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이 책은 역사적 사실과 사료를 바탕으로 인조반정,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소현세자의 볼모 생활, 소현세자와 강빈의 죽음, 소현세자 아들들의 죽음 마지막으로 항전의 현장인 남한산성까지 역사이야기와 당시 동북아 정세를 읽기 쉽게 풀어쓴 역사 평설로 쓴 책이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광해군의 즉위와 자신의 왕권을 안정시키기 위해 형 임해군과 동생 영창대군을 죽이고 인목대비까지 폐하며 인조반정의 동기를 제공한다.
인조반정 후 이괄의 난이 발생하고 2일 천하로 끝나게 되는데 인조는 이를 계기로 기찰을 강화하고 입보처로 강화도와 남한산성을 정비하게 된다.
누르하치의 후금 건국과 친명배금 정책, 모문룡 가도 주둔 허락, 청 태조(누르하치) 조문, 광해군 혜위 문제를 거론하며 조선을 침략하는데 이를 정묘호란이라 한다.
정묘호란으로 정묘약조를 체결하고 후금은 철군하게 되지만 청 태종의 즉위식을 거행할 때 나덕헌과 이확이 삼궤구고두(머리를 조아려 절을 하는 예법)를 거부하면서 마침내 병자호란의 도화선이 되고 만다.
조선 정벌의 명분을 얻은 홍타이지는 12만 대군을 이끌고 조선 정벌을 일으키는 데 바로 병자호란이 일어나게 된다.
인조는 또다시 남한산성으로 도망치게 되는데 나라를 지키고 남한산성에 갇힌 인조를 구하기 위해 많은 병사들과 힘없고 죄 없는 백성들은 죽음을 맞이하고 강화도가 무너지면서 인조는 청 태종에게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며 삼전도의 굴욕과 함께 항복하게 된다.
전쟁이 끝나고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은 청에 인질로 끌려가고 50만 명이라는 많은 백성들이 청나라로 잡혀가게 된다.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갔던 소현세자는 8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 왔지만 두 달 만에 그는 세상을 떠난다. 소현세자는 청에 인질로 있으면서 서양의 과학 문명을 학습하고 돌아와 조선을 부강한 나라로 만들고자 했지만 그는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정묘호란, 병자호란의 발발은 과연 누구의 책임일까?
책을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자신만 살고자하는 무능한 임금과 자신들의 권력만 지키고 대명의리에 빠진 중신들일 것이다.
그로인한 전쟁의 최대 피해자는 백성들이었다.
한 군주의 무능함과 어리석음 그리고 지도자들의 잘 못된 선택으로 수많은 백성들이 목숨을 잃고 많은 사람들에게 고통과 괴로움으로 떨어트리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 번 뼈저리게 느껴본다.
역사는 우리들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이렇듯 잘못된 역사는 반복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