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번째. 살아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 / 법정스님 저 ; 류시화 엮음. - 조화로운 삶.
아이들을 혼내키고 나서 우울한 마음에 잠시 이 책을 펼치니 겨울 같던 마음이 따스한 봄햇살에 스르르 녹는 기분이다. 곧 후회하면서도 늘 반복되는 일상. 소리 지르고 다그치고.....한동안 이 책 읽으며 마음을 다스려야 겠다.
한편 한편이 삶의 지침이고, 희망이 된다.
하늘 같은 사람
'사람이 하늘처럼 맑아 보일 때가 있다.
그때 나는 그 사람에게서 하늘 냄새를 맡는다'.
사람한테서 하늘 냄새를 맡아 본 적이 있는가.
스스로 하늘 냄새를 지닌 사람만이
그런 냄새를 맡을 수 있을 것이다.
무 소유의 삶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
궁색한 빈털털이가 되는 것이 아니다.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존재의 집
말은
생각을 담는 그릇이다.
생각이 맑고 고요하면
말도 맑고 고요하게 나온다.
생각이 야비하거나 거칠면
말도 또한 야비하고
거칠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그가 하는 말로써
그의 인품을 엿볼 수 있다.
그래서 말을
존재의 집이라고 한다.
삶에는 즐거움이 따라야 한다
삶에는 즐거움이 따라야 한다.
즐거움이 없으면 그곳에는 삶이 정착되지 않는다.
즐거움은 밖에서 누가 가져다주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인생관을 지니고
스스로 만들어 가야 한다>
일상적인 사소한 일을 거치면서
고마움과 기쁨을 누릴 줄 알아야 한다.
부분적인 자기가 아니라
전체적인 자기일때,
순간순간 생기와 탄력과
삶의 건강함이 배어 나온다.
여기 비로소
홀로 사는 즐거움이 움튼다.
삶의 종점에서
내가 평소 타인에게 나눈 친절과
따뜻한 마음씨로 쌓아 올린 덕행만이
시간과 장소의 벽을 넘어 오래도록
나를 이룰 것이다.
16번째. 천 개의 공감 / 김형경 지음
- 읽으면 읽을수록 깊은 샘물 같던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