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리하라의 과학블로그 - 현대과학의 양면성, 그 뜨거운 10가지 이슈 살림 블로그 시리즈 4
이은희 지음, 류기정 그림 / 살림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인도 신화에서 따온 말, 창조의 신 비슈누와 파괴의 신 시바, 그 둘이 등을 맞대고 결합한 상태를 의미하는 하라하라. 시작이자 끝, 탄생과 죽음, 빛과 그림자의 양면을 맞대는 아이콘" 이라는 부연설명과 함께 제목에 사용한 저자의 필명에 대한 이야기이다.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선과 악의 양면성,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파생되는 환경의 파괴, 편리함이라는 밝음 이면에 더 어두워지는 곳이 있다는 것은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 

기적의 약 항생제, 죽어가는 많은 사람들을 살려낸 약이지만 작은 상처에도 항생제를 쓰고, 일부 사람들은 아직 발병하지도 않은 가축들의 사료에 항생제를 섞여 먹여 고스란히 사람의 입으로 들어와 점점 내성이 생겨 더 독한 항생제를 써야 하는 악순환이 된다. 

평생 면역 억제제를 먹어야 하는 장기이식 수여자는 면역력을 떨어뜨려 다른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단다. 외국에는 보편화 되어있는 뇌사상태의 기증보다 생체기증이 훨씬 많다니 심각하게 생각해볼 문제. 문득 얼마전 장기기증에 대한 홍보차 나오신 목사님의 강의를 듣고 즉시 써달라고 한 용지를 "가족과 상의하고 보내드릴께요"라는 소극적인 대답으로 회피한 일이 부끄러움으로 다가 온다. 안구 기증이라도 적을껄. 

살쪄서 가득찬 상태 '비만' 적게 먹고 많이 운동하면 되는 명쾌한 다이어트가 왜이리 어려울까. 한때 약물에 의존한 적도 있어서인지 다양한 다이어트 보조제에 대한 설명이 가슴으로 다가온다. 적게 먹는 것이 제일 중요할듯.

백미와 밀가루, 설탕, 조미료등 백색식품의 폐해는 생각보다 훨씬 크다. 유기농을 먹는다고는 하지만 탄수화물 덩어리인 것은 맞겠지. 이 책을 덮고나서 제일 먼저 바꾼 것이  현미밥 이었으니 실천의 의지는 있는 것이겠지. 

우리 주변에서 보편화된 이야기라 대부분 편안하고 쉽게 읽긴 했지만, 어두운 면에 대한 폐해는 참으로 크다. 에너지원과 방사선으로 사용되는 원자력이 인류를 몰살시키는 핵폭탄으로도 사용되니 좀 더 신중한 발명과 발전이 요구된다. 저자가 말했듯이 '현대과학이라는 판도라의 상자에서 꿈과 희망을 건져 올리기 위해 필요한 것은 우리가 과학에 대해 좀 더 현명해 지는 일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09-06-28 2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학의 밝은 면만 강조하지도, 어두운 면만을 보여 겁을 주지도 않은, 비교적 균형있는 시각으로 쓰여진 책이라 생각해요. 이 정도로 이해하기 쉽게 풀어 설명하기도 쉽지 않다고 생각하고요.

세실 2009-06-28 23:13   좋아요 0 | URL
님 리뷰 읽고 읽게 된 책입니다. 보림이랑 같이 보려구 구입했는데 수준이 맞을듯. 기말고사 끝나면 본격적인 책읽기 함께 하려구요^*^
이런 책들이 많이 출간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님도 좀~~

미미달 2009-07-03 04: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책 :)

세실 2009-07-08 15:40   좋아요 0 | URL
아 님도 보셨군요. 경각심을 불러 줍니다. 과학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어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