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일러 있을 수 있습니다. *^^*)

얼마 전에 드라마 <황진이>에서 하지원이 멋진 연기를 펼쳐 주목을 받았다.
재밌고 잘 만든 드라마였는데, 난 텔레비전이 없어 어쩌다 띄엄띄엄 봤다.
물론 볼 때마다 좋았지만 드라마는 드라마다란 생각을 했던 것 같다.
드라마 황진이의 인생에서는 기생이라는 직업(!), 즉 예인을 강조했던 것 같다.
그녀의 문학, 춤, 음악 등등을 여인의 숙명적인 운명을 따르거나 술을 따르는 쪽보다는,
시대적인 어려움을 무릅쓰고 한 여인이 당당하게 자신의 끼를 발산시키는 쪽을 부각 시켰다. 물론 좋은 드라마답게 스승과 제자의 관계, 갈등, 경쟁 등등 또 남성들 중심의 세계에서 그 남성들과의 관계 등등도 무척 상세히 그려졌던 것 같다.   



이번 영화 <황진이>는 일단 송혜교라는 예쁘디예쁜 배우, 그리고 원작자가 북한 사람이라는 것 등등으로 이목을 끌었다. 한 마디로 아름다운 영화였다. 곱디고운 한복의 아름다움과 함께 영상미, 시장이나 뒷골목 등등 정말 어디 한 군데의 틈도 없이 잘 만들었다. <스캔들>이나 <음란서생> 등의 한국 고전영화에서 봤던 소세모습이나 화장모습 등 당시 일상의 모습이 차분하고 우아한 모습으로 똑같이 되살아났다. 봐도 봐도 아름다운 모습이었다. 



도도하고 당당한 여인의 모습을 연기하기 위해 송혜교도 노력 많이 했다고 본다. 살이 쏙 빠져, 소녀의 이미지보다는 이제 성숙한 여인의 이미지를 풍기기도 했다. 조금은 불편한 장중한 목소리는 그녀의 노력의 일환으로 보겠다. 그저 예쁜 소녀였던 송혜교를 이젠 배우로 불러도 좋으리라…

영화는 드라마와는 달리, 일단 사랑에 초점을 맞췄다. 자신이 사랑하는 여인과 같은 레벨로 올라갈 수 없어 사랑하는 여인을 끌어내리려 했던 남정네, 놈이는 사랑하는 여인의 행복을 망쳤다는 후회를 하지만 이미 일은 저질러진 것이다. 살짝 김기덕의 <나쁜 남자>가 떠오르는 순간이었다. 그래도 사랑은 사랑인 것을 어쩌리… 자신의 출생의 비밀을 알고 난 뒤, 당당히 자신의 인생을 선택한 진이는 놈이에게 첫 정을 주며 기둥서방이 되어달라고 하지만, 그 모습을 차마 지켜볼 수 없어 놈이는 떠난다. 결국 기생은 기생대로, 의적은 의적대로의 삶을 살지만, 그들의 운명과 사랑은 얽히고설킨다.



하나 정말 흥미로웠던 것은 황진이와 사또와의 관계였다.

“오늘 내 수청을 들러온 것이냐?”
“수청을 들라시면 들어야지요.”
“그럼 네 진짜 마음은 어떠하냐?”
“굳이 여쭈신다면, 싫습니다.”

억지로 기생을 품지 않겠다는 사또와 황진이의 관계는 마치 서로 권력 다툼을 하듯 보인다. 실제 권력을 가진 사람의 겉멋 들린 아량과 피권력자이면서 진정한 권력을 쥐고 있는 듯 보이는 일개 기생의 관계는 알 듯 모를 듯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다.




