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전환매거진 바람과 물 3호 : 도망치는 숲 - 2021.겨울호
재단법인 여해와함께 편집부 지음 / 여해와함께(잡지) / 202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숲은 지구 전체 면적의 9.5%, 육지 면적의 약 31%를 차지하고 있으며 육상 동,식물의 80%가 숲에서 살아가며 1크기의 숲에는 약1000여 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숲은 이렇게 많은 생명의 터전이며 숲의 놀라운 생명력과 치유의 힘에서 우리는 겸허한 마음으로 숲의 가르침을 배운다.

 

이런 소중한 숲이 파괴되어 사라져 가고 있다.

인간들의 편리성만을 추구하고자 무분별한 개발과 농장물 공급을 위한 무차별적인 개간, 원자재 수급을 위한 파괴 등 이로인해 우리의 숲과 자연은 점점 더 줄어들고 있고 이에따른 기후변화와 자연재앙은 우리들에게 많은 시련으로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고 있다.

 

이를 계기로 환경문제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지하여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문제의 해결을 위해 파리협정을 채택했고 지구온난화를 막기위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많은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경제구조의 저탄소화, 재생에너지 개발 및 확대, 탄소중립 제도적 기반강화 등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바로 이 책에서는 자연과 숲의 파괴의 원인 그리고 문제 상황에 따른 기후위기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 각계각층다양한 전문가들의 인터뷰, 기고문, 담론, 토론을 통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 우리 스스로가 진진하게 고민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숲이 도망치고 있다.

숲이 점점 줄어들고 많은 동식물들이 멸종되고 기후위기에 따른 위험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포기할 단계는 아니다.

우리가 조금씩 노력한 다면 예전의 숲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

 

바로 이 책이 숲의 소중함을 배우고 숲을 존중하고 숲과 연결되는 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할 것이며 정책적 대안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우리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언제가는 태고의 고향인 숲으로 돌아가야한다. 그래서 숲은 영원히 그대로여야만 한다.

숲의 자리를 지키려는 사람들에 숲에 대한 이야기 이 이야기들을 통해 숲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