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너머로 달리는 말 (리커버 에디션)
김훈 지음 / 파람북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고시대 이전 태곳적 초원을 누비던 수많은 유목 부족을 통합하여 나하 북쪽의 대륙을 차지한 초나라

초나라는 글을 멀리하고 문자가 허술해서 초의 시원기속이 이야기들은 오랫동안 입으로 전해오다 후세에 글자로 옮겨졌다.

초나라는 꾸미지 않고 자연 그대로 원초적인 생활을 사랑했으므로 흐르는 강물을 숭상하고 특별한 건축물도 없고 농사도 짓지도 않고 사냥을 즐겨하는 그런 유목민족처럼 자연그대로의 삶을 지향하는 나라이다.

그런 반면 단나라는 나하 남쪽에서 바다에 이르는 대륙에 차지하고 있고 농사를 짓고, 집을 짓고, 문자를 알고 문자를 받들어 당대의 기록을 단사에 기록되어 있다.

 

처음부터 그 옛날 초원을 누비던 말이 자신의 등을 인간에게 허락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맨 처음 말 잔등에 올라탄 사람은 추 였다고 초원의 이야기를 전한다.

나하 상류 초원에 살았던 추는 양치기였다.

추와 무당 사이에 낳은 딸이 요 였다.

어느날 달 쪽으로 달려가는 말 떼를 보았는데 그 중 한 마리가 요와 눈이 마주치자 무리를 벗어나 요에게 다가왔다.

바로 이 말은 신월마의 푸른 수놈이고 이름은 총총이다. 총총은 푸른 말이라는 뜻이다.

초나라 토종말로 시원기에 기록되어 있는 초승달을 향해 달리는 말 신월마

하지만 추가 어떻게 총총의 잔등에 올라타서 말가 함께 달리게 되었는지는 시원기단사에는 그 기록이 없다.

총총은 그렇게 스스로 말 중의 으뜸이 되어 사람을 등에 태워 사람의 세상을 달렸다.

추는 기루가루 부족장에게 말타기의 놀라움을 알려주었다.

추는 그렇게 부족장의 군영에 머물며 들 말을 끌어다가 길들여서 군장들에게 말타기를 가르쳤다.

총총과 요의 관계를 의심한 추는 총총을 죽이고 부족장은 말타기의 비밀이 새어 나갈까 걱정하여 추를 죽인다.

죽은 추의 넋과 신월마 총총의 넋은 희미한 별이 되어 초승달이 뜰때면 하늘에서 말 울음소리를 내고 있다고 초원의 이야기는 전해온다.

이렇게 추가 죽고 총총이 죽은 뒤 모든 부족은 말을 길들여 타고 다니면서 싸웠고 싸움터 모든 사람과 말은 죽어나갔다.

 

초나라 목왕은 큰아들 표에게 나하 건너 대륙 남쪽 단의 땅을 명을 내리고 표는 신월마 일등품의 후손 토하를 타고 적진으로 향한다.

단나라 칭왕은 이번 전쟁의 총지휘를 군독 황에게 맡기고 비혈마 적통인 야백을 하사하여 전쟁에 임하게 하는데........

 

이 책에서는 태곳적 우리 인간들이 어떻게 말을 다루었고 추구하는 바가 서로 다른 문명이 어떻게 살아남고 살아졌는지를 가상의 역사소설을 통해 경험 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