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 시스터즈 키퍼 - 쌍둥이별
조디 피콜트 지음, 곽영미 옮김 / 이레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며칠 전 남동생이 출장 때문에 올라와서 같이 저녁 먹으러 가는데 어무이한테 전화가 왔다.
택배로 <쌍둥이별>이라는 책이 한 권 왔는데 누구 거냐고.
나는 순간 옆에서 "내 꺼!"라고 외쳤고, 그 순간부터 그 책은 내 꺼.
언니나 남동생이 무슨 이벤트로 받은 책 같은데 알 게 뭐야, 내가 내 꺼라고 외쳤으니 내 꺼.
안 그래도 <마이 시스터스 키퍼> 영화로 보면서 줄줄 울다가, 나중에 원작소설 꼭 읽어봐야지 했는데.
역시 가난뱅이라도 살아갈 구멍은 생기는 법. 럭키럭키!
내가 이 책을 읽는다고 하니 Ryu가 한참동안 말이 없다.
아기다리고기다리다 물어보니,
"댄스파티에 다녀온 다음에 남자친구 전화가 없었는데 알고 보니 죽은 거였잖아. 그 생각 하고 있었어" 라는 감상적인 대답.
맞아. 우리 아마 그때부터 줄줄 울기 시작했지.
그 장면을 고대하며 읽어나가기 시작한다.
두 살 때 백혈병을 선고받은 언니 케이트를 위해 태어난 맞춤아기 안나.
안나는 태어나자마자 제대혈을, 그 후에 백혈구와 줄기세포, 골수까지. 모든 것을 제공해야 했다.
더 빨리 더 많이 제공하기 위해 성장주사는 기본이고
케이트가 언제 응급상황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안나 역시 마음대로 캠프도 가지 못하는 신세.
그리고 열세살이 된 안나에게 부모님은 언니를 위해 신장을 이식하자고 말을 한다.
만약 신장을 이식한다면 그렇게도 좋아하는 하키도 마음대로 못 할텐데
부모님은 안나가 하키팀 골키퍼라는 것도 나중에야 알게 된다.
어린 소녀 안나는 그래서 유능한 변호사 캠벨 알렉산더를 찾아가게 되고 그 때부터 갈등은 점점 심화.
그런데 결국 안나가 맹랑하게도 소송을 건 이유가, 언니를 위해서라는 게 밝혀지면서 또다시 눈물바람.
소설의 구조 또한 흥미롭다.
의료해방 소송을 거는 안나와 언니 케이트, 오빠 제시, 엄마 사라와 아빠 브라이언, 그리고 변호사 캠벨과 안나의 소송후견인 줄리아까지,
각자가 그들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챕터 하나씩을 할당받아 돌아가며 이야기를 하는데, 각장의 입장이 너무나도 이해가 된다.
각자의 입장을 너무나도 잘 알겠어서 내 마음의 갈등도 사그러들지 않는다.
그리고 영화와는 판이하게 다른 결말 부분. 아아아.
영화에서는 케이트가 소원대로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하지만
소설에서는 안나가 의료해방 소송에서 승소한 후 켐벨 변호사와 차를 타고 가다가 교통사고를 당한다.
그리고 뇌사판정. 이어지는 장기기증.
결국 안나는 세상에서 제일 사랑하는 언니에게 소중한 신장을 기증하고 조용히 심장을 멈춘다.
이 부분, Ryu하고도 한참 설전을 벌였는데 물론 영화 쪽이 더 눈물샘을 자극하긴 하지만
나는 소설 쪽의 결말이 더 가슴을 먹먹하게 만든다. 아이러니하기도 하고.
태어날 때부터 언니를 위한 맞춤아기였던 안나는 결국 '임무수행'을 다 한 다음에는 조용히 죽는 건가.
언니를 건강하게 살려내고 할 일 다 했으니까 편안하게 가도 되는 건가....
미국에서는 이 책이 출간되고 나서 엄청난 논란이 됐다고 하는데, 그럴만하다.
대한민국의 책 관련 프로그램에 만약 이 책이 여기 토론거리로 던져진다면 패널들은 무슨 말을 할까.
특히나 무심한 듯 시크한 탁석산 선생님의 의견이 듣고 싶다.
시골의사 박경철 씨도 패널로 나온다면 좋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