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뭔가,
나도 진지한 인간이 되어 보고 싶다며 다짐을 해보았다.
진지한 글을 쓰고, 사뭇 진지한 눈빛으로 약간 어려운 단어들을 내뱉어보는건 어떨까,
어리광부리지 말고, 농담만 찾지 말고, 생각도 조금 깊이 해보자고 다짐한지 몇 시간이라고-
[오마이보스]의 작가노트를 보는둥 마는둥 하고 있다. 

리뷰를 쓰기 전 이런 걸 좀 읽어보고 쓰면 나중에 읽어봤을 때, 내 자신이 좀 대견하지 않겠니?  

그러나 그런 수고를 들이기엔,, 주말에 좀 자고싶을 때 보기 좋은 영화!! 라며 추천하는 페이퍼를 써볼까 생각도 했다. 

내사랑 라스폰트리에님의 작품인데, [에릭 니체의 젊은시절]의 그 매력은 다 어디가고 이런 요상한 코미디가 나와버렸다냐..
에릭니체-가 더 최근작이라, 오마이-에서 실패한 경험을 디딤돌삼았던걸까..  

보다가 잠들고, 보다가 잠들고, 그래도 끝까지 봐보았으나 이건 뭥미-_-
이해불가 코미디- 

어쨌든 내가 짐작하기로는 두개 다 감독님께서 나레이션을 맡은 것 같은데,
초귀엽다. 
나야 덴마크어를 모르니까 잘 모르지만, 그 목소리하며 코믹한 대사가 정말 매력적이다. 
지금까지 만난 북유럽 사람들이나 북유럽 영화들은 꽤나 괜찮았던걸로 기억하는데 책은 아직 잘 모르겠다.  


 

 

 

 

 

 

 

** 요즘.. 다들 새롭게 연애를 한다.
보면 공통적으로 주위에 친하던 애들이랑 연애를 하기 시작했는데,
그게 될까- 

나같은 주변인들만 불편해지는 것 같다. 워낙에 아는 사람들끼리 얽히고 설키는거에 이력이나서..
나야 워낙 깔끔떨고다녀서 괜찮지만 솔직히 진짜 대학교 누구 중에 결혼이라도 하면,, -_-
얼마 전에 다녀온 상가집에서도 막 다 친하던 선배들이었는데 따로 테이블잡고 앉고 그랬다고 한다. 

관계에서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무엇을까.

*** 오랜만에 좋은 사람을 만났다.
달라도 다르다고 뭐라고 다그치지 않고, 나도 딱히 거부감이 들지도 않고, 서로 그냥 조근조근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
이런 관계에 굶주리고 있었나보다.
복잡다단한 연애보다야 이런 관계가 낫겠다고 흐뭇-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rch 2009-05-03 0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관계에서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것은 빵을 먹는 대신 위로가 되어주는 댓글을 슬쩍 남기는거?
히히... 보라고 막 이런다.^^

오늘은 무료하고, 지치고, 심심한 사람들로 넘쳐나는 토요일이에요. 바쁘면 바쁘다고, 심심하면 심심하다고, 쉬는 날에도, 일하는 날에도 어김없이 반복되는 욕구불만들의 아우성치는 소리에 질리기보다는 빗소리에 묻혀서 도란도란 자기들끼리 주고받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연애는, 엉키면 정말 민망해지죠. 그래도 누군가를 바라보며 떨리는 순간의 느낌, 막을 수 없으리.

Forgettable. 2009-05-03 0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아 나도 떨리는 느낌이 정말 그리워요!!

나는 오늘 낮에 매운칼국수 먹고 쓰린 속을 부여잡고, 내게 상의도 없이 예매해둔 박쥐를 보러갔다 왔어요.
이사람이 맥주한잔 하쟀는데 영화보고 기분이 너무 구려지고 이사람도 싫어져서 때려치고 집에 왔어요.
이런 사람이랑은 떨릴라다가도 경련일어나겠음-_-

그나저나 서재 이미지 메이킹 자꾸 실패에요?!! ㅋㅋㅋㅋ 초지일관으로 나가야죠! ㅋ

Arch 2009-05-03 18:01   좋아요 0 | URL
아니에요. 나도 경련형 사람들과 종종 부딪히다보니 크게 욕심 안 내려고^^
 
스켈리톤 키 - The Skeleton Ke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내게, 서양의 대표적인 공포의 상징인 드라큘라나 피가 흩뿌려지는 미친호러물, 정신병자 살인마 류의 공포물은 공포물로 여겨지지 않는다. 그것들은 단지 스토리를 인식하는 도구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데, 가끔 너무 감정이입을 하면 피해자들이 너무 아플까봐 그걸 보는게 괴롭고 불쾌한 것이지 가해자들을 딱히 두려워하는 건 아니다. 

