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말씀만 하소서 - 출간 20주년 특별 개정판
박완서 지음 / 세계사 / 2024년 12월
평점 :
삶과 죽음은 만남과 이별의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서로 떼어놓을 수 없는 하나의 순환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삶을 살면서 이별의 과정을 거치는데 특히 가족과의 이별은 큰 아픔과 고통이 수반되어 지고 시련의 과정을 거쳐 치유와 삶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남은 이들이 살아야 하는 이유와 삶의 의미를 재정립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 책은 박완서 작가님의 갑작스러운 아들의 죽음을 겪은 후, 참담한 심정과 고통을 일기를 쓰면서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성찰과 신앙적 고민을 담아 낸 작품이다.
잃어버린 아들에 대한 절절한 기록......
1988년 박완서 작가는 막내아들을 교통사고로 잃는 비극을 겪는다.
당시 그의 아들은 의사로서 유망한 청년이었다.
그러나 아들이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면서 작가의 삶은 송두리째 무너져 내렸다.
이 작품은 그 고통의 순간을 숨김없이 드러내며, 슬픔 속에서 고뇌하고 절망하는 어머니의 마음을 가슴이 미어지도록 절절하게 한 글자 한 글자 써내려 간다.
특히 작품 속에서 작가는 죽음이라는 인간의 불가항력적인 현실 앞에서 겪는 원망과 고통의 감정을 솔직하게 써내려 가는데, 왜 하필 내 아들이었는지, 왜 내가 이런 고통을 겪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절망 속에서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물음은 결국 하느님에 존재에 대한 깊은 의문과 원망과 분노로 표출 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고통의 의미를 깨닫고 깨달음이 하느님의 답일 것임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는 삶에서 고통은 피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그 고통 속에서 우리는 다시 살아갈 이유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가슴 먹먹히 우리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내가 받은 벌은 내 교만의 대가였을 것이다.
하느님이 가장 싫어하시는 게 교만이라니 나는 엄중하지만 마땅한 벌을 받은 것이다.
깨달음이 하느님의 답일 것이다.
"고통은 사라지지 않는다. 그러나 고통은 우리를 다른 곳으로 데려다준다."
박완서 선생님의 꾸밈없는 날것 그대로 표현으로 아들의 갑작스러운 죽음의 그 고통을 일기 형식으로 풀어내며 단순히 개인적인 슬픔의 기록을 넘어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성찰과 신앙적 고민을 담고 있어 우리들에게 하여금 큰 공감과 위로를 전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