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수꾼 - Bleak Night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유명한 <호밀밭의 파수꾼>의 마지막 말은 (원서로) 이렇다고 한다.
"Don’t ever tell anybody anything. If you do, you start missing everybody."
우리말로 된 번역본에서는 뒷 부분이 "말을 하면 쓸쓸해지니까"였을 거다. 한동안 누군가 자신의 미니홈피에 이 구절을 적어두었기에 나도 외운 것. 말을 하면 쓸쓸해지니까...볼 때마다, 보는 즉시 쓸쓸해지고, 자꾸 보면 더욱 쓸쓸해지는, 참으로 슬프고도 아름다운 문장이라는 생각을 자주 했던 기억도 난다.
영화 <파수꾼>의 세 아이도 말을 해서 모두 쓸쓸해졌다.
말해보라는 친구의 말에 우물거리며 제대로 대답하지 못하는 사이, 짐작하고 오해하고 그 행간의 틈까지 쌓여가는 사이 -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이야기도 있는 거잖아!'라고 절규하듯 갑갑함을 내뱉고 나서 상대가 그나마 그 '말'을 이해해주길 바라는 순간, 기태는 모두를 잃었다 - start missing everybody.
아니나 다를까, 윤성현 감독의 인터뷰 기사를 보니 원래부터 <호밀밭의 파수꾼>을 무척 좋아해서 제목을 파수꾼으로 지었고, 영화의 전체 분위기도 그 책과 흡사해졌다고 한다. 잘못 본 게 아니었구나. 아 - 하지만 내 눈을 의심해야 했다. 책이라면, 수많은 텍스트로 작가가 혼자서 마음껏 '말하지 않는' 것들을 표현할 수 있었지만, 영화다. 혼자만의 작업이 아닌 영화에서, 그것도 아주 열악했을 것이 뻔한 독립영화 제작 환경에서, 어떻게 그 분위기를 이토록 완벽하게 표현했지? 그저 놀라웠다. 보면서도 놀랐고 본 후에도 놀람이 가시지 않는다. 그래서 평론가 정성일이 '나쁜 영화를 보면 나빠지고 좋은 영화를 보면 좋은 사람이 된다' 고 했던 말이, 이제는 체험으로 이해가 간다 - 이 영화를 보고 나는 아주 약간 좋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되었다고 느꼈으니까.
놀라운 여러 가지 이유 중 하나.
이제껏 청소년이 주인공인 영화도, 책도, 그 외 다른 매체들도 넘지 못했던 - 어쩌면 넘지 않았던 - 한계를 가뿐히 넘겼다.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 - 개뿔, 아이들 입장에서는 말도 안 되는 소리다. 그런데도 어른이 만든 모든 책과 영화는, 아이들을 미래에 어른이 될 존재로만 인식해 왔다. 그래서 '성장영화'라는 딱지표가 늘 붙어있고, 보는 사람도 만드는 사람도 연기하는 사람도, 아이들의 통증을 굳이 '성장통'이라는 수식어 안으로 밀어넣기 바빴다.
그러니까, 다시 말해, 아이들을 소재로 한 영화들 중에 - 적어도 내가 본 한국영화 중에 - 아이들의 현재를 함께 사는 영화는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게다.
이것이 한계라는 건 누구나 알았겠지만, 넘기 힘들다는 데 무의식적으로 동의해왔다.
아이들의 현재를 미래와 상관짓지 않고 바라보기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면서.
영화 <파수꾼>은 그래서 아예 처음부터 죽음을 전제로 하고 시작한다. 기태라는 아이의 미래는 죽음 그 후, 존재는 십대였던 그 시기에서 삶을 멈췄으니, 적어도 한 아이의 미래는 '없다'는 지점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더이상 아이들을 미래로 향하는 존재로 보지 않고 현재를 사는 아이들로 바라볼 수 있는 특권을 2시간 동안 누린다. 그래서 그 2시간 동안, 남자 고교생의 성장을 그린 뻔한 영화가 아니라, 인간 - 그리고 인간 간의 관계를 그린 영화를 보며, 갑자기 삶 그 자체에 대한 수많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는 자신을 깨닫게 되고, 평소에는 저 멀리 치워두었다고 생각한 심오한 고민에 빠져 옴짝달싹 못하게 된다.
이 글을 읽어주신 분들께 감히 바라건대, 새털처럼 가벼운 나날들 중에 꼴랑 2시간과 8천원의 비용만 치루고 선뜻 '심오한 고민'에 풍덩 빠져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마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