이런 내가 서양의 공포물을 보면서 처음으로 아연실색해하면서 '대박'을 백번 외쳤는데, 이게 바로 지금 내가 리뷰를 쓰고 있는 [스켈리톤키]다. 요즘 반전영화물에 빠져있다는 ㅇ오빠에게 추천을 받고 심심풀이로 주말함께보내기 친구로 당첨되었는데 오빠가 자기 인생 1위의 반전영화라고 꼽아도, 그 오빠가 데이빗 핀처의 팬이라고 해도  

'훗, 난 이제 왠만한 반전은 다 예상할 수 있어.' 

라며 코웃음치며 아침나절부터 영화를 보기 시작했는데 이건 정말 무섭다. 실로 오래간만에 햇빛 쨍한 대낮에 소름이 쫙 끼치는 경험이 아닐까 싶다.  

먼저, 
이건 부두교에 대한 이야기이다. 난 사실 부두교에 대해서는 아프리카의 종교인줄 알았는데, 영화 속에서도 설명하듯이 아프리카인이 믿고 있는 종교와는 달리 미국의 남부지방에서 새롭게 변형된 흑마술 부류인 것 같다. 아마 미국 남부지방에 흑인노예들이 많이 유입되어 왔던만큼 그 때 변질된 것이 아닐까 싶은데,, 이에 대해선 정말 지식이 전무하므로 일단 패스- 

할리우드의 전형적인 때리고 부수고 찌르고 이런 차원을 넘어서(물론 약간 이런 호러의 성향도 있긴 하지만) 본질적으로 이것은 영혼에 관련된 내용이다. 따라서 귀신을 무서워하는 나의 두려움 감지선을 자극할 수밖에- 

부두교에 관한 이야기는 브라운신부 전집 2권 [비밀]의 한 에피소드에서, 그리고 [거미여인의 키스]의 한 에피소드에서, CSI의 한 에피소드에서 한 3번 정도 접해본 것 같은데,(퇴마록에서도 나왔었나? 그러고보니 [세븐]에서도?) 그 때는 부두교에 대해서 잘 알지도 못했거니와 깜짝 놀래키는 쇼정도에 불과해서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 영화에서는 참 무섭다. [거미여인의 키스] 안에서의 에피소드가 가장 비슷한 분위기인 듯 하다.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예쁜 주인공이 'I don't believe it!' 을 계속해서 외치는 장면이었다. 
아마 속으로는 'I don't wanna believe it!' 이었을거다.

나는 워낙에 미신을 잘 믿기도 하고, 상상 속의 세계를 좋아하고, 그래서 정신적으로 허약한 애니까 주인공이 이해가 가더라.
믿고 싶지 않아도 눈 앞에서 빤히 일어나는 일을 어떻게 부정해버릴 수 있을까,
주인공은 솔직하고, 동정심도 많고, 어느 정도는 의로운 사람이었기에 어떻게든 지키고 싶었던 인생의 룰이 있었던 것 뿐인데
그로 인해서 나쁜 사람들의 희생양이 되어버렸다. 

영화가 무서운 건 부두교의 미스테리한 의식과 영혼에 대한 이야기여서일 수도 있겠지만,
나와 비슷한 성정을 가진 주인공이 꼼짝없이 당하고, 그게 나한테 일어난 일이었어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라는 사실 때문이었다. 이렇게 무서워하는 걸 보면 나는 정말 젊음에 집착하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의문도-

조금만 더 이기적으로 살아야 한다. 
나를 사랑하고, 나를 위해서라면 남은 상관없다는 지조라면,
내가 남을 희생양으로 삼지는 않을 지언정 적어도 희생양이 되는 경우는 피할 수 있지 않을까. 

+ 영화를 보고 나서 부두교에 대한 관심이 부쩍 되살아나서 한 번 찾아볼까 생각했으나,
연예인에게 중독될까봐서 TV도 잘 보지 않는 나이기에 관심은 접어두었다. 

++ 그냥 뭐 사소한 장면, 스토리 이런거 쓸래야 쓸 수가 없다. 스포의 씨앗이 될까봐-
근데 나는 왜 책이나 영화를 보면 주인공 이름을 다 까먹는걸까?
실제로 생활하면서는 얼굴이나 이름을 잘 잊어먹지 않아서 날 잊어버린 사람에게 약간 자존심이 상할 때가 많은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모 한장 못 집어 넣어서 이렇게나마...

