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콜레라 시대의 사랑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7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2월
평점 :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을 읽고 났을 때,
책을 얼굴 위에 덮고 한동안 꼼짝을 할 수가 없었다.
사람의 인생을 두고 저글링하듯 이쪽에서 저쪽으로...
쉴새없이 누군가의 인생, 한 가족의 몇 대에 걸친 역사를 풀어놓는 솜씨에
음... 뭐랄까.. '아연실색'이라고 말할 수도 없고, 단순히 '감동'이라고도 말할 수 없고
'카타르시스'를 느꼈다기엔 그 광풍이 너무나도 거세고...
그러니 "콜레라 시대의 사랑"도 당연히 훌륭하겠거니 하고 생각하고 선택.
딱히 전작주의를 의도한 건 아니었으나
그래도 마르케스라면 최소한 시간 낭비는 아닐 거라는 믿음!!!
아. <백년의 고독>이 그의 가장 유명한 소설이라지만
'아름다움' 면에서는 <콜레라 시대의 사랑>이 한 발 앞선다.
특히나 "아직도 사랑이 아닌 다른 이유로 자살하는 사람이 있다니 유감이군요."와
"내가 죽는 것이 가슴 아픈 유일한 까닭은 그것이 사랑 때문이 아니라는 것이다."라는 문장은,
가히 놀랄 만한 명문장!
미국의 소설가 토마스 핀천은 이 책의 마지막 장은 읽어본 작품 가운데 가장 놀랍다고 했는데,
단지 마지막 장 뿐일까.
페르미나 다사가 2시간 동안 비춰졌던 거울을 구하기 위해
1년여의 시간 동안 호텔 주인을 끈질기게 설득했던 플로렌티노 아리사의 마음 또한
놀랍고도 아름답고도 진중하다.
고백하건대, 나는 책을 들고 있는 내내 플로렌티노가 제발 사랑 때문에 죽어버리길 소원했다.
다른 시시껄렁한 이유 말고 사랑 때문에 죽어라!
이 책은 영화 '세렌디피티'에도 나온다.
우연히 만난 남녀 주인공이 서로의 신상명세를 알리지 않은 채
헌 책과 지폐에 전화번호를 각각 적고 헤어지는데,
그 헌 책이 바로 '콜레라 시대의 사랑'이었다.
집에서 메가 티비로 영화를 보다가 책 표지를 보고선 얼마나 놀랐던지!
에라잇, 이런 말랑말랑한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마음 속으로 항변만 100번쯤 하다가, 그래도 진솔한 사랑을 표현하기에
이렇게 적절한 책이 또 어디 있겠냐, 시나리오 작가에게 수고했다 텔레파시 보내고.
그 뒤로 일상 속에 파묻혔다가도 불현듯 드는 일관된 생각은...
간혹 뉴스에서 사랑 때문에 자살한 청춘남녀를 보면 한심하다 손가락질했는데
그들이야말로 제일 합당한 이유 때문에 죽는 것이었으리라.
제대로 죽어간 수많은 청춘남녀(백발 성성한 노인이라도 사랑을 한다면 청춘남녀)에게
무한한 존경의 마음을 보낸다.
하지만, 난 용기가 없어요.
나는 그냥 늙어 죽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