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비
윤정란 지음 / 차림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호랑녀님 리뷰 보고 읽고 싶다 생각했는데 절판되어 속절없이 보관함에 두고 있다가, 호랑녀님이 빌려주셔서 읽었다. 절판되기는 아까운 책이라 생각했는데, 검색해보니 이가출판사에서 2003년에 다시 나온 모양이다. 조선 왕조사를 왕비 중심으로 요약 정리한 품새라, 읽다 보니 “용의 눈물” “장희빈” “여인천하” 등등이 한줄기로 엮이는 기분이 든다.

정치경제사 중심으로 역사를 배우다 보면 어느 한구석에서도 여성을 보기 어려울 때가 많다. 공적인 영역은 모두 남성 지배계층이 장악한 결과, 마치 그 시대에는 여성이 살지 않기라도 한 듯이 책 속의 역사에서 살아 움직이는 인간은 주로 남성인 왕과 정치가다. 어린이 역사책을 만들 때의 경험인데, 책 전체에 걸쳐 그림에 여성이 단 한 명도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군중 장면에서는 여성과 남성을 고루 그리지만,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 장면이 없는 것이다. 화가가 여성인데도, 특별히 성별을 지정하지 않는 한 남성만을 주인공으로 그림을 그려오는 경우가 많다. 화가와 함께 새삼 그 사실을 깨닫고 서로 충격을 받아 그림 설정을 다시 하기도 했고, 정치와 전쟁 중심으로 진행된 책인 경우에는 달리 방법이 없어 왕 그림 옆에 왕비 하나 억지로 끼워 넣기도 했다. 화가와 편집자의 상상력 자체가 이미 남성 중심적으로 세뇌된 결과라 할까. 그래서, 이렇게 과거에 살아 움직였던 여성들을 알려주는 책이 나왔다는 사실이 고맙다.

다만 500년 조선 왕조의 왕비들을 한 권에 모두 담은 책이라 왕비 한 사람 한 사람을 집중 소개하지는 못했다. 그래서 공식적인 역사 기록 이곳저곳에서 왕비에 관한 부분을 모아 정리한 내용이기에,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까지가 당시 사관에 따른 왜곡인지 밝히기에는 지면이 부족했다. 좀더 입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만한, 다른 책들이 출간되기를 바란다.

문장은 대체로 읽기 쉬운 편이지만, 협군 육궁 봉사(封事) 궤장(几杖) 등등 단박에 알아듣기 어려운 역사 용어들을 한자도 병기하지 않고 그냥 쓴 것이 불만스럽다. 무슨 말인지 몰라 읽는 중간중간 사전을 찾아봐야 했다. 그리고 몇 가지 잘못된 부분이 있던데, 이가출판사에서는 바로잡아 냈는지 모르겠다. 잘못된 부분을 적어보자면,

첫째, 143쪽에 장렬왕후 “조씨는 숙종 14년에 세상을 떠났다. ... 나이는 전비 인렬왕후 한씨가 임신했던 때와 같은 마흔두 살에 불과했다.”고 했는데, 138쪽에 나온 대로 장렬왕후는 1624년생이니 마흔두 살에 세상을 떠났다면 1666년에 죽었다는 말이 된다. 그런데 장렬왕후는 1688년에 세상을 떠났다. 게다가 136쪽에 보면 인렬왕후는 마흔둘이 아니라 마흔넷에 임신했다고 나온다.

둘째, 173쪽에 인현왕후 “민씨가 왕비로 간택된 것은 시어머니 명성왕후 김씨의 아버지인 김우명의 역할이 컸다.”고 했다. 그런데 민씨는 1681년에 왕비가 되었지만, 이 책 163쪽에 김우명은 1675년에 죽었다고 했다.

셋째, 213쪽에 정성왕후 서씨는 “1757년 2월 15일 예순여섯 살을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고 했는데, 200쪽에서는 1755년에 세상을 떠났다고 나온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정보를 제공하는 ‘엠파스 한국학지식’에서 검색해본 결과 정성왕후가 세상을 떠난 것은 1757년이 맞다.

넷째, 241쪽에는 [춘추]를 “중국 노나라 사관이 만든 책에 공자가 첨삭한 유교경전으로, 기원전 722년부터 242년에 걸친 춘추시대의 역사책”이라고 했는데, [춘추]가 다루는 시대는 기원전 722년부터 기원전 481년까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