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위한 인문학 - 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노은주.임형남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다. 집을 짓는 것 또한 이와 같을 것이다.

빈 땅에 벽이 올라가고 지붕이 덮이는 그 과정이 우리의 삶과도 같다.

 

가족이 변화함에 따라 집의 구조도 바뀌게 되고 집에 개념 또한 소유가 아닌 잠시 머물다 가는 공간으로 변화하는 것 같다.

어떤 사람에게는 집이 투자의 목적일 수가 있고, 어떤 사람에게는 집이 가족의 안락한 보금자리일 것이고, 또 어떤 이에게는 집이 잠시 머물다 가는 공간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인류의 역사상 첫 건축물이자 공간의 창조인 집에 대해 인문학적으로 풀어 이야기하고 있다. 집은 우리에게 무엇이며, 집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그리고 과연 어떤 집이 좋은 집일까? 라는 물음에 난 이 책을 읽고 스스로 그 답을 찾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좋은 집은 어떤 집인가?

비싼 집, 큰 집, 교통이 편리한 집, 위치가 좋은 집, 전망이 좋은 집, 새 집 등 다양한 의미의 좋은 집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난 아마도 가장 좋은 집은 큰 집도 아니고, 비싼 집도 아닌 작은 집이라도 사랑하는 가족들이 있고 따뜻한 온기가 있는 그런 편안하고 가족의 추억이 있는 그 공간이 바로 좋은 집일 것이라 생각한다.

 

1장 가족을 품은 집, 2장 사람을 품은 집, 3장 자연을 품은 집, 4장 이야기를 품은 집 이렇게 구성이 되어있다.

많은 사진이 첨부가 되어있어 책을 읽는 내내 지루하지 않고 정말로 살고 싶을 정도로 예쁘고 따뜻한 집들이 소개되고 있다.

특히 평창동 푸른 수영장이 있는 집은 우리아이들이 참 좋아할 것 같았고, 지리산 한가운데 십리벚꽃길이 내려다보이는 적이재라는 집은 그 아름다움에 내 아내와 내가 살고 싶은 그런 집이었다.

 

조금 아쉬운 점은 집은 땅과 주변 자연환경 또한 중요한 요소라 생각이 드는데 집 주변의 자연환경과 땅에 대한 이야기와 사진이 조금 부족한 것이 아쉬웠지만 그래도 집에 대한 의미와 개념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