결국 친구 같은 몸종의 신랑을 살리기 위해 마음이 동해 옷고름을 푼다는 황진이, 다음 날 아침, 목적을 달성하자 다시 옷고름을 다잡아 맨다. 그 달라진 모습에 사또의 한 마디가 의미심장했다. “소견 좁은 여자만이 방금 마신 물에다 침을 뱉는 법이다.” 황진이도 지지 않는다. “어떤 못난 남정네가 기생 하나 품는데, 이리 오래 걸린답니까?” 그러면서 진정한 남자로 서화담을 꼽는 황진이…

북한 작가의 대사들은 간혹 너무 순수해서(!) 식상한 것도 있었고, 2시간 반이 넘는 영화는 2시간이 지나자, 좀 지루했다. 배우 하나하나의 몸짓, 손짓, 눈짓까지 표현하려니, 그럴 수밖에 없었겠지만, 2시간 정도였으면 더 좋았을 것을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같은 역할을 별 시간차도 없이 다른 두 여배우가 하다 보니, 아무래도 전작의 포스가 많이 느껴지기도 했다.

영화가 다 끝나고 나오면서 화면을 봤는데, 혼자 한참 웃었다. 의적 놈이의 밑에서 의적을 하고 황진이 몸종의 신랑이 되는 사람 이름이 개똥이가 아니고 ‘괴똥’이었던 것이다. 그걸 누가 그렇게 들었을까 싶어서, 별 것 아니었지만 신선한 충격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녀...


그...

<8월의 크리스마스>와 <봄날은 간다>의 허진호 감독의 영화를 좋아했던 내게는 이 영화도 아름다운 영화로 다가왔다. 근데 제목이 <외출>이 뭐냐... 차라리 영어 제목을 그대로 살려 <April snow>로 하지... 그게 훨씬 좋았겠다. 많이 늘어지지 않으면서 잔잔한 영화를 만들기가 쉽지 않았을 텐데, 적당히 절제된 영화가 아주 좋았다. 개인적으로 배용준을 별로 좋아하진 않지만, 이 영화 속 배용준은 아주 좋다. 뒷 걸음걸이가 무척 깊이있게 느껴져서 무척 멋졌다. 약간은 쓸쓸하지만 깊이 있는 걸음... 8월에 크리스마스가 오고, 이젠 4월에 눈이 내린다. 억지로 시작된 사랑이지만 이젠 그 깊이를 더해가는 사랑이 된다. 4월의 폭설과 함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게다예요 2006-11-28 14: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영어 제목보단 외출이 훨씬 나은데요 ^^
외출,이라고 하면 어디로 갈건지, 얼마나 갈건지, 언제 갈건지, 누구와 갈건지, 돌아는 올건지... 뭐 대충 이런 것들이 궁금해지잖아요. 그들의 사랑도 외출 같은게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님, 반가워요^^

진달래 2006-12-20 15: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그렇게 보니 그렇네요. ^^
처음에 그런 생각이 들었던 건, 외출이란 게 너무 일상적인 단어여서 그랬나 봐요.
April snow... 이게 훨씬 낭만적이었거든요. ^^
 



박찬욱 감독의 복수극 세 편중에서 결론부터 말하자면, 난 <복수는 나의 것>,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 순의 순서를 매기겠다. 강도가 그만큼 낮아졌다고나 할까. 처음에 <복수는 나의 것>을 보고 머리 무거웠던 걸 생각하면... 나머지 영화들은 아무것도 아니었다는 느낌이다. 그만큼 그 영화는 내게 충격 자체였으니까. 그래서 상대적으로 이 영화가 좀 약해보인다. 하지만, 이영애의 연기도 좋고, 흐름이 좀 느리긴 했지만, 나름대로 특징을 살려서 잘 만든 것 같다. <복수는 나의 것>에서는 로맹가리의 단편에 나오는 한 장면이 그대로 재연되어 있었는데, 여기서는 아가사크리스티 스타일의 장면이 그대로 재연되어 있다. 재밌었던 건, 영화가 완전 코메디라는 것이다. 끔찍하다 웃다가... 암튼 실컷 웃었다. 반전도 없었지만, 나름대로 재밌게 봤다. 또 하나의 매력은 앞 영화 두 편에서 나온 배우들이 모두 우정 출연한다는 것이다. 한명씩 나올 때마다 극장은 감탄의 웃음 바다... 복수극이 아닌 그의 다음 영화가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