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골집에 살고 있습니다 - 달콤쫄깃 시골 라이프 쌩리얼 생존기
원진주 지음 / 해뜰서가 / 2025년 11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우리는 사람 많은 도심 속에서 정신없이 살아가다 보면, 문득 어디론가 떠나고 싶어진다.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직장과 집을 오가며 수많은 사람들과 부딪히는 일상 속에서 가슴이 답답해지고, 직장 내 스트레스와 가족의 걱정거리, 인간관계에서 오는 불안과 피로가 쌓이면 결국 우리는 푸른 자연을 찾아 떠난다.
자연 속에서만큼은 비로소 숨을 고르고 마음의 위안을 얻는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은퇴 후 혹은 주말마다 시골에서의 삶을 꿈꾼다. 나 또한 오랜 직장생활을 거치며, 생명이 숨 쉬는 푸른 자연 속에서 살아보는 것이 오랫동안 품어온 버킷리스트 중 하나였다.
바로 이 책은 방송작가로 15년 넘게 살며 늘 바쁘게, 늘 ‘해야 하는 일’을 중심으로 움직이던 저자가 갑작스러운 남편의 힘겨운 직장생활을 지켜보다 5도2촌(닷새는 도시, 이틀은 촌)이라는 삶의 전환을 위해 서울을 떠나 당진의 작은 시골집으로 귀촌을 결정하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도시의 삶을 완전히 버리지 않으면서도 시골의 여유를 품은 이 선택은, 도시와 자연의 공존을 실험하는 삶의 한 형태로서 의미가 깊다.
책 속에는 이들의 소소하지만 생생한 시골살이 이야기가 펼쳐진다.
처음 청보리를 심을 때의 설렘, 태풍에 쓰러진 청보리를 손으로 다시 일으켜 세우며 느낀 흙의 냄새와 손끝의 감촉, 우연히 마주친 어릴 적 추억의 인물 ‘기영이 삼촌’, 비 오는 날 핑크뮬리를 지키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던 순간까지 모든 장면이 시골의 시간 속에 스며 있다.
저자는 단순히 아름다운 풍경을 그리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안에서 느낀 ‘살아 있음’을 세밀하게 포착한다.
이야기의 중반부에서는 시골집을 ‘스테이(감성숙소)’로 운영하며 겪은 경험이 소개된다. 손님을 맞이하고, 계절마다 달라지는 풍경을 기록하며, 숙소를 정돈하는 일상은 단순한 노동이 아니라 저자에게 ‘삶을 천천히 기록하는 일’이 된다.
무엇보다 이 책의 진정한 매력은 시골의 낭만만을 보여주지 않는 데 있다. 저자는 벌레, 거미줄, 흙먼지, 장마, 마을의 규칙처럼 불편하고 낯선 현실을 숨기지 않는다.
몸빼바지를 입고 일을 하며, 도시에서는 볼 수 없었던 불편함 속에서 오히려 진짜 삶의 질감을 느낀다.
그리고 그 속에서 “땅이 쉬어가듯, 사람도 쉬어야 한다”는 단순하지만 깊은 진리를 깨닫는다.
‘시골집에 살고 있습니다’를 덮으며 마음속에 따뜻한 온기가 남았다. 그것은 ‘도망’의 온기가 아니라 ‘복귀’의 온기였다.
흙과 바람, 계절과 사람 속에서 자신만의 속도를 찾아가는 저자의 모습은 도시에서 버티며 살아가는 우리에게 ‘잠시 멈춤’의 용기를 건넨다.
책장을 덮은 뒤에도 그 흙냄새와 느린 바람은 마음 한켠에 오래 남는다. 어쩌면 그 냄새가, 우리가 잊고 살아온 ‘삶의 본래 속도’인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