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정약용 - 시간을 거슬러 온 조선의 다빈치,‘실학 21’로 대한민국을 세계 중심에 서게 하다
윤종록 지음 / 행복한북클럽 / 2021년 7월
평점 :
절판


실제 생활하고 사용하는 것을 중시하는 실사구시의 학문인 실학하면 떠오르는 인물이 있다면 단연코 다산 정약용 선생일 것이다

다산선생은 당대 최고의 사상가이자 정치가, 행정가이며 과학자인 그는 죽음과 삶을 오가며 치열하게 살아왔던 18년의 유배생활 동안 실학을 집대성하고 끊임없이 연구하여 그 결과물을 21표를 포함한 500여 권에 달하는 방대한 저서로 남겼다.

 

이 책은 다산 선생의 유배생활을 시작으로 1818년 선생이 강진에서 해배되어 귀경 중 21세기 대한민국으로의 시간여행이라는 저자의 풍부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지금의 사회문제들과 현안들의 해답 그리고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다산선생의 실학사상과 정신을 통해 지금의 어려운 숙제들을 풀어보고자 한다.

 

지금의 우리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정치 세력의 대립, 집단적이고 폐쇄적이며 배타적인 관계로 미래의 이야기는 하지 않고 과거로의 집착만으로 서로를 트집 잡고 소모성 경쟁만을 하고 있어 미래에 대한 희망의 빛이 희미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 책은 정치, 교육, 경제, 농업, 금융, 국방, 문화 등 그간 쌓였던 우리 사회의 숙제들과 나아갈 길을 다산 선생의 혁신적 사상과 실학사상을 바탕으로 한 21세기 경세유표 정책건의서를 통해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 함께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저자의 상상력을 통해 다산 정약용 선생의 부활과 현실에서는 마주할 수 없는 다산과 정조와의 만남, 다산과 전 이스라엘 대통령 페레스의 만남, 다산과 김일성과의 만남까지 상상을 초월한 세기의 대담을 이 책을 통해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산 선생은 당파의 탈피와 양극화로 인한 파벌 의식의 타파를 강조하며 그 출발선은 바로 화합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화합이란 과거로의 회귀를 의미하는 기억이 아니라 미래를 준비하는 새로운 꿈에 있음에 명심해야 할 것이며 과거보다는 현재를, 현재보다는 미래를 더 가치있게 만들자고 하였다.

 

지금은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한 시기인 것 같습니다.

표를 의식하여 판단하는 기존의 정치가 아닌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걸어가야 할 세대를 생각하고 미래를 내다보고 오로지 국민만을 생각하는 정치적 리더십이 필요한 때인 것 같습니다.

 

이 책을 통해 실학을 재해석하고 오늘날의 문제에 대해 통찰력이 생기고 문제의 해결 방향성을 제시함으써 실학이라는 사상은 현재와 소통하고 있는 살아있는 학문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