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어제 죽인 괴물 - 이윤기 산문집
이윤기 지음 / 시공사 / 2002년 9월
평점 :
절판


 

책 중 기억에 남는 일화 하나. (3부 먹자고 하는 짓인데- 에 나오는 얘기다.)

한정식을 좋아하는 이윤기는, 어느 날 한정식을 즐기기가 껄끄러워진다. 저녁 만찬 일정을 걸게 잡아도 되는 날이면 어떻게든 동료들을 꾀어 기어이 한정식을 맛보고, 매일매일 칠첩 반상기에 차려진 사계절 진미를 먹고 싶어했으며, 전주 여행은 전율을 안길 만큼 좋아했었는데 말이다.

아하. 이유를 듣고 보니 고개가 끄덕지고 '역시 배울 만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눈썹에 이르도록 공손하게 밥상을 들어다 바치는 이른바 거안제미를 누구에게도 시키고 싶지 않고, 쓰레기가 될 남긴 반찬이 눈에 밟히기 때문이란다. 게다가 제대로 차려진 한정식 상에서 주인이 하인들에게 밥상을 물려주는 '대궁밥상' 문화의 슬픈 잔영까지 읽히고 나니, 아이고, 한정식은 이제 죄스러워서라도 못 먹겠구나 생각이 든단다.

그래서 이윤기가 택한 방법은 '날마다 도는 점심상', 회전 초밥이다. 간장 한 숟가락 남짓 따른 다음, 된장국 두 사발 앞에 놓고 앉아 회전대를 도는 초밥 여남은 개 집어먹으면서 된장국 마시면 점심식사가 끝난다. 초밥 접시엔 아무것도 남지 않으며 된장국 사발은 핥아 놓은 죽사발이고 간장조차 적당히 따라서 남아 있을 게 없다. 죄의식 없이 돌아설 때의 개운함이 좋다고 한다.

이게 바로 인간 이윤기이며 작가 이윤기다. 소소한 일상에서도 이것저것 생각이 많은 이윤기의 책은 그래서 읽고 나면 밑줄 그을 곳이 참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어제 죽인 괴물 - 이윤기 산문집
이윤기 지음 / 시공사 / 2002년 9월
절판


<자의식의 생일은 비오는 날>이라는 말이 있다. 고대의 원시인들은 날씨 좋을 때는 먹거리 사냥하느라고 정신이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비가 오면 사냥터로 나갈 수가 없다. 동굴 같은 데 똬리를 틀고 앉아 있으려니 별 생각이 다 들었을 것이다. 나는 무엇인가? 나는 어디에서 왔는가? 나는 장차 어찌 될 것인가? 사냥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그런 잡생각들이 그들의 자의식을 키웠을 것이다. 바로 그 자의식이 형이상학의 아버지 노릇을 하게 되었을 것이다.-21쪽

'내가 이것을 쓰고 그대가 이것을 읽는 순간도 마찬가지다. 시간에 저항하지 않는다면 시계가 뱉어내는 소리는 <째깍, 째깍, 째깍>이 아니라 <상실, 상실, 상실>이다.' (미국의 극작가 테네시 윌리엄스)-26쪽

갓 삶아낸 국수를 차거운 물에 씻어 건지다가 주위 눈치 한번 살피고, 한 움쿰 덤벅 집어, 쭈욱, 보조개가 아리해지도록, 국수 사리 꼬랑지가 콧등을 철썩 때리도록 빨아들이는 맛을, 물갓이 담백한 그 맛에 묻어 있는 나의 슬픈 과거를 아내는 모를 것이다.-60쪽

나는, 글 쓰는 일 역시 장 거리 약장수가 약을 파는 것과 흡사하다고 생각한다. 장 거리 약장수가 약을 팔려면 먼저 사람을 모아야 하듯이, 글로써 자기 뜻을 전하려면 먼저 독자를 글 속으로 끌어들임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읽게 해야 한다. 읽히는 데 실패한 주장은 발화되지 못한 주장이나 마찬가지다.-125쪽

'Non cuivis homoni contingit adire Corinthum(누구나 다 코린토스로 갈 수 있는 것은 아니잖겠어).'
<살다 보면 그런 수도 있는 거지 뭐>, 이런 뜻으로 하는 말이다.-131쪽

<문화일보>에 서양 신화 이야기를 1년 동안 주간 연재했다. 자랑스럽게 여기거니와 나는 2000년 1년 동안 동안 담당 기자를 곤란하게 만든 일이 거의 없다.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고, 딱 한 번 있었다. 원고가 잘 풀리지 않아서 산보 나갔다가 이문구의 소설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를 사들고 들어와 몇 줄을 읽는 치명적인 실수를 한 것이다. 담당 기자가 원고 들어오지 않는다고 독촉 전화를 걸어 투덜댔다. 나는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를 펼치는 실수를 했노라고 고백했다. 담당 기자의 반응은 이랬다. '어쩌다 그런 실수를 했어요? 거기서 빠져나와 원고 쓰기는 틀렸네요?' 결국 밤새워 원고 써서 보내야 했다.-135쪽

미셀 투르니에 선생의 책 '짧은 글 긴 침묵'과 '예찬'...-171쪽

그의 좌우명은 <콩 세 알>이다. 그는 자신의 <콩 세 알> 철학을 이렇게 설명한다. 농부들은 지게 작대기로 논둑에다 구멍을 뚫고 그 안에 콩 세 알을 넣은 다음 왕겨로 덮는다. 그들이 한 구멍에다 콩 세알을 넣는 뜻은, 한 알은 땅의 주인인 벌레가 먹고, 한 알은 공중의 주인인 새들이 먹고, 남은 한 알만 하늘과 땅을 빌어 한 세상 살다 가는 농부 자신의 몫으로 챙기겠다는 뜻이다.-195-19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이 차이를 만든다] 서평단 알림
생각이 차이를 만든다 - 보이지 않는 것을 통찰하는 통합적 사고의 힘
로저 마틴 지음, 김정혜 옮김 / 지식노마드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서평단 도서입니다.]

