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데렐라는 재투성이다 - 발도르프 선생님이 들려주는 진짜 독일 동화 이야기 2
이양호 지음 / 글숲산책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어렷을적 우리들은 많은 옛 이야기들은 보고, 들으면서 자라왔다.
특히 서양에 옛 이야기 중에는 백설공주, 신데렐라, 인어공주 등 제목만 들으면 누구나 알 수있고 한 번쯤은 읽어봤던 이야기들이다. 
하지만 이야기속에 나오는 주인공들이 모두 공주였을까? 그렇지 아니했다. 원전 제목에는 어디에도 공주란 낱말은 없었다. 
신데렐라는 재투성이고, 백설공주는 새하얀 눈 아이며, 인어공주는 물고기 아가씨다. 

저자는 여기에서 번역에 문제점을 말하려 하고있다.
과연 원전에 제목과 달리하고서 이야기에 내용이 원전에 내용과 같을 수 있을것이가 이야기에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많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그중에서도 신데렐라 이야기에 대해 널리 알려진 두 이야기 독일 작가인 그림형제가 지은 [재투성이]와 프랑스 작가 샤를 페로가 지은 [재투성이와 작은 유리 신발]을 소개하면서 원전과 그리고 현재 우리가 알고있는 번역된 내용을 비교하며 어떤점이 잘 못되어 있는지를 보고 우리들이 꼭 알아야 할 원전에 내용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렇다면 신데렐라와 재투성이 이야기는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이 책을 통해 찾아보기로 하자. 
먼저 우리가 알고있는 제목 '신데렐라'라는 낱말은 원전에는 나오지도 않을뿐더러 프랑스 원어나 독일 원어에는 찾을수가 없는 낱말이다. 영어에 씬데르스가 우리말로 되면서 부드러운 발음인 신데렐라로 바뀌게되고 원전에 재목인 재투성이와 비교해보면 그 느낌은 아주 다르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또한 제목에서의 아름답고 부드러운 이미지가 우리가 알고있는 신데렐라 콤플렉스라는 용어까지 등장을 하는것을 보면서 번역에 잘못이 한 문화에 트랜드 단어로 형성이 되며 이로인해 원전에서 말하고 싶었던 교훈적인 이야기가 빠져버리는 모순을 낳기도 한다.
이것뿐이 아니다. 혼인잔치를 무도회로, 재투성이가 나뭇가지를 심는 곳도 '무덤 가'가 아닌 '무덤 위'에 나무를 심는다고 해야 한다. 이것말고도 많은 부분에서의 원전과 다른 번역은 이야기를 읽고 느끼고 생각하는데 있어 원전에서 꼭 느끼고, 생각해야 할 부분을 놓쳐버리는 경우가 발생 할 수도 있을것이다. 

또한 저자는 이 책에서  재투성이를 나타낼수 있는 옷, 이야기 전개에 매개체가 될 수 있는 신발, 그리고 나무, 재, 새, 결혼 이라는 재투성이에 중요한 모티브에 대해 하나 하나 살펴보면서 그 당시 서양 문화의 깊은 의미와 올바르게 번역이된 머나먼 나라의 옛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를 말 해주고자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