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공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 가고 싶은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
홍경숙 외 지음 / 창비교육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는 아이들이 생활하는 곳이다. 학습 뿐만 아니라 삶 자체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세상은 빨리 변화하는데 가장 느리게 변화되지 않는 곳이 있다면 학교를 빼놓을 수 없다. 학교 건물 뿐만 아니라 교실 구조, 학교 놀이터 등 어른들의 시각으로 만들어 놓은 학교 환경 속에서 창의성을 강조하는 21세기에 우리 아이들이 살아가고 있다. 몇 년 전부터 학교 공간 혁신에 관한 의견들이 곳곳에서 분출하기 시작했고, 그 일환으로 학교 놀이 환경을 아이들의 시각에서 만들어보자는 놀이터 조성 사업이 전국 곳곳에서 시행되고 있다. 학교 놀이 환경을 바꾸는 일에는 예산도 필요하고, 놀이터의 안전을 책임질 인력도 필요하며 설계부터 구성에 이르기까지 전문가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협업이 필요하다. 얼렁뚱땅 지어 놓고 보자는 생각은 안 된다. 긴 호흡으로 아이들의 노는 모습을 보고 보완하고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교 놀이 환경은 일정한 공간으로 한정 지을 필요가 없다. 학교 전체가 아이들이 놀 수 있는 공간이라고 봐야 한다.


간 주권이란? 공간에 대한 권리가 자신의 것이라는 것을 스스로 깨닫는 것. 학교는 단지 학습의 현장이 아니라 아이들의 삶의 공간이라는 점을 인식한다면 학교 공간의 주권은 오로지 아이들에게 돌아가야 하고, 공간을 구성할 때 아이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조성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학교 공간 수업을 통해 아이들의 공간을 직접 보고 느끼는 과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홍경숙 건축 교육가가 말하는 건축 교육이란, 아이들의 현재 및 미래의 삶 또는 삶의 터전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는 것, 그리고 아이들에게 삶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볼 시간을 마련해 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한국의 놀이터는 아이들을 생각하기보다 놀이터 짓는 일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런 놀이터에서는 창의성이 생길 수 없다. 놀이터에서 실패와 좌절을 선경험시켜 주어야 한다. 아이들이 자기 몸을 가지고 가지고 놀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어야 한다. 감수할 수 있는 정도의 위험이 존재해야 한다. '살아 있는 위험을 만날 수 있는 곳' 이어야 한다. 편해문 디자이너의 놀이 철학을 한 마디로 정리하면 재미, 도전, 안전이다. 그에게 영감을 준 이는 독일의 귄터 벨치히이다. 귄터 벨치히는 76세가 되기까지 45년동안 약 15,000개 정도의 놀이터를 만들었다고 한다.


낙서 공간을 공식적으로 만들수 있다. 계단 벽공간을 누구나 자유롭게 낙서할 수 있는 곳으로. 암막 스크린을 설치하여 영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다. 로리스 말라구치는 공간이 제3의 선생님이라고 말한다. 공간이 학생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현재 학교는 고립된 섬으로 존재해 왔다. 학교 교육과정 자체가 외부와 연계되는 일이 거의 없다. 학령 인구가 점차 감소되고 있다. 학교의 잉여 공간을 과감히 지역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도록 공개할 필요가 있다. 학교는 이제 폐쇄적인 공간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연결되어야 한다. 학교에서 버려진 공간, 잘 쓰이지 않는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예산이 적지 않게 소요되지만 빈 공간을 잘만 활용하면 몇 배의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