어제는- 

선물받은 걸로 간단히 커피를 마시고 헤어질 생각이었으나, 
하이드님의 코치님의 '술은 괜찮죠'를 듣고 왠지 급 땡겨서 일잔(일잔은 아닌가)했습니다. ㅋㅋ 
힘들어 ㅠㅠ

 이렇게 찍어봤는데 왠지 너무 허접해보여서  




  

 

 요롷게 찍으니 훨씬 낫지요 하하하   
 이 안에 속지가 사실은 훨씬 더 이쁜데 사진을 못찍어뒀네.
 저만의 비밀로 간직- *^^* 
 
 아, 이 리본 어떻게 좀 배워볼까 해서 막 뚫어져라 쳐다보고 있는데
 (차마 풀진 못하겠고)
 도저히 모르겠어요 -0-

 

 예전에 학교다닐 때 1교시를 진짜 싫어했었는데 그나마 낙이 학교 가는 길에 병원 안에 있던 슷하벅스에서 마시던 카푸치노였습니다. 아침에 그거 마실 생각으로 눈 번쩍 떴어요, 차가운 바람이 볼을 스칠 때 캠퍼스를 걸어가며 카푸치노를 마시던 기분이란!  거품도 매번 새로 만들어줘서 어찌나 신선한 느낌인지 ㅎㅎ  

그래서 사람들이 슷하벅스 싫다 어쩐다 된장녀다 해도 진짜 좋아해요- 다른데 커피는 좀 맹맹한 것 같아서.. 

엄청 고맙습니당! ㅋㅋ

( 그러고보니 생각나는게 지하철과 병원을 잇는 통로 쪽에 학생들은 병원을 통해서 가지 말라는 팻말을 세워두곤 했는데 엄청 분개했었다 -_- 등록금으로 병원 지어놓고 에스컬레이터 하나 이용 못하냐!! 흥!!
요즘 학교 근처에 가보면 참..들어 엎고 아주 난리던데- 재단에 돈이 많음 뭘하나 건물만 짓지,, )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9-04-24 12: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건 그냥 리본인데요 ^^;
치카님께 간건 트리플보라고 고리가 3개 있는거였지만요;

담에 뵈면, 가르쳐드리겠습니다.
저 괄호안에 든 거 보니, 예전 성수역에서 회사 다닐때, 건대 병원의 스타벅스를 에스퀄레이터 타고 올라가서 종종 사 들고 갔던 기억이 나네요. 스타시티는 좀 멀어서, 건대병원을 많이 이용했더랬죠. 거기 신한은행이랑 . ㅎㅎ

하고나니 속지를 좀 빳빳한걸로 했어야 하나 싶었긴 한데, 이쁘게 봐주시니 다행입니다.

Forgettable. 2009-04-24 1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냥리본이군요-ㅁ- 왠지 포장강의를 듣는 분의 리본이라 뭔가 특별해보여서 그만 오바- ㅋㅋ
트리플보도 궁금해요!!

그곳을 애용하셨군요!!진짜 제가 엄청 좋아했습니다. ㅋㅋㅋ 지하철에서 쩔다가 커피향이 확 나니 진짜 개운-

첨에 볼땐 그냥 원래 있던 봉투에 리본만 묶은건줄 알았는데 자세히 보니 다 작업하신거더군요 ㅠㅠ
훌륭합니다 ㅎ

Kitty 2009-04-24 1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흑 예쁘다. 제껀 뭘까요 궁금해서 미쳐갑니다. 엄마 전화 좀 받아 ㅠㅠㅠ

Forgettable. 2009-04-24 18:09   좋아요 0 | URL
저도 궁금해요! ㅋㅋ
아 배고파 ㅠ 한국으로 받으신거면 어떻게 받아요? 왕궁금- ㅋㅋㅋㅋ

[해이] 2009-04-24 1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나도 진작 하이드님이랑 친해질걸....

Forgettable. 2009-04-26 20:57   좋아요 0 | URL
ㅇㅎㅎ 부럽죵? ㅋㅋ
저도 받은게 많아서 이벤트를 한번 해야하텐데- 워낙 인기없는 서재라 이벤트의 의미가 없을것 같아서 고민중 ㅋㅋㅋ

[해이] 2009-04-26 22: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항상 들어오니까 이벤트 걸어주세요 ㅋㅋㅋㅋㅋ

Forgettable. 2009-04-26 2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해이님 당첨될만한 이벤트로 생각해볼게요! ^^
 

오늘 출근길에 (몇달동안 일주일에 1페이지씩 읽고 있는) [로마인이야기] 1권을 읽으면서 생각을 했다.   

