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 가게에 갈까? - 헬싱키 중고 가게, 빈티지 상점, 벼룩시장에서 찾은 소비와 환경의 의미
박현선 지음 / 헤이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다양한 물건들이 홍수처럼 넘쳐나는 세상에 살고 있다.
인구가 늘어나고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이 보편화 되면서 수많은 제품들이 생산되고 또한 버려지면서 낭비와 환경오염 그리고 엄청난 양의 쓰레기와 전쟁이 시작 되었다.
특히 버려지는 물건들로 인한 환경오염 및 쓰레기 사태를 통해 우리의 생산방식과 소비방식을 다시 한 번 되돌아 봐야하는 시점이 된 것이다.
이 책은 저자가 핀란드에 살면서 환경문제를 낳고 있는 현재의 소비와 생산방식의 문제는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들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를 핀란드의 순환경제시스템을 바탕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중고가게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고민을 같이 해보고자 한다.
상상을 초월하는 헬싱키의 중고가게들 두세 불럭마다 하나씩 있는 중고가게 우선 핀란드의 중고가게는 이처럼 소비자들이 이용하기에 접근성이 좋다.
핀란드에 중고가게 시스템은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벼룩시장 및 중고 거래 지역행사, 기부형 중고가게, 판매대행 중고가게, 빈티지 의류상점, 고가의 골동품 상점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핀란드에서의 중고문화는 특정한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닌 평범한 사람들의 문화이며 삶의 일부분처럼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문화이며 경제시스템으로 자리를 잡았다.
중고제품 백화점이라 불리는 ‘재사용 센터’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수선과수리, 환경문제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고 취약 계층을 적극 고용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그 기반을 다져가고 있다.
기부형 중고 의료가게 ‘우프’는 옷과 신발을 비롯한 모자, 스카프 가방 등 패션 물건 등을 취급하는데 젊은이들 사이에 매우 인기가 높고 호응을 끌고 있다. 패션에 관심이 많은 핀란드 젊은이들이 중고문화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우프’ 중고가게를 통해 젊은이들이 유행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자기 모습을 표현하고 즐기기 위해 중고가게를 이용하는 모습들을 보면서 다시 한 번 우리의 중고문화에 대한 생각을 되돌아보게 된다.
핀란드에만 있는 ‘잇세빨베루 시스템’ 판매 희망자에게 자릿세를 받고 진열장을 대여해주는 판매대행 시스템 이 중고문화 시스템은 우리나라에도 있으면 아주 좋을 듯 하다.
자신의 물건을 값을 정하고 한 기간 동안 매대에 진열만 하면 가게에서 판매를 해주고 자신은 수수료를 뺀 금액을 가질 수 있으니 시간도 절약되고 재활용도 가능하고 아주 좋은 시스템인 것 같다.
다 소개는 못 드렸지만 이처럼 핀란드에는 수 많은 형태의 중고가게들이 있다.
삶의 일부가 되어버린 핀란드의 중고문화 어릴 때 부터 부모의 손을 잡고 자연스럽게 중고문화를 배우고 재활용을 통한 물건의 가치를 알아가고 소비와 환경에 대한 생각을 스스로 하게 되면서 환경문제를 고민해보고 더 나은 미래를 향해 우리들이 무엇을 해야 되는지를 이 책을 통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