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어정독
부남철 역주 / 푸른역사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우리도서관의 12월 인문학서평쓰기 토론 도서는 `논어정독`이다. 회원이 부담을 갖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기우였다. 그동안 깊이있는 책읽기에 목마른 이들은 포스트잇과 밑줄을 그어가며 열심히 책을 읽고 있다. 덕분에 나도 혼자였다면 읽기 어려웠을 이 책을 열심히 읽는다.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의 저자 신정근은 공자의 논어는 커피로 치면 부드럽고 여러 맛을 깊게 느끼게하는 카페모카의 맛이라고 했다. 그동안 동양 고전은 어렵다는 선입견으로 등한시했는데 읽어보니 주변에서 많이 접했던 내용이 고루 들어있다.
자기로부터 시작하는 사랑.
공자가 생각하는 인은 글자 그대로 두 사람이 완전히 하나가 되는 것이다. 서로 피가 통하고 신경이 통할 정도로 정신적으로 하나의 몸이 될수 있도론 사랑하는 것이다. 그런 사랑을 자기가 주도하는 것이다. 그 사랑의 일차적 대상이 바로 자기 자신이다. 자기가 자기를 사랑한다는 것이 무슨 말인가? 자존심, 자신감, 자기 몸과 명예를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 등이 그런 것이다. p.16
말을 교묘하게 하고 거짓으로 낯빛을 선한 척하는 사람중에서 인(仁) 한 사람은 드물다. p.35
증자가 말했다. "나는 날마다 세 가지로 나 자신을 반성한다.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할 때 최선을 다했는가? 친구와 사귈 때 진실했는가? 스승으로부터 전수받은 것을 복습했는가?" p.36
관직이 없음을 근심하지 말고 직무를 맡아 일할 수 있는 방법을 근심하라. 다른 사람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말고 알아줄 만한 실력을 구비하라. p.138
자유가 말했다. "임금을 섬길때 자주 충고하면 이로 인해 욕을 당한다. 친구와 사귈 때 자주 충고하면 이로 인해 우정에 틈이 생긴다. p.144
자공이 말했다. "제가 원치 않는 것을 다른 사람이 저에게 하지 말아야 주기를 바라는 것처럼 저도 다른 사람이 원하지 않는 것을 가하는 일이 없게 하겠습니다." p.161
세 사람이 함께 길을 갈 때 그중에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으니, 선한 사람을 택해서 장점을 따르고 선하지 못한 사람에게선 그 잘못됨을 거울 삼아 자신의 잘못을 고쳐라. p.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