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2 조선 천재 3부작 3
한승원 지음 / 열림원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금의 총애가 양날의 칼이 되어 돌아오다.

정약용은 성균관 유생시절부터 특출하여 정조의 총애를 받으며 관직에 진출하여 두각을 나타내지만 향사례 모임과 이벽, 이승훈과의 교류 그리고 형 약전, 약종과 함께 천주학을 접하였다. 라는 이유로 노론의 반발로 좌천을 당하게 된다.

하지만 정약용은 자기 잘못을 척결하는 상소를 올리며 중앙무대의 복귀를 거부하지만 정조의 총애를 얻은 정약용은 형조참의로 다시 양날의 칼을 잡게 되는데

하지만 정조가 갑작스럽게 서거하면서, 다산의 정치적 입지는 크게 흔들리게 되었다.

 

정조의 갑작스러운 서거와 더불어 시작된 천주교 박해와 신유박해는 노론세력에 의해 남인세력은 정치적 희생양을 만드는데 그 중심에 정약용이 있었다.

1801년 신유박해로 인해 다산은 전라남도 강진으로 유배를 가게 되는데 유배 생활은 그의 삶에서 가장 힘든 시기였으며, 동시에 그의 학문적 업적이 꽃을 피운 시간이었다.

 

그는 지역 주민들과 교류하며 삶의 실질적인 문제들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농민들의 삶을 관찰하고 연구하며, 그들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려 노력했다. 또한 지방 행정의 올바른 운영 방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목민심서를 집필하였고. 경세유표에서는 국가 제도 개혁을 위한 자신의 생각을 제시하며, 사회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안했다.

유배지에서의 생활은 고달팠지만, 그는 이를 학문적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았다.

또한 다산은 가족들과 떨어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서신을 통해 가족들과의 애틋한 가족애를 볼 수 있었으며 멀리 떨어진 형 약전과 편지를 통해 형제애를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은 단순히 정약용이라는 위대한 학자의 삶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의 내면적 고뇌와 철학적 성찰, 그리고 시대적 갈등을 생생히 그려내고 있다.

책을 읽으며 나는 그의 삶이 단지 역사 속 한 장면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소중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정약용의 인간적 모습에 깊이 몰입하게 되었다. 그는 가족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 외로움 속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위대한 선각자이자 학자임을 믿어 의심치 않게 되었다.

 

특히 저자의 서정적이면서도 섬세한 문체는 책을 읽는 내내 생동감을 느끼게 하였고 역사적 사실에 충실한 부연 설명과 문학적 상상력은 정약용 선생이 느꼈을 고독과 절망 그리고 희망을 느낄 수 있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단순히 역사를 배우는 것을 넘어 한 인간의 절망과 희망이 무엇인지를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고 나의 삶의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하고 생각해 보는 소중한 시간이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