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는 영양 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식품이다. 김치의 영양 성분과 역할은 원료에 따라 각각 다를 수 밖에 없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다양한 영양 공급원이다.
동물성 재료인 젓갈은 아미노산을 공급해 주는데, 밥에서 부족한 단백질을 보완해 준다. 또 김치가 익으면서 새우젓, 멸치젓, 황석어젓 등의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칼슘의 급원이 된다.
채소에는 칼슘, 구리, 인, 철분, 소금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며 비타민 C는 물론이고 밥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필요한 비타민 B₁(thiamine)의 흡수를 돕는다.
② 특유의 맛과 색깔로 식욕을 돋워 준다.
익은 김치는 유기산, 알코올, 에스텔을 생산하는 유기산 발효식품으로 식욕을 증진시킨다.
③ 소화 작용을 도와 준다.
김치류는 채소류의 즙과 식염 등의 복합 작용으로 장내를 깨끗하게 해준다. 위장 내의 단백질 분해 효소인 펙틴(pectin)분비를 촉진시킨다. 소화. 흡수 작용을 도우며 장내 미생물 분포를 정상화 시킨다.
④ 정장 작용을 한다
채소 자체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섬유소는 변비를 예방하고 장염이나 결장염 같은 질병을 예방해 준다.
⑤ 익어 감에 따라 향균 작용을 한다.
김치가 익으면서 나오는 젖산균은 해로운 세균의 작용을 억제하며 새콤한 맛을 낼 뿐 아니라 창자 속의 다른 균을 억제하여 이상 발효를 막아 주고, 병원균을 억제한다.
⑥ 마늘, 고추, 생강 등의 향신료들은 여러 약리 작용을 한다.
⑦ 육류나 기타 산성 식품을 과잉 섭취했을 때 혈액의 산성화로 일어나는 산중독증을 예방해 주는 좋은 알칼리성 식품 공급원이다.
출처 : http://www.helloco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