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아 우리의 앞머리를
야요이 사요코 지음, 김소영 옮김 / 양파(도서출판) / 2022년 7월
평점 :
이 책은 일본 미스터리 소설로써 바람아 우리의 앞머리를 지나 메타세쿼이아 나뭇가지 끝을 울게 해다오. 라는 책에 나오는 단가의 구절을 책 제목으로 삼아 미스터리한 느낌에 책인 것을 제목으로 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카고의 남편인 다치하라 교고는 애견과 산책하던 중 괴한에 목이 졸려 살해당한다.
장례식 때 손자이자 양아들인 시후미의 조용히 웃고 있었던 모습에 다카고는 시후미를 의심하게 되고 이에 다카고의 조카인 탐정사무실에 잠깐 일을 했던 유키에게 이 사건의 조사를 의뢰 맡긴다.
사건 조사 중 시후미의 친부인 사이키의 죽음, 사이키의 죽음에서 발견된 다치하라 교고의 죽음의 진실 그리고 또 한 번의 시후미의 조용한 미소가 유키에게는 더욱더 강한 잔상을 남기고 시후미 주변을 조사하게 된다.
사이키의 죽음을 조사하던 중 시후미의 중학교 친구인 고구레 리쓰를 알게 되고 이 일련의 죽음의 진실에 한 발짝 나아가게 되는데......
유키가 과외를 해주었던 유리카의 사건과 자살, 시후미의 어린시절 학대와 공포 등 유키를 비롯한 어른들 누가하나 아무도 관심을 가져주지 못했던 현실들이 이 무서운 사건, 사고의 원인이 아니었을까?
죽음의 진실을 뒤쫓는 청년 유키의 시점에서 사건의 관점을 파헤치며 퍼즐조각 맞추듯이 진실을 찾아 죽음의 진실을 뒤쫓는 청년 유키
3인칭 시점에서 바라보고 있기에 사건의 발단과 결과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주변 인물들에 환경적, 심리적 묘사가 잘 그려져 있는 게 특징이다.
특히 유키와 시후미의 밀고 당기는 팽팽한 긴장감은 이 소설에 빨려 들어가게 하고 소설의 클라이막스를 극대화시키는데 충분하다.
탐정소설의 장점인 사건 주변의 인간관계를 뒤쫓는 과정을 아주 체계적이고 디테일하게 그리고 있으며 단가를 통한 시적표현이 다양한 스토리 해석과 탐정소설로써 충분한 재미거리를 선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