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해도 괜찮아 - 영화보다 재미있는 인권 이야기
김두식 지음 / 창비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보다 재밌는 인권 이야기라는 부제는 사실 좀 애매한 표현이다. 읽기는 무지무지, 느무느무 재밌게 읽었지만 인권이라는 주제가 재밌었던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주제는 아주 불편하고 또 불편했다. 우리의 현실이지만 외면하고 싶은 거였다. 내 몸의 상처였지만 치료하는 과정이 고통스럽기에 그냥 진통제 한 알 삼키고 고개를 돌려버리고 싶은 거였다. 안다. 그런다고 치료되는 것이 아니라는 걸. 인권이라는 주제는 내게 그랬다.
영화를 통해 그 불편한 진실, 인권에 대한 얘기를 저자는 무척 편안하게, 재미있게, 소탈하게 펼치고 있다. 객관적인 시선이지만 야단을 치진 않는다. 넘어서지 못하는 진실 앞에선 본인도 과감하게 부족함을 드러낸다. 감성과 이성 그리고 지성을 다해 읽을 책이었다. 그렇게 읽고 느꼈으면 자연스럽게 반성도 했을 테다. 그러고 나면 이제 제대로 배워서 내 사고를 바꾸고 현실에서도 이를 실천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자는 동서고금의 영화를 통해, 간혹은 책을 통해 우리의 인권이 어떻게 변해왔고 현재 주소가 어떤지를 보여주고 있다. 고발성이 짙은 영화도 있고 민감한 주제를 다룬 영화도 있고 문제작도 있다. 실제로 이런 주제들을 갖고 우리가 토론(!)을 한다면 몇 마디 오고가지 않아 곧바로 싸움이 날 주제들이다. 그러기에 쉽게 다수 앞에서 꺼내기 힘든 주제들이다. 그런 민감한 주제들을 영화를 통해 논리적으로 때론 감성적으로 풀어내 다 읽고 나니 속이 다 시원하다.
그렇다고 저자의 논리나 생각, 결론에 모두 동의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백분 이해는 간다. 못 본 영화들은 다 챙겨봐야 할 것이고 못 읽은 책들도 읽어봐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동안 눈 돌렸던 문제들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저자는 아이들의 인권을, 성소수자의 인권을, 폭력 앞에 휘둘리는 여성의 인권을, 장애인의 인권을, 노동자의 인권을, 종교와 양심에 따라 병역을 거부하는 사람들의 인권을, 검열과 표현의 자유를, 인종차별의 문제를, 제노싸이드의 문제를 영화를 통해 논한다.
결론은 내 자리에서 내 능력에 있는 인권을 최대한 지켜내고 혼자서 힘들면 도움을 받고 도움을 주며 지켜야할 인권들이라는 것이다. 책 한 권 읽는다고 그 동안 외면했던 인권을 위해 운동가가 될 수는 없다. 하지만 적어도 이제 외면하지는 말아야겠다고, 아무리 불편해도 인권을 위해서라면 말을 꺼내고 행동을 하고 내 생각을 지켜야겠다고 생각한다. 세상엔 아직도 최소한의 인권도 보장받지 못하는 이들이 너무나 많으니까.
정말 너무나 좋은 책이다. 몰라서 잘못하고 있는, 알면서도 안 하고 있는 이들까지도 모두 인권의 품안으로 이끌 수 있는 정말 감사한 책이다. 인권, 그건 지킬 수 있는 사람이 지켜야하지 않는가. 재수가 좋아서, 머리가 좋아서, 환경이 좋아서 그동안 내가 문제없이 내 인권을 주장했다면, 이젠 타인들의 인권에도 관심을 갖고 지켜주어야 할 때이다. 모두가 같은 인간이니까.

‘우주보다 더 귀한 것이 한 사람의 생명입니다. 죽음은 당사자에게 우주의 소멸과 같습니다. (…) 내 것, 네 것 할 것 없이 인류라는 거대한 공동체 속에서 함께 사는 모든 사람들의 생명은 똑같이 고귀한 것입니다. 생명의 귀중함을 인식하는 것은 인권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됩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0-08-11 1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왤케 오랜만이십니까?
잘 지내시는지요? 휴가는 다녀 오셨습니까?^^

진달래 2010-08-13 15:41   좋아요 0 | URL
스텔라님, 반갑습니다. ^^ 올만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