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민주시민교육을 만나다! - 어떻게 제대로 된 민주시민교육을 할 것인가?
김성천 외 지음 / 맘에드림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는 시민을 경험하는 장소여야 한다!


학교는 입시를 준비하는 기관이 아닌 학생의 삶 속에서 시민성을 기를 수 있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고 저자들은 주장한다. 미래를 위해 현재의 결핍을 참아내는 삶이 아니라 현재의 행복을 위해 오늘의 시민으로 존중되어야 할 대상이 학생이라고 본다. 지금까지 학생들을 한 사람의 시민으로 인정하기보다 수동적 존재로 인식한 점이 많다. 학생은 통제해야 되고 순치의 대상이었다. 그래서 교육기본법의 정신을 살려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이 '민주시민'을 위해 정부차원에서 팔을 걷어 부치고 강조하고 있다. '민주시민' 육성은 문재인 대통령의 교육공약사항이기도 하다. 교육부, 도교육청 차원에서는 '민주시민교육과'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교원들을 대상으로 민주시민연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저자들은 이구동성으로 민주시민교육은 학습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시민성은 학습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되어야 한다!


민주시민을 위한 교육도 중요하지만 모든 과정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에서 만들어지는 교육과정과 학교문화, 학생 자치, 지역사회, 교육정책 등 모든 과정이 민주적 절차대로 경험되어야 한다. 독일은 시민교육 대신 '정치교육'이 정식 교과로 다루어지며 '보이텔스바흐' 원칙에 입각한 실제 토론수업이 민주적 과정에 의하여 실습되어 진다. 프랑스, 영국도 민주시민교육이 정식 교과로 들어와 초등학교 때부터 정치와 같은 민감한 사항부터 학생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부분까지 다뤄지고 있다. 반면, 우리는 교과 외에 창의적체험활동 범주 안에서 자율적으로 다루게 되어 있다보니 관심 밖의 사항으로 밀려나 있는 상황이다.


학생 자치회가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입시에 도움이 되는 스펙 쌓기로 변질되거나 소수의 몇 몇 학생들이 주도하는 무늬만 학생 자치회의 성격을 띤 경우가 많다. 교과 내의 연구도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민주시민교육'까지 하라는 교육청의 권고사항은 교원들에게 이중부담으로 여겨져 실효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학생들을 시민으로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이다!


지식으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사람이 학생을 가르치는 것이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이 되어야 한다. 교사들부터가 시민성을 함양하고 있어서 학생들과 함께 시민성을 추구할 수 있다. 교사는 지식 전달자가 아니다. 민주주의는 과정적 지식이다. 지식이 아니라 경험으로 배운다. 탁월한 소수의 교사 혼자 힘으로 민주주의를 가르칠 수 없다. 학생들이 서로 배려하고 인정하는 활동을 경험하면서 시민성을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이 연결되어 있을 때 가능하다. 수업은 지식과 문제해결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삶을 중심으로 서로 함께 협력하는 장이 되어야 한다. 평가 주제와 평가 기준도 교사와 함게 학생들이 만들어가는 것을 실험해 볼 수 있다. 과정평가의 기준도 학생의 의견을 반영하여 유연한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겠다.


민주주의는 소수의 탁월함에 대한 저항이다!


학교 현장에서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전교생과의 소통의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교장도 교사도 학생들 속에 1/n 로 소속되어 활동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 수평적 관계 속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 결코 교장 또는 교사에게 부여된 권위가 손상되는 것이 아니다. 모든 학생들이 참여하는 방식을 배울 수 있도록 솔선수범할 필요가 있다. 여러 가지 갈등 상황을 합의하고 협력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 민주주의다. 시민으로 갖추어야 하는 내용을 아는 것과 시민으로 살아가는 것은 다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시민으로서의 참여 경험이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마을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여 공익을 위한 다양한 부분에 참여할 수 있도록 권장해야 한다. 공간과 사람이 바뀌어도 시민성의 비전과 가치는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