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깨달음의 빛, 청자 1
정찬주 지음 / 불광출판사 / 2024년 2월
평점 :
박물관에서 국보로 지정된 고려청자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 푸른빛이 마치 하늘의 구름 한 점 없는 맑은 날을 보는 것 같고 또 한 편으로는 밤하늘에 별을 담은 것 같은 묘한 매력에 빠져 들 때가 있다.
그것이 바로 청자의 아름다운 매력일 것이고 또한 하늘을 담은 그릇이라는 뜻일 것이다.
청자의 시작은 통일신라 후기 무역왕 장보고가 당나라와 교역을 하면서 당나라의 월주청자를 탐진(강진)으로 들여오면서 이전부터 탐진에서 만들어지는 토기에 월주청자 기술을 더해 비색청자를 생산하며 발전을 거듭한다.
이후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상감기법이 개발되어 청자의 표면에 아름다운 무늬를 넣을 수 있는 고려청자만의 독창적인 특징이 나타나며 고려를 대표하는 예술품 중 하나로 탄생하게 된다.
당시 고려청자는 고려왕실과 귀족 뿐만이 아니라 송나라 황실과 귀족들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천하제일로 평가를 받으며 사랑 받았고 이후 지금까지도 세계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으며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써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바로 이 책은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소중한 유산인 청자에 대해 우리가 잘 몰랐던 이야기들을 담아내고 있다.
1권에서는 장보고와 비색청자의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부모를 잃고 어려운 환경에 자란 장보고는 활쏘기 등 무예에 특출한 재능을 바탕으로 배고픈 사람들을 배불리 먹이고 행복하게 같이 살 수 있게 할 수 있는 장사꾼으로 부자가 되는 꿈을 가지고 당나라로 떠난다.
당나라로 건너간 장보고는 반란군 진압부대에서 큰 공적을 세우고 신라소 대사가 디고 큰 부를 이룬다.
신라로 돌아온 후 장보고는 청해진을 세우고 월주청자보다 더 아름다운 청자를 만들어 내기 위해 노력하지만 염장에 의해 허무하게 삶을 마감한다.
2권에서는 고려시대를 배경으로 고려초 탐진 출신의 노비들이 노비안검법으로 해방되어 청해진으로 돌아와 탐진의 비색청자를 다시 생산하고 더 발전시키는 과정 속에서 탐진의 이름 없는 도공들의 이야기를 전해준다.
고려청자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소중한 유산입니다.
자연의 색이지만 존재하지 않는 색을 非色이라 했는지도 모른다. 글로 표현하지 못하고 물감으로 표현하지 못하지만 마음속으로 그리워하는 색을 비색이라 했는지도 모른다.
[출처] 비색 도자기를 좋아한다.|작성자 갤러리 구만사
이처럼 이 책을 통해서 고려청자의 푸른빛을 보며 고려시대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으며,
자랑스러워 할 수 있었습니다.
고려청자는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예술품 중 하나로, 세계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고 이후 고려청자의 제작 기술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조선백자로 발전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