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으로 만나는 성리학 이황의 성학십도 ㅣ Easy 고전 9
조남호 지음, 신명환 그림,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삼성출판사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이번에 만난 책은 말로만 듣던 이황의 성리학에 대한 책이었다. 어릴 때는 늘 그의 인품과 학식에 대해서만 재미있는 일화를 많이 읽었다. 그래서 겉만 보고 남들이 그러니까 나도 막연히 존경하는 인물이었다. 실제로 그가 이루어놓은 중요한 학문은 부끄럽게도 전혀 모른 채 말이다. 통탄할 일이지만 내 지식은 그가 그저 성리학의 대가였다는 것뿐이었다.
그래서 이 책에 대해서 욕심을 냈다. 욕심을 내긴 잘 했다. 처음부터 차근차근 설명해주니 이해도 쉽고 그림도 재미난 그림이 꽤 들어있었다. 이론을 읽으면서 조금만 지루해질라 치면 곧 도표가 나오고 센스 만점인 그림이 나와서 고개를 끄덕이며 읽었다. 중간 중간 이황의 가족에 대한 예나 친구, 제자들에게 보낸 편지들로 인간으로서의 이황을 엿보기에 부족함이 없었고, 단지 고전 풀이뿐만 아니라 요즘 시대에 맞게 설명을 하면서 주의하라는 조언과 충고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황의 삶과 학문이 대단한 것은 인품으로 보나 학문으로 보나, 칼부림과 피가 흥건한 그 어려운 시대를 어진 성품으로 살면서 또한 시대적으로 볼 때, 토론 문화가 제대로 정착이 되지 않은 그 시대에 새파랗게 젊은 학자와 8년이라는 세월을 거쳐 논쟁을 하고 자신의 학문을 계속 수정해나갔다는 점이다. 이황에게 공부는 ‘시험공부나 출세를 위한 공부가 아니라, 참된 인간이 되기 위한 공부’였다.
그런데 문제는 이황의 성리학이 그렇게 어려운 것인지 모르고 덤빈데 있다. 꼼꼼히 체크해가면서, 열심히 줄을 그어 가면서 읽었는데, 한자도 어렵고 뜻도 쉽게 머릿속에 들어오는 것이 아니어서 그런지, 아무래도 공부를 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 것이다. 머리가 정말 좋은 사람이라면 한번 읽고 다 이해하고 머릿속에 간직하겠지만, 공부를 그만 둔지 어언 몇 년인가. 이 책을 읽으며 다시 머리 싸매고 독서실에 앉아 연습장에 연필로 쓰면서 외워야 한다는 말이다. 그만큼 이황의 성리학은 학문 자체가 어렵고, 아무리 쉽게 설명한다고 해도 한번에 다 깨달을 수는 없는 학문인 것이다. 어쩌면 그게 맞는 말인지 모른다. 그토록 명석한 분도 평생을 걸쳐 이룬 학문인데, 아무리 시대가 바뀌어서 쉽게 해준다고 한다손 치더라도 그냥 공으로 먹기는 좀 미안한 것이다. 공부, 필요하면 이 나이에도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이다.
이제 공부를 조금 해보자. <성학십도>를 풀이해보면, 이때 성학(聖學)은 성인이 되기 위한 학문, 십도(十圖)는 열 개의 그림이라는 뜻이다. 태극도, 서명도, 소학도, 대학도, 백록동규도, 심통성정도, 인설도, 심학도, 경재잠도, 숙흥야매잠도의 십도이다. 먼저 첫째, 태극도는 우주 최고의 기준이자 원리이고 원리인 태극, 하늘과 땅을 낳는 음양, 서로 끊임없이 이기는 오행인 물(水), 불(火), 나무(木), 쇠(金), 흙(土)이 세상 만물의 근원이라고 보았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둘째, 서명도는 우주 가족과 그 사이의 계층적 질서, 하늘의 명령인 효를 따르고 효자의 예를 들며 사람의 다짐을 담고 있다. 셋째, 소학도는 몸가짐, 대인관계의 기본 덕목 등 행동규범을 담고 사회의 가치관을 익히게 되어 있다. 즉, 어린이가 배워야 할 기초적인 학문인 것이다. 넷째, 대학도는 성인이 배우는 3강령 8조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공부를 하는 과정과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그 자체가 이성에 대한 논리적 체계이면서 이성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정치적인 개념이 강한 혁명 공약과도 같다고 한다. 다섯째, 백록동규도는 학문의 큰 원칙과 인간관계의 원칙을 밝힌 오륜에 관한 것과 그 이론과 실천에 관한 것이다. 여섯째, 심통성정도는 마음이 어떻게 이루어져 움직이며 도덕적 완성을 향한 관점에서 본 성정의 문제를 다룬다. 즉, 인간의 감정과 본성을 다룬 것이다. 일곱째, 인설도에서는 인(仁)이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실천할 수 있는지 얘기한다. 주희(=주자)는 인을 ‘천지가 만물을 낳는 마음’이라고 하며 봄기운과도 같이 생명을 사랑하는 따뜻하고 부드러운 마음이요, 이 같은 사랑의 마음(仁)은, 사람은 물론 천지자연에도 가장 근원적인 덕, 곧 원(元)이라는 것이다. 여덟째, 심학도는 심(心)과 경(敬)에 관한 것이다. 심은 인간적인 마음과 적절한 관계를 맺는 마음인데, 경으로 이를 제어한다는 것이다. 아홉째, 경재잠도는 상황에 따라 어떻게 경 공부를 하고 경건함을 어떻게 유지해야 하는지 말해준다. 정신집중을 하고 주체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마지막 열째는 숙흥야매잠도로 아침부터 저녁까지 시간 순서에 따라 어떻게 경 공부를 해야 하는지 얘기한다. 간단히 말하면 이것은 ‘일찍 일어나고 늦게 잠든다’라는 뜻으로 하루 종일 경건한 마음으로 공부에 매진하라는 것이다.
휴~ 어렵다, 어려워...란 생각이 들지만, 사실 짧게 정리해놓으니 더 어렵게 느껴진다. 하지만 책을 읽는 동안에는 재밌게 읽었고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도 거의 없었다. 그만큼 설명이 자세하고 예도 충분하고 그림도 곳곳에 너무 재밌게 들어가 있어서 지루한 줄 모르고 읽었다. 이제 문제는 이황의 위대한 인격만큼이나 이렇게 배운 것을 어떻게 실천으로 연결시키느냐일 것이다. ‘세상의 이치를 알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행하기가 어려우며, 또 행하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참을 쌓아 오래도록 힘쓰기가 더욱 어렵다’라고 하지 않았던가.
논술을 위한 작은 연습 문제집은 복습하기에 아주 좋아 보인다. 밑줄 그은 대목만 다시 한번 보고 대충 훑어보았는데 쉽지만은 않겠으나, 한번 시험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책이 끝부분 4장이 갑자기 거꾸로 들어가 있다. 빠진 줄 알고 깜짝 놀랐으나 자세히 살펴보니, 4장이 잘못 제본된 것이었다. 다른 책들은 이런 실수가 없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