* 선캄브리아기부터 신생대에 이르기까지 그 각각의 세대(?)의 역사가 점차 짧아졌기에, 아마 신생대의 종말도 머지 않았을 것이다.  (이건 과학시간에 배움)

* 역사적으로 볼 때 화려하게 부흥했건 전쟁을 했던간에, 어쨌든 정신없었던 시대를 마치고 나면 그 상처를 회복하고 다시 다음세대를 준비하는 시간(침체기)으로 중세시대가 있다. (이건 로마인이야기에 나온 구절을 내 식으로 해석) 

어쨌든 그래서 지금이 중세의 초기단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역사는 어떤식으로든 반복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그러면서 또 책은 읽다말고 상상의 나래를 펼쳐서 이런 중세시대에 어떻게 살아나가야 할까, 고민을 했는데-  

그렇다고 뭐 성공을 해야겠다거나 그런 건 아니다. 역시 난 엄청난 위인이 되겠다는 열망보다는 홍길동같은 분께서 나타나길 간절히 원하는 애에 가까우니깐;0;
그냥 엄청 끔찍해보이는 중세시대를 살아가려면 역시나 지금의 내 인생계획이 최선이겠다- 고 자기만족으로 결론을 내렸다는^^

그런데 오늘 이메일을 여니 또 바로 내 마음을 읽은 듯 예병일님께서 이런 메일을 보내주셨다!!(친구냐고-ㅁ-)
읽으면서 내 초딩같은 언어와 생각이 전문적인 용어로 돌변해서 적혀있다. ㅎㅎ

 


이번 경제위기가 지나가면 우리에게 '어떤 세상'이 다가올까... 미래를 준비하는 질문을 던져라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9.04.22)


The Long Recession that began in 1873 paved the way for new titans of industry and finance. The Great Depression before World War II gave us synthetic rubber, television, and the New Deal. The popping of the 1990s tech bubble cleared the field for Google. So what might the next wave bring?

'The Next Big Thing' 중에서 (포린폴리시, 2009.5~6)





이번 글로벌 경제위기가 지나가면 우리에게 '어떤 세상'이 다가올까...

경제가 여전히 위기의 한 가운데를 지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다소 성급한 화두같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지요. 한쪽으로는 위기를 이겨내는데 진력하면서도 다른 한쪽으로는 위기 이후를 준비해야 합니다. 아무리 어려운 상황도 결국은 지나가기 마련이고, 그 시기가 오면 미리 대비한 기업이나 사람이 성큼 성큼 앞서갈 수 있으니까요.

미국의 유명한 외교전문지 '포린 폴리시'가 눈길을 끄는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The Next Big Thing : Why bad times lead to great ideas'라는 제목의 글입니다.
기사의 주장대로, 과거 역사를 돌이켜보면 인류는 항상 힘든 시기, 위기가 닥치면 '창조적인 파괴'를 통해 새롭고 대단한 시대를 만들어내곤 했습니다. 1873년 시작된 장기 불황이 산업과 금융계에 새로운 '거인들'을 탄생시켰고, 대공황은 인조고무와 텔레비전, 뉴딜정책을 가져왔습니다. 1990년대의 테크버블은 구글을 잉태했지요.

포린 폴리시는 이번 위기가 가져올 '넥스트 빅씽'으로 다음을 꼽았습니다.

1.A New You
2.Personalized Education
3.Anger Management
4.Happiness
5.Shrinkage
6.America
7.Neomedievalism
8.Africa
9.Resilience
10.Better Biofuels
11.H20
12.More of the Same
13.A Bigger Big Bang?


이중 '휴먼 엔지니어링'이 가져올 '새로운 경제'와 '새로운 인류'가 눈에 띕니다. 생명공과 로봇공학 등의 발전이 머지 않아 경제를 재편하고 인류의 모습도 바꿔놓을 것이라는 겁니다.
"we are gradually becoming a different species; we are moving from Homo sapiens into Homo evolutis, a human being that deliberately engineers its own evolution and that of other species."

금융공학이 이번 위기를 불러왔지만, 휴먼공학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빨리 경제를 재편할 것이라는 표현도 있습니다.

'신(新)중세시대'가 오리라는 예상에도 눈길이 갑니다. 이번 금융위기가 유럽의 중세처럼 국가보다 주요도시들이 부상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현재 세계 경제의 3분의 2, 혁신의 90%가 세계 40개 도시권에서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 중세시대의 한자동맹처럼, 함부르크와 두바이가 상업동맹을 맺고 아프리카에걸친 자유무역지대를 운영할 수도 있다는 얘깁니다.
빌 게이츠, 조지 소로스, 리차드 브랜슨 등이 중세 이탈리아의 메디치 가문처럼 자신의 기업도시를 운영하면서 정부 권위를 훼손하고 세계적인 전염병 치료와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를 후원하리라는 주장도 합니다.
중세는 불확실성,공포 등으로 표현되는 '암흑기'로 알려져 있지요(그렇지 않다는 주장도 있습니다만). 필자는 '신 르네상스'가 아직 멀었기에 사스, 테러리즘, 해적 등으로 표현될 새로운 세상에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해야한다는 비관적인 충고도 합니다.

