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옛길 사용설명서 - 서울 옛길, 600년 문화도시를 만나다
한국청소년역사문화홍보단 지음 / 창해 / 2020년 7월
평점 :
‘서울 옛길 사용설명서’ 이 책은 서울자유시민대학의 제2차 민간연계시민대학 운영사업인 ‘서울 옛길 문화콘텐츠 발굴과 활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시민들이 직접 역사인문 지식공유 활동을 통해 서울 옛길12경을 답사하고 길 위에서 만난 서울 한양의 600년 역사와 문화, 지리 등 서울 옛길 속에서 만나는 인문학 안내서입니다.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서울 옛길 12경은 인왕산, 북악산, 낙산, 남산에서 흘러 내리는 10개의 물길과 한양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2개의 길을 말하고 있으며
이 책이 소중한 이유는 시민들이 직접 서로의 역할을 분담하여 자료를 찾고 현장을 답사하고 현장의 사진을 촬영하고 직접 내용을 구성하여 만들어 진 책이기에 그 무엇보다 소중한 자료가 아닐까 생각한다.
지방에 사는 저에게는 서울에 많은 산과 그 많은 산에서 흘러내리는 30여개의 내천이 있었고 100여 개의 다리가 있었다는 게 신기했었고 그 많은 수로가 지금은 대부분 복개되어 그 흔적을 찾지 못한다는 게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그 옛날 아름다운 서울의 옛 모습을 상상할 수 있게 해주어서 지금은 볼 수 없은 옛 모습이지만 책을 통해 볼 수 있다는 게 그래도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정선의 아름다운 인왕산 그림을 보며 인왕산의 역사 흔적을 찾아보는 것도 흥미로 왔고, 옥류동천길 풍류의 길을 걸으며 옥류동천과 함께하며 예술과 문학을 사랑했던 수많은 사람들의 역사를 찾는 재미도 이 책을 통해 느껴보면 좋을 듯 하다.
삼천동천길에는 현재 약 20여 개의 갤러리들이 각자의 개성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는데 이 책을 들고 직접 찾아가 체험도 해보면 서울의 옛길을 만끽 할 수 있을 것 같다.
조선시대의 대표적 약방거리 구리개길, 이 길에서는 그 옛날 조선시대의 약방거리의 흔적과 향수를 찾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하다.
이 책에서는 옥류동천길 부터에서 구리개길 까지 서울 옛길 12길을 과거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으로 역사, 문화, 지리 등 인문학적 관점에서 소개하고 있으며 옛 지도와 직접그린 현재의 손 지도 그리고 많은 사진을 통해 서울태생이 아닌 저에게도 충분히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정보를 가진 책이라 생각합니다.
가장 아쉬웠던 건 아마도 예산부족 때문에 사진이 흑백이라 칼라사진 이였으면 더 좋지 않았을 까라는 개인적인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