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의 도시 - 공간의 쓸모와 그 아름다움에 관하여
이규빈 지음 / 샘터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 생활 속에 기본요소인 의식주의 주() 생활공간 건축은 문명이 발달하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선사시대에 동굴이나 움막집에서 생활하다 시대가 발전하면서 지역의 자연환경, 종교와 문화 등의 영향을 받아 우리의 주거문화와 건축물은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또 요즘은 어떠한가?

우리들이 생활하는 공간인 집, 건물은 투자의 대상으로도 변화하고 있다.

 

이 책은 우리들의 생활공간인 건축에 대한 이야기를 건축가인 저자의 눈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건축물을 직접 현장에서 보고 건축에 기술적인 부분과 예술적인 부분들을 도시와 사람들에 이야기와 함께 우리들에게 그 즐거움을 소개하고 있다.

 

일본의 독특한 모양의 미우미우 아오야마의 금속재질 외장재에 깜짝 놀라고, 중국의 닝보 역사박물관의 다양한 조형과 각도의 외벽은 묘한 풍경을 자아낸다.

건축은 자연환경과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로 미국의 그레이스 팜스는 건축이 자연환경과 어떠한 관계를 가져야하는지 잘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브라질에 아라메 극장, 프랑스의 역사를 간직한 수도원 건물 등 이 책에서는 우리가 잘 몰랐던 여러 나라의 도시 건축을 도시의 풍경과 함께 우리의 눈을 즐겁게 할 것이다.

 

이 책에서는 저자의 건축에 대한 기록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일과 여행을 다니며 도시와 건축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글과 사진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건축의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등 도면을 직접 그려 넣어 사진과 도면을 통해 건축의 기술적인 면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건축은 공간에 대한 사람과 사회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탐구하여 공간으로 구현해내는 작업이라 말하고 있다.

 

아마도 건축은 빈 공간에 선이 그어지고 그 선 위에 벽이 올라가고 지붕이 덮이는 그 일련의 과정의 결과물 일 것이다. 이 또한 우리의 삶과도 같으니 건축은 우리의 삶과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