이밖에 아프리카의 부상, 'the new gold"로 등장할 물의 중요성, 이번 금융위기의 '방화범'(arsonist)인 미국의 건재 등도 흥미롭습니다.

"이번 글로벌 경제위기가 지나가면 우리에게 '어떤 세상'이 다가올까?"
아직 위기의 한가운데에 서있지만, 그래도 우리는 미래를 준비하는 이런 질문을 던져보아야 합니다.
 

원문 기사는 이곳 http://www.foreignpolicy.com/story/cms.php?story_id=484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9-04-23 12: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세에 버닝해서 책을 마구 사들이던 적이 있는데, 어떤 책인지 가물가물하지만, 중세, 이름부터가 차별적으로 불리우고 있다며, 중세의 좋았던 점을 늘어놓던 책이었어요. '새로운 중세'라.. 흥미롭네요. 위기 다음 세기에 신중세가 온다면 되풀이되는 역사의 이전 부분을 들춰보는 것도 재미나겠네요. 아, 지금 당장 찾아보고픈데, 나가야해요.

Forgettable. 2009-04-23 14: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중세를 끔찍하다고 생각했던 건 중세철학을 공부할때였는데요, 아 정말 철학과 낭만의 침체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하하;
그런데 중세가 정말 '암흑기'만은 아니었다는 이야기도 굉장히 많이 들었어요!
아 어떤책인지 왕궁금 ㅎㅎ

여튼 로마인이야기를 읽으며 현대시대를 상기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게 엄청 신기했습니다. ㅋㅋ
 

1. 렌즈 깨먹었다. 어차피 바꿀 생각이긴 했지만 아직 돈도 안모였으니, 한동안- 적어도 3~5개월은 카메라 없이 살아야 한다.
이 렌즈에 들인 돈이 얼만데ㅠㅠ 수억원의 A/S 비용을 생각해보면 아마 이 놈은 나랑 맞지 않았던 것 같다.   

2. 신세계몰에게 당했다. 컨버스화 하나 사기가 정말 어렵구나- 돌겠네.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지 말아야겠다고 다짐 또 다짐 또 다짐- 쿠폰 할인가 몇천원따위 기꺼이 발품팔아서 아끼지 않아버릴테다.   

3. 아침부터 괜히 승질낸다. 내 잘못도 아닌거에 혼나는거 좀 싫다. 그냥 그만둘까? 해이님 서재에서 본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는 사람에겐 혁명도 사랑도 없다(맞나?)고 한 말이 자꾸 맴돈다.   

4. 짧고 얇은 만남들. 맥아리가 없네 

너무 우울하니까, 주말에 즐거웠던 기억들이나 적어보며 마음을 다잡아보자.   

>> 접힌 부분 펼치기 >>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이] 2009-04-21 15: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악... 왜캐 우울하세요 ㅠ 힘내시길 ㅋㅋ

Forgettable. 2009-04-21 17: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르니깐요 ㅋㅋ 해이님때문이에요! 호호

하이드 2009-04-21 19: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롤리팝 화소가 어떻게 되요? 좋아보이네요!
안그래도 오늘 롤리팝 만지작거리다가 왔는데 ^^

Forgettable. 2009-04-21 2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죠- 헤헤 3백만이래요, 약간의 광각도 있는듯하고 접사도 되고 무엇보다 셀카가 왕이쁘게나와서 ㅠㅠㅋㅋㅋ
줌기능이 없다고는 하는데 폰카로 줌 써본적 없어서 별로 상관 없을듯..
하이드님도 샤인쓰시죠 저도 샤인쓰다가 갈아탔는데 어서 갈아타세요 ㅋㅋ 완전 초귀여워요!

2009-04-22 05: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4-22 09: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브리브리 2009-10-01 1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는 4번에 대해 엄격하다능; 그래서 친구가 없;;

Forgettable. 2009-10-01 13:46   좋아요 0 | URL
짧고 얇은 만남들- 저도 엄격하지만 가끔은 저런만남들도 필요해용 ㅋㅋㅋ

브리브리 2009-10-01 14:13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저도 좀 둥글이가 되고 싶어요. 왜 그렇게 견디지를 못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