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난이대 하서명작선 60
하근찬 지음, 정호웅 해설 / (주)하서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대전시청 벼룩시장에서 그야말로 헐값에 건진 책.
여고생들이 박스에 책을 몇 권 담아놓고 500원, 1000원씩에 팔고 있길래
아이구야 이게 웬 횡재냐 하고 집어왔다.
여고생들 말고도 헌책을 파는 이들이 꽤 있었는데
이럴 줄 알았으면 개장 시간에 맞춰서 1등으로 도착할 걸 그랬지.
점심 즈음, 근처를 지나다가 급작스레 벼룩시장을 기억해낸 어무이 때문에 가게 됐는데
전리품을 건진 건 다섯 식구 중 나 하나뿐.
비닐봉투 가득 책을 샀는데도 만 원도 안 했었지 아마.
어찌됐건, 나로서는 퍽이나 고마운 일.

<수난이대>는 고등학교 때 수능 준비 때문에 읽었던 작품이다.
그 때,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문학작품들 위주로 시험문제 낸다고 해서
이런 종류의 책 무지하게 팔았고, 무지하게 사댔다.
덕분에 이광수의 무정도 읽었고 사랑도 읽었고
심훈의 상록수도 읽었고 염상섭의 삼대도 읽었으니
이만하면 교육의 효과는 톡톡히 본 셈이려나?
그런데 한 가지 폐해라고 한다면,
요즘 서점에서 한국 근대 소설을 좀 살라치면
대부분 표지에 "고등학생이 꼭 읽어야 할" 이라는 수식어가 붙어있다는 것.
서른을 진작에 넘겨버린 나로서는 그 책을 지하철에서 읽는다는 건,
좀 얼굴이 화끈거리는 일 아닌가.
흠. 혹시 나를 여고생으로 봐줄지도 모르니 고마운 건지도. (어머나)

어쨌거나.

다시 읽으니 참 좋다.
단편소설은 모름지기 이래야지, 싶다.
요즘 쏟아져나오는 단편들은 대부분 사건 중심이라기보다는
현대사회를 사는 외로운 주인공들의 사유 세계를 따라가는 스타일이 많은데,
난 이런 "오리지날"스러운 단편이 더 좋달까.
게다가 <수난이대>는 읽고 나면 괜히 짠해진다.
 
그래. 단편이란 이런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