 그리며 멀어진다는 사실을 알아챘다. 말소리는 죽음의 벽을 달리는 오토바이처럼(커다란 원통 안쪽을 오토바이로 달리는 묘기를 말함—옮긴이. 이하 모든 용어 풀이는 옮긴이의 주다.) 휘어진 하수도 안쪽을 회전하면서 나아갔다. 다른 감각들이 전부 혐오에 압도되어 있는 동안 내 귀는 보석 같은 놀라운 소리를 맛보고 있었다.

청각적 주의에 대해 처음 연구가 이뤄진 시기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다. 군대에서 전투기 조종사들이 가끔 엄청나게 중요한 청각 메시지를 무시하는 일이 일어나는 이유를 알아내려고 조사하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잔향 시간과 함께 실내 설계자가 고려해야 할 요인은 진동수(주파수)다. 진동수는 사람이 감지하는 음의 높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바이올린 연주자가 악기를 켤 때 바이올린 줄은 조그만 줄넘기 줄처럼 원을 그리며 휙휙 돈다. 연주자가 음악에서 ‘가온 도middle C’라 불리는 음을 연주하면 줄넘기 줄은 1초에 262번 원을 그리며 돌아간다. 바이올린의 진동이 1초에 262개의 음파를 공기 중에 내보내는 것이다. 이때의 진동수가 262헤르츠다(종종 Hz로 표기된다). 이 헤르츠라는 단위는 처음으로 라디오파를 보내고 받은 19세기의 독일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Heinrich Hertz의 이름을 땄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낮은 주파수는 대개 20헤르츠 언저리이며 젊은 성인의 경우 들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주파수는 약 2만 헤르츠다. 하지만 중요한 진동수들은 대부분 이처럼 듣기에 극단적인 수치가 아니다. 그랜드피아노가 내는 음은 30~4,000헤르츠 정도에 불과하다. 이 범위를 넘어서면 음의 높이를 쉽게 분간하지 못하고 모든 음이 똑같이 들리기 시작한다. 4,000헤르츠를 넘어가면 우리가 듣기에 음악의 멜로디는 음치가 아무렇게나 분 휘파람 소리가 된다.

콘서트홀에서 대부분의 음향을 흡수하는 것은 관중이다. 바게날은 좌석을 500개 줄여 잔향 시간을 늘리자고 제안했지만 이 제안은 실행되지 못했다. 그 대신 혁신적인 해결책 하나가 발견되었다. 전자 기기를 활용해 인위적으로 음향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