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베네트 서프, <내멋대로 출판사 랜덤하우스>, 씨앗을뿌리는사람 2004


p.56

역설적이긴 하지만 책을 거의 읽지 않는 까닭에 더욱 많은 책을 팔 수 있었다.


p.78

나는-아, 진심으로-미리엄을 사랑했다.


p.107

글쟁이란 놈들은 하나같이 개새끼들이란 거지!


p.135

사실상 책이야말로 세상의 모든 환락 중에서도 가장 값싼 것이 아니겠는가.


p.259

어떤 작가들은 언제 글쓰기를 그만두어야 하는지 정확히 알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작가들은 뭔가 계속 할 말이 남아있다고 우기게 마련이다. 평론가들은 이런 경우에 출판사를 비난하게 마련이다. 이 원고, 또는 저 원고를 차라리 내지 않았어야 하는데, 출판사의 욕심으로 결국 작가들에게 누를 끼치고 있다는 식으로 말이다. 하지만 출판계의 생리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라면, 우리가 유명한 작가의 어떤 작품을 거절한다고 하더라도 결국엔 다른 출판사에서라도 책이 나오게 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작가와 출판사와의 관계가 아무리 오래 튼튼히 지속되었더라도 결국 영영 끝장나게 된다는 것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p.294

우리는 앞으로 이 책이 비소설이 아니라 소설이라고 널리 알림과 동시에, 책의 제목도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사나이>>에서 <<너무 말을 많이 한 사나이>>로 바꿀 생각입니다.


p.366

그는 책 광고를 진흙 구덩이에 빠진 자동차에 비유했다. “차가 진흙 구덩이에 푹 빠지면, 열 사람이 달라붙어도 꺼낼 수 없다. 하지만 약간이라도 움직일 수 있다면, 단 한 사람이 밀어도 꺼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미 죽은 책은 아무리 광고를 쳐도 소용이 없다. 하지만 약간이라도 살아날 기미가 있으면, 즉 조금이라도 나가는 책이라면 한두 번의 광고를 통해 좀 더 팔리게 할 수 있다.


p.367

광고를 보는 독자들은 대부분 자기들이 알지 못했고, 또는 조금 들은 바가 있어서 기회가 되면 사려고 했던 새로운 책을 찾는다. 하지만 대부분 자기 관심 분야의 책이 아니라면 전혀 거들떠보지도 않고 그냥 넘어간다.


p.389

내 생각에 저자들에게 지나치게 간섭하는 편집자들은 대개 그 스스로가 좌절한 작가인 것 같다.


p.393

뭔가 새로운 책을 위한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편집자는 종종 나중에 가서 훨씬 더 큰돈을 버는 경우가 많은 반면, 단지 남의 밑에서 원고를 뒤적이며 출판의 온갖 힘든 일을 맡아 하는 실무 편집자들은 그렇지 못하다. 그런 편집자들은 말하자면 커다란 여객선이 제일 아래 칸에서 힘들게 고생하며 석탄을 삽으로 퍼야 하는 노동자들과 비슷하다고 할까? 그 배의 갑판에서는 선장이 유유자적 앉아서 아름다운 아가씨들과 희희낙락 노닐고 있는데 말이다. 이것이야말로 오늘날의 현실이고, 그렇기 때문에 자기 손으로 아름다운 가구를 만들어 내며 자랑스러워하던 장인 정신으로 힘든 일을 하겠다는 사람이 점점 줄어드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