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취향은 설명할 수 없다”라는 말은 아주 지당하지만, “취향을 세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숨길 수는 없다”라는 것이다. 그리고 곰브리치가 말하는 ‘취향을 세련하기’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이 이 책의 맥락에서 말하면 ‘취미를 서술하는 표현’에 관한 문제이다. 예를 들면, 와인 테이스팅에서는 특정 미각에 대응하는 다양한 어휘들을 배우는 과정을 통해서 미묘한 감각의 차이와 관계, 동일성, 연상 작용 등을 조금씩 깨우치게 된다. 하지만 와인의 미각을 설명하는 어휘를 ‘무겁다/가볍다’, ‘쓰다/달다’ 정도만 알고 있는 나란 사람은 언제까지나 ‘취미를 세련하는’ 경지에는 이르지 못한다. 개개의 경험이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각각의 인상으로 뿔뿔이 흩어진 채로, 서로 뚜렷한 연관이 있는 지식 체계로 발전해나가지를 못한다. 예술(음악) 체험에서도 감각적 인상과 말의 관계는 이와 아주 비슷할 것이다. 

‘듣는 형식’이라고 하면 풍부한 청취 체험을 특정 패턴에 욱여넣는 불편한 거푸집 같은 느낌을 줄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이 ‘형식’이 지닌 공동체 형성의 힘에 주의를 기울이고 싶다. ‘이런 게 오면, 그건 이런 거지’ 하는 약속이 있기에, 비로소 음악은 모차르트가 묘사하는 콩세르 스피리튀엘처럼 여러 사람의 마음을 하나로 묶기도 하고, 암묵적인 룰을 확실히 벗어난 것을 보여줌으로써 큰 갈채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음악은 결코 그 자체로 존재하지 않으며, 항상 특정 역사/사회로부터 만들어지고, 특정 역사/사회 속에서 들려진다. 우리가 아무리 자기 마음대로 음악을 듣고 있다고 생각하더라도 실상은 반드시 어떤 문화의 문맥에 의해 규정된 방식으로 듣고 있다. 그리고 ‘어떤 음악은 잘 모르겠다’라는 사례의 대부분은 대상 음악과 청자의 ‘듣기 구조’의 차이에 기인하는 듯하다. 우리가 모두 특정 역사/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한, 음악을 듣는 방식 또한 그로부터 영향받은 편견이 작동할 수밖에 없다. 어떤 선입관도 없이 자유롭게 음악을 듣는다는 것은 누구도 불가능한 일이다. 

그 음악을 어쩐지 도중에 끊으면 안 된다고 느낄 수 있는가, 어떤가? 이것을 가장 중시하고 싶다. 

음악은 문학과 같이 개념을 통한 정보 전달 방식이 아니다. 조형예술과 같이 객관적인 인식의 대상도 아니다. 그것은 공기의 진동을 통해서 고막을 애무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행동거지의 페이스가 자신과 비슷하거나 설사 다르더라도 그것이 좋은 보완관계(이른바 ‘보케와 쓰코미’ 같은) (만담에서 주고-받는 역할을 하는 두 사람을 일본에서는 보케와 쓰코미라고 한다_역자)를 이루는 사람과 어울리는 게 편안하기 마련이다. 반대로 서로의 리듬이 하나하나 상쇄되는 듯 느껴지는 사람과 함께 있으면 몹시 피곤하거나 짜증이 난다. 그리고 인간관계에서만이 아니라 사람과 음악의 관계에서도 이와 비슷한 일이 종종 발생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23-12-22 01: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이 책 어때??

치니 2023-12-22 12:17   좋아요 0 | URL
지금은 너무 초반이긴 한데 술술 읽혀서 재밌을 거 같아요. 클래식에 이제야 관심 생긴 저같은 사람에게는 딱임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