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편력기 - 유쾌한 지식여행자의 세계문화기행 ㅣ 지식여행자 8
요네하라 마리 지음, 조영렬 옮김, 이현우 감수 / 마음산책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이미 죽고 없는 작가의 작품을 전부 읽겠다는 전작주의 다짐은 무척 조심스러운 일이다.
조급한 마음에 몰아서 다 읽어버리면, 그 후 남게 될 텅 빈 시간을 메우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2006년에 난소암으로 세상을 떠난 요네하라 마리의 책도, 그래서 읽기가 더 망설여졌는데...
<미식견문록>도 그렇고, 이번에 나온 <문화편력기>도 그렇고, 신간은 계속 쏟아져나오는구나-
물론 그간에 다른 매체에 기고했을 글들을 묶어서 편집해 내놓은 것이겠지만,
일단 마리 여사의 책이라니 반가운 마음이 먼저다.
역시나 내용은, 유쾌한 지식여행자인 마리 여사답게 신랄하면서도 따뜻하고 유머가 숨어 있다.
일본과 러시아의 언어에 능통한 만큼, 그 둘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재미도 쏠쏠하고,
몰랐던 문화에 대해 '이게 이런 거란다' 하고 풀어서 말해주는 솜씨도 여전하다(?).
아는 걸 쥐어짜내서 말해준다기보다는 자연스럽게 몸으로 습득한 것들을 조근조근 말해주는 타입이어서
듣는 이도 '잘난 척 하시네'라는 콧방귀 뀔 일 없이 자연스럽게 동화된다.
이런 지식인의 글쓰기 기법, 우리나라 문인 중에도 있던 것 같은데
제일 처음 생각난 건 전혜린.
하지만 그녀가 낸 책은 달랑 에세이 두 권이니 요네하라 마리의 다작과는 조금 다른 것 같고
그렇다면 이윤기?
그리스신화 쪽으로는 이만한 이야기꾼이 없고, 서구 문화에도 정통하니 얼추 비슷한 느낌이다.
게다가 요네하라 마리와 이윤기 둘 다, 아는 게 너무 흘러넘쳐 어쩌지 못해 책을 쓰는 것 같기도 하고
전혜린과 이윤기 모두 번역자라는 점도 공통분모인데...
하지만 뭔가 미진한 구석이 있어 계속 곰곰 생각하다가 번뜩 머리에 들어온 인물은 바로 홍승면!

1927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해 언론 쪽에서 일하면서 미국 스탠퍼드 대학으로 유학도 갔다온 그 시대의 엘리트.
일단 엘리트라는 점에서 교집합 하나 생기고.
명칼럼니스트라는 면에서 그야말로 찰떡같이 착착!
홍승면이 지은 책으로는 <프라하의 가을>, <백미백상>, <잃어버린 혁명> 등이 있는데
내가 가진 건 백미백상 시리즈인 <대밭에서 초여름을 씹다>와 <꿈을 끼운 샌드위치>.
감히 말하건대, 외국물 조금 먹은 어린 아가씨들이 요즘 너도 나도 내놓는 음식 관련 책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마리 여사와 마찬가지로, 잘난 체 하는 기색 없이 이런 저런 먹을거리들에 대해 얘기해 주는데
정약전의 자산어보부터 그 시절에 아직 우리나라에 소개되지 않았을 미지의 음식까지-
인터넷도 없었을 텐데 이런 방대한 정보는 도대체 어디에서 얻었을까 하는 경이로움마저 드는 책이다.
우리언니가 우체국쇼핑의 특산물을 소개하는 라디오방송에 매주 게스트로 나간 적이 있었는데
그때도 이 책에서 꽤 많은 정보를 인용해서 원고를 쓰곤 했었다. 인터넷보다 가히 한 수 위라는 얘기.
마리 여사와 홍승면 씨가 만나서 입심 대결, 아니, 필력 대결이라도 한 판 했으면 좋았을 텐데...
둘 다 이 세상에 없으니 나 혼자 상상으로만 할 수 있는 한판승부.
다시 마리 여사 책 얘기로 돌아와서, 이번 신간이 5% 정도 아쉬운 점 하나.
읽으면서 계속 "이런 얘기는 미식견문록에 들어가야 하는 거 아냐?"
혹은, "이런 얘기는 미녀냐 추녀냐에 더 어울릴 것 같은데..." 라는 생각이 10번쯤 들었다.
심지어 맨 뒤에는 <프라하 소비에트 소녀들, 그 인생의 궤적>이라는 대담까지 들어가 있으니
<미식견문록>과 <미녀냐 추녀냐>와 <프라하의 소녀시대>를 읽은 독자에게 상으로 주는 별책부록의 스멜까지....!
다른 책을 다 엮고 난 뒤 자투리로 남는 글들을 모아서 편집했으니 출판하는 쪽에서도 어쩔 수 없었겠지만,
음식 얘기도 들어있고 통역 얘기도 들어 있고 프라하 얘기도 들어있어서
제목을 <문화편력기>라고 애매하고도 모호하게 지은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뭐, 마리 여사에게 원고를 다시 부탁할 수도 없으니 출판사나 독자나 아쉬운 건 마찬가지.
이렇게 말해놓고도 나는 마리 여사의 신간이 나오면 또 승냥이처럼 돌변해서 읽을 날만 고대하겠지요.
아껴 읽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서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