부자가 되려면 부자와 점심식사를 하라는 책이 있었던 것 같은데... 제목은 잘 기억이 안 나지만 그 홍보문구를 보고는 무릎을 탁! 쳤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부자와 점심 먹을 인맥조차 없다면, 혹은 낯가림이 심하다면(^^) 우선은 이 책을 읽어보는 게 어떨까?

수많은 부자 이야기가 가득가득! 그 모두가 졸부가 아니라 노력해서 자수성가한 스타일이라 남의 인생 훔쳐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게다가 자수성가한 이유라는 게 하나같이 "남과 다른 생각" 때문이었다니! 흔히 '아이디어가 돈이 된다'는 말이 있지만 이 책에 나온 이들은 남과 다른 아이디어를 내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기기 위해 남들을 설득하고, 수많은 분석과 평가를 하고, 어떻게 보면 무모하리만치 일을 추진하고, 결국은 남들의 박수를 받고 떼돈(?)까지 벌고... 정말로 '생각'이 '차이'를 만드는 과정을 리얼하게, 인터뷰 형식을 빌어 보여주고 있다. 

특히나 실용서적 위주의 독서를 하는 이들에게는 퍽 유용한 책일 듯. 실용서적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이들이라도 한 권쯤 가볍게 읽을 수 있을만큼 쉽고 재미있다. 한 수 배워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이 차이를 만든다] 서평단 알림
생각이 차이를 만든다 - 보이지 않는 것을 통찰하는 통합적 사고의 힘
로저 마틴 지음, 김정혜 옮김 / 지식노마드 / 2008년 5월
절판


'스피커스 코너Speaker's Corner'라는 이름의 장치도 마찬가지다. 스피커스 코너는 시티티비 본사 건물 안에 위치한 작은 스튜디오 부스인데 거리 쪽으로 출입구가 나있어 그 앞을 지나가던 시민 누구라도 그 부스에 들어가 15초짜리 메시지를 녹화할 수 있다. 만약 그 메시지가 방송에 내보낼 만큼 재미있거나 의미가 있거나 혹은 웃기거나 감동적이라면 '프로그램들 사이의 자투리 공간'에 전파를 탄다..... 오늘날 미국의 대형 방송국은 모두 뉴역 맨해튼의 각 방송국 건물 일층에 스튜디오를 꾸며 거리의 뉴요커들과 소통을 꾀한다. -137쪽

"만약 물위에서만 수영한다면 진주를 발견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진주는 바다 깊숙한 곳에 있고 따라서 진주를 채취하려면 바다 깊이 잠수해야 합니다. 당신이 처리하는 모든 사안도 마찬가집니다. 복잡한 사안일수록 아주 깊이 있게 탐구해야 합니다."-17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지개와 프리즘 - 반양장
이윤기 지음 / 생각의나무 / 199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3월의 볕좋은 날, 홍대 희망시장에서 발견한 '무지개와 프리즘'. 헌책 치고는 비싼 4천원이었지만 절판된 판형이니 아까울 게 없다. (며칠 전 산 혼불 제 7권은 헌책 중 금값게 속하는 5천원이더라. 그래도 헌책은 발견하는 족족 사야 한다. 나중에 사야지 생각했다간 앞으로 영영 그 책을 못 보게 될 수도 있다. 그러니 값을 흥정하는 건 사치다. 까딱하다가 사장님의 심기를 건드려 나에게 그 책을 팔지 않기라도 한다면 어쩔 것인가!)

이윤기 작가는 원래 애착이 깊은 작가다. 니코스 카잔차키스와 헨리 데이빗 소로우를 편애한다는 것이 그 중 가장 큰 이유다. 내 20~30대 최고의 책을 꼽으라면 단연코 '그리스인 조르바'와 '월든'이니, 그리스인 조르바를 번역해 주신 이윤기 작가를 좋아하지 않는다면 그야말로 어불성설. 번역서가 좋으면 그의 저서로 눈이 옮아간다고 이윤기 작가도 직접 말했는데, 나도 마찬가지의 이유로 그의 저서에 탐닉하는 중이다. 

특히나 <무지개와 프리즘>은 인문의 향기는 물론 사람의 향기까지 눅진하게 배어나오는 책이다. 단순히 인문학에 대해 설파했다면 재미없을 테고, 단순히 사람 얘기만 썼다면 가벼웠을 텐데, 두 가지를 적절하게 버무려 놨다. 게다가 다양한 해외 체류 경험 덕분에, 대한민국을 '안에서'가 아닌 '밖에서' 바라보는 눈도 가졌으니 이 또한 배울만 하다. 독도 문제를 해결하려면 동해(East Sea)의 표기법을 먼저 바꿔야 외국인들이 그 위치라도 짐작할 것 아니냐는 의견, 나라가 망하면 제일 먼저 문학이 사라진다는 이야기, 철자(spell)와 마법(spell)이 동일한 철자로 이루어진 이유 등, 이윤기 작가에게 배울 인문학적 소양은 책 한 권으로는 부족하다. 그가 인용한 책들을 다 찾아읽어봐야지 하는 욕심까지 생기니, 이것 참 이익이 되는 독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