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을 걷다
홍미숙 지음 / 글로세움 / 2021년 11월
평점 :
500여년의 유구한 조선의 역사를 책 한 권으로 담아낸다는 것은 아마도 힘들고 어려운 작업일 것이다.
이 책은 저자가 조선의 오랜 역사를 이해하고 알아가기 위해 역사의 현장인 궁궐, 왕릉, 도성 그리고 역사 속 인물들이 살았던 생가와 유배지 등 인물들의 삶의 공간과 그 곳에 자연 속에서 당시 역사 속 인물들의 흔적을 직접 찾아다녔다.
오랜 기간 한 나라를 세우고 나아가기 위해서 몇 명의 사람들만으로 역사가 이루어 지지 않는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 것이다.
조선을 일으키고 역사를 만들어 나갔던 조선의 왕들과 문신, 무신들, 글을 쓰고 시를 짓고 그림을 그렸던 조선의 예술가들, 전란시기에는 수많은 의병들이 나라를 구했고 누가 잘못을 했듯 누구의 잘못이든 아픈 역사를 간직한 유배자의 유배길 등 이 책에서는 조선역사 500여년의 역사 속에서 그 역사를 만들어 갔던 인물들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역사 속 인물과 역사의 현장을 만남을 통해 지금의 나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역사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1장에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발자취를 따라 5대조 조상으로부터 전주 이씨후손에 이야기, 조선 개국 공신인 삼봉 정도전에 조선 건국의 이념과 철학 그리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읽을 수 있었고 조선을 지킨 이순신 장군의 칼에 새긴 길 ‘ 한 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강산을 물들이도다’ 장군의 결연한 의지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2장에는 명재상인 황희 정승의 파란만장한 정치 인생을 들여다 볼 수 있으며 조선의 여류 예술가인 신사임당과 허난설헌의 예술 혼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허난설헌의 꽃 피우지 못하고 애달프고 슬펐던 삶은 책을 읽는 내내 무거운 마음이 들었다.
다산의 하피첩에는 부지런함과 검소함에 대한 글을 적어 검소한 생활과 소비는 낭비를 막고 검소한 삶이 무엇인지를 가르치고 있는데 그 하피첩에 숨겨진 스토리를 통해 다산의 자식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을 느낄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누가 잘못을 했듯 누구의 잘못이든 비극적 삶을 마감한 단종과 연산군, 광해군의 유배 이야기 등 역사 속 인물들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직접 역사 속 인물들의 근거지를 찾아가 다양하고 많은 현장의 사진들을 역사 이야기와 함께 엮어 소개하고 있어서 마치 역사 탐방을 하는 것처럼 흥미롭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통해 조선역사 속 다양한 인물들의 다양한 삶의 이야기를 들여다 볼 수 있었으며 또한 내가 몰랐던 역사 이야기들을 옛날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옛날이야기처럼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