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도시 이야기 - 서울.평양 그리고 속초.원산
JTBC <두 도시 이야기> 제작진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과 평양 그리고 속초와 원산 두 도시는 오랫동안 서로 다른 방향으로 걸어갔던 두 도시가 남과 북이 앞으로는 느리지만 천천히 같은 방향으로 걸어 갔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고 이 프로그램의 제작의도 였을 것이며 이렇게 책으로도 출간이 된 것 같다.

 

음식에는 한 도시의 문화와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의 생활상 그리고 트렌드가 담겨있다.

서로 다름과 조금은 비슷하지만 같은 음식문화를 통해 조금은 가까워 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고, 다름은 다름으로 인정하고 그 위에서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의 간격을 조금씩 좁혀 나간다며 우리네 사는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바로 이 책이 우리들을 조금은 가깝게 하기위한 기회이자 한걸음을 내딛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옥류관은 방송에서 많이 들어보고 했지만 청유관은 조금 생소하다.

청유관 대동강 숭어국은 사진으로만 봐도 탕요리 국물을 좋아하는 나도 그 맛을 맛보고 싶은 충동에 군침을 흘려본다.

우리나라 제주도 또한 생선국이 많다. 북한의 생선국은 어떤지 비교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옥류관 하면 평양냉면이 생각이 나지만 고기쟁반국수 또한 북쪽에서는 유명하다.

원래 소의 뱃살로 만든 어복쟁반을 본떠 닭고기로 만든 고기쟁반에 면을 더하여 고기쟁반국수가 되었다고 한다.

평양온반의 유래를 보며 사랑하는 이를 위한 음식이 바로 평양온반이구나 그래서 북한에서 잔치음식의 대명사인 이유를 알게 되었다.

 

평양에서 동쪽으로 2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동해안의 아름다운 도시 원산이 있다

그리고 그 아래로 동해바다를 통해 이어진 가깝고도 먼 도시 속초가 있다.

남북이 갈라지기 전에는 원산과 속초는 철도와 도로로 이어져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두 도시를 잇는 길은 끊겨있지만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우리의 마음속에 기억 속에 길을 다시 잇고자 한다.

신평휴게소에서 맛본 쏘가리탕은 우리네 쏘가리탕과의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기도 하였고, 원산 돌불고기는 정말 특색있는 돌불고기가 아닌가 싶다

우리들은 판으로된 돌판에 구워 먹을 수 있는데 원산 돌불고기는 자연의 돌을 250도로 달궈 이 돌위에 고기를 구우는 것인데 사진으로만 보기에는 아쉬웠고 정말 먹어보고 싶었다.

 

동해안과 마주하고 있는 원산은 식문화 자체가 동해안의 식재료를 사용을 해서인지 유현수 셰프는 동질감을 느꼈다고 말하면서 어릴 때 할머니가 해주신던 음식의 추억과 기억들이 다시 살아났다고 한다.

 

이 책은 사진이 참 많다. 북한의 음식문화 뿐만이 아니라 일상생활, 풍경 등 다양하게 사진을 첨부하여서 책을 읽고 보는 내내 즐거웠고 재미가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