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사도란 무엇인가 ㅣ 동문선 현대신서 130
니토베 이나조 지음, 심우성 옮김 / 동문선 / 2002년 10월
평점 :
70년대 일본을 대표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서구인들의 답변 가운데 제일 많이 언급된 것이 카미카제神風와 셋푸쿠切腹로 알려진 할복자살 이른바 히라키리割腹였다. 반면에 무사도와 워크맨, 벗꽃과 같은 문화적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한다. 이에 자극받은 일본정부는 장기적 계획을 세워 일본의 이미지를 군사적인 것에서 문화적인 것으로 전환시키는 작업을 시도하기 시작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미국의 시사 만화가 루리에게 거액의 자금을 제공하여 일본을 대표하는 이미지를 만들어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 결과 타로상이라는 아주 이미지가 순화된 일본인상을 창출할 수 있었다. 이빨도 튀어나오지 않고 근시도 아닌 정상적이면서 부드러운 모습의 타로상은 루리의 시사만화를 통해 일본의 달라진 모습을 널리 선전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 타로상은 일본이 세계인들에게 <경제적 동물economic animal>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게 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에 자신을 얻은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문화적 이미지와 함께 부시도武士道라는 무형의 자산 역시 서구인들에게 알리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70-80년대의 경제적 성공에 힘입어 헐리웃을 공략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일본의 <잔잔바라식>영화를 뿌려대고 미국 영화에 자본을 대면서 화면의 일정부분을 일본식 분위기로 장식하면서 헐리웃식 어설픈 일본 문화가 세계인들에게 보여지기 시작하였다.
일본이 세계인들에게 그토록 자신들의 진짜 모습으로 알아주기를 원하였던 부시도의 정체는 무엇일까. 이 책은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제공하고 있다. 저자인 니토베 이나조는 일본인이었지만 서구의 물을 많이 먹은 지식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일본의 정신을 설명하면서 서구적 이해의 잣대를 대입함으로서 일본적인 것과 서구적인 것과의 간극을 상당히 모호하게 만들어 놓았다는 점이다. 가령 <칼, 어째서 무사의 영혼인가>에서 <쇠를 달구는 것은 중요한 종교적 행위였다>라고 하는 곳에서는 초세기 기독교의 교부이던 아우구스티누스의 격언 <쇠는 달굴수록 강해진다>라는 것이 생각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이렇게 니토베상은 서구적인 불의 강(Feuer-Bach)에 일본사상을 적신다음 그것을 다시 일본적인 것으로 환원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일본의 순수한 정신이 아니라 그랬었더라면이라는 환상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그가 부시도의 큰 기둥으로 삼고 있는 義.勇.仁.禮.誠은 유교적 덕목이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본의 유학은 임진왜란 당시 포로로 잡혀간 조선인 선비 姜沆이 후지와라 세이카藤原醒窩·아카마쓰 히로미치赤松廣通 등에게 퇴계의 유학을 전수함으로서 개안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후지와라의 경우 강항에게서 퇴계 유학을 배워 일본 유학의 개조가 되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바가 크다. 이들에 의해 일본적 유학의 토대가 구축됨으로서 정치에 유학적 사상을 반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퇴계학의 맥을 이은 강항의 조선주자학은 하야시 라잔林羅山, 키노시타 쥰앙木下順庵,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아메노모리 호오슈雨森芳洲로 이어져 일본적 풍토에 적응하는 유학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사상은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 천황제를 옹호하는 사상적 근간을 이루게 된다는 점이다. 즉 니토죠상이 언급하고 있는 부시도의 기둥이랄 수 있는 유교적 소양은 이렇게 형성된 사상이었던 것이다. 여기에 막부 말기에 일어난 실제적인 사건을 극화한 추신쿠라忠臣藏와 할복의 이미지가 합성된다. 실제로 일본 역사에서 할복의 문제는 많은 논쟁을 내포하고 있다. 일본의 전국시대와 이후의 무가 시대의 흐름을 살펴볼 때 할복은 일반적인 것이 아닌 특수성을 가진 제도였음을 알 수 있다. 즉 할복을 통해 죽는다는 것은 자신이 혼자 죽음으로해서 다른 사람이 살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이었던 것이다. 즉 할복은 가문의 우두머리가 행할 수 있는 죽음의 예식이었던 것이다. 니토베상은 이런 예를 이야기할 때마다 서구의 유명한 문학작품속의 구절을 의도적으로 삽입하므로서 일본적 이미지의 비극성과 낭만성을 동시에 충족시켜주고 있다. 그리고 서구의 기사도에서 등장하고 있는 기사수업의 이미지인 칼과 명예 그리고 여성에 대한 관점이 추가되면서 일본적 부시도는 서구의 기사도에 필적하는 하나의 정신으로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니토죠상은 야마도 다마시大和魂라고 이름한 것이다.
니토베상의 <무사도란 무엇인가>는 모든 것이 역으로 진행되고 있는 역사인 것이다. 한 일본인이 서구인을 상대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책이 다시 일본으로 들어와 천황제의 강화를 위한 하나의 고전적인 교과서로 바뀌는 과정은 마치 일본이 <脫亞入歐>를 강렬하게 원하였듯이 자신들이 이렇게 되기를 기원하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일본은 이 책의 부시도를 실천하기 위해 러일전쟁 당시 러시아군 포로들에게 제네바 협정 이상의 대우를 해줌으로서 서구인들에게 부시도의 엄격함과 아름다움을 확실하게 각인시켜 주었다. 하지만 30년이 지난 뒤 일본의 이런 부시도의 정신은 멸시와 폭행이란 이름으로 훼손되었음을 볼 때 부시도는 일본의 본질적인 정신이 아니라 그렇게 되고자하였던 하나의 좌표였다는 생각이 든다. 좌표란 하시라도 바뀔 수 있으니까. 여기에서 하나 더 언급하고 지나가야 할 것은 이차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사용한 전법인 <만세돌격>과 <玉碎>와 무사도의 관계이다. 이 두 공격방식은 집단자살과 같은 양상을 띠고 있었다는 점에서 부시도의 정신과는 어울리지 않는 것이다. 명예와 고통, 인내가 무사의 정신이라면 끝까지 어려움을 이겨내며 살아남는 것 역시 명예로운 일인 것이다. 오히려 당시 일본군이 행한 행동은 부시도의 모욕에 가까운 행위였다. 결국 이런 일본의 행위는 무사도가 자신들의 고유한 정신이 아니라 만들어진 것임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결국 만들어진 무사도는 일본의 젊은이들을 옥으로 보전하지 않고 기와로 